View : 703 Download: 0

김승옥 소설 연구

Title
김승옥 소설 연구
Other Titles
(A) Student of Kim Seung-Ok's novels : Focused on identification with violent feature of Modern age
Authors
송주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김승옥소설폭력성동일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Kim Seung-Ok's literature by going over his works through the way they react to modern age. Based on the Enlightenment which is represented by Kant's Transcendental Ration, Newton ' s Natural Science, Darwin's Evolution Theory, modern human-beings could stand as a center and a subject of the world. As a reasonal human subject was operated as a center of the world, the nature was dominated as a periphery object by the modern capitalism, which was led to the binary opposition system. This binary opposition system has been changed into a violent form since the end of 19c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reason as a tool. In Korea, the 1960s was the times of modernization when confusions and disorders the problems caused by the Korean War was settled down. And at that time, development-logic was prior to all other values in the field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nd the modernization-logic which had been universal in the worldwide aspect was realized in the concrete real life at that time. In this process, the violent feature of modern age began to come to light. In this study, I regard this violent feature as the realized form of modernization -logic concretely in the real life. This idea is based on the "power" conception of Foucault, Michel Paul which include that the center suppresses and dominates the periphery as shown in the dependency theory. I'll apply this to the theory of Peˇcheux who accepted the theory of ideology of Louis Althusser, and prove that Kim Seung-Ok also participated in reproducing the control discourse ideology. Though Kim Seung-Ok showed a kind of assimilation to the violent feature of the modem age, but this is not likely to be recognized by readers. I think it is due to his literary devices and technique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the newness and uniqueness in style. So treating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I apply them to discussion coping with modem age. In a concrete way I examine the process that the center suppress the periphery in the binary opposition system in the general discourse of modem capitalism. So I examine the process that an academic background and system surpass all others in life. Needless to say that the superiority of these system came to light as a concrete executive system like schools or hospitals, it can also appeared as a sign of them, which is invisible and abstract. Moreover, this power has not exercised "visibly" (like violence or exclusion) but "invisibly" and "confidentially." Next I examine the process that men as the center of the world objectify and exclude women as the periphery. In this point of view, I divide the women decided by men into three classes. And then, I examine that this ideology of control is concealed by various literary devices and techniques Frame-structure and the character existing between protagonist and antagonist disperses the clarity of ideology. And I discuss the use and of images and its meaning - this discussion contain the preceding studies. Next, I dshow that author's consciousness reproduce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logic despite of the tense relation examined in former chapter. So I analyze the meaning of the 1st person - narrator and monologue which are used very frequently in Kim's works. In his works, 1st person - narrator represent the author's ideology. In case that 1st person - narrator is not used, a character who is similar to author is chosen as a focalizer or an external narrator commentaries are used. After all, we can say that the superiority of the author is preserved identically in various way. And I examine characters' action and desires of model on others. In addition, I discuss the paradoxical meaning of 'returning to home'. In Kim's works, 'returning to home' come light over and over again. In the next chapter, I clear and integrate discussions treated in the main subject and clarify the author's consciousness as a leader of 1960s' authors comparing to others. In conclusion Kim Seung-Ok opposed to the confused reality of 1960s outwardly, but ironically, he identify himself with violent feature of modem age which the strong suppress the weak in his work. After all Kim Seung-Ok was the most "modem" author in the modem system, in spite of the external pose opposing to the system of the modem capitalism. In addition, this study based on post modernism is valued as an inclusive synthetic study to treat his works of the late period and popular novels which were excluded in former studies. And I discuss the meaning of his religious change and the meaning caused by his finding religion in his literary life. Consideration of his finding religion is valued because it can help to find a clue of his new writing which has given up since 1980s.;본 연구는 1960년대 대표적인 작가로 자리매김해 온 김승옥의 문학을 근대 대응 방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그의 문학세계를 통일성 있는 언어로 구명해 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칸트의 선험적 이성, 뉴턴의 자연과학, 다윈의 진화론으로 대표되는 계몽주의를 바탕으로 근대의 인간은 세계의 중심이자 주체로 서게 되었으며, 근대 자본주의는 이성적 인간주체가 중심부로 작동하면서 주변적인 객체로서의 자연을 지배하는 이항대립체계를 구축했다. 이러한 이항대립 체계는 19세기 말에 이르러 이성의 도구화가 진행되면서 폭력적인 형태로 변질되게 된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1960년대는 6·25전쟁의 혼란한 상황을 수습하고 정치·경제·사회적으로 '개발'의 논리를 지상과제로 삼는 근대화의 시대였다. 세계사적 보편차원의 근대의 논리가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실현된 시기가 1960년대이며, 이 과정에서 근대의 폭력성은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 속에서 작동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때의 폭력성의 개념을 푸코의 권력 개념에 기반, 중심부가 주변부를 억압하고 지배하는 논리가 삶의 구체적인 현장에서 실현되는 것이라고 보고, 김승옥 또한 이러한 지배담론의 재생산에 참여하고 있었을 확인하도록 한다. 이를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을 수용·정교화환 빼쉐의 이론에 맞추어 보도록 하는데, 김승옥은 당시의 지배담론 이데올로기에 대한 동일화(identification)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증명하도록 한다. 이렇듯 김승옥은 근대적 폭력성의 논리에 동일화 양상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쉽게 감지되지 않는데, 그것은 '새로운 언어감각'으로 지적되어 온 여러 가지 문학적 기법과 장치에 의해 은폐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에 이러한 형식면의 새로움과 그 문체의 독특함을 함께 살피면서 김승옥의 문학 전반을 근대 대응 방식의 과정에 수렴시키도록 한다. 구체적인 논의에 있어서는 먼저, 근대 자본주의의 보편적 지배담론으로서의 이항대립체계에서 중심부가 주변부를 억압하고 지배하는 논리의 과정을 살펴본다. 이에 먼저 출세의 수단으로서 중요한 통로가 되었던 학력 및 제도로서의 근대가 삶의 현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현실에 있어 우위를 점하는 제도는 학교나 병원과도 같이 구체적인 행정적 제도를 통해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러한 것들을 표상하는 다양한 기호를 통해서도 이러한 우위성은 유지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권력의 행사는 폭력과 배제와 같은 가시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비가시적인 형태로써 은밀한 방법으로 행사된다. 다음으로는 중심부로서의 남성이 주변부로서의 여성을 대상화, 타자화함으로써 그 지배를 정당화시키고 있음을 살핀다. 이에 타자화되는 여성성의 형태로서 세 가지 정도의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논리와 이데올로기가 여러 가지 문학적 기법과 장치를 통해 은폐되어 있음을 살핀다. 이에 먼저 이데올로기 선명성을 흐리게 하는 수단으로써 액자구조 및 중간자 인물의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그의 작품에서 보이는 이미지의 사용을 살피고 이러한 이미지 사용이 작품 전체에 기여하는 바를 아울러 논의한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새로운 언어감각으로 지적되어 온 부분을 포괄할 수 있도록 했다. 다음 장에서는 앞에서 보여준 긴장관계 속에서도, 작가의 의식이 근대의 논리와 질서 안에서 그 지배담론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밝혀 낸다. 먼저는 김승옥의 작품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고 있는 1인칭 화자와 독백의 형식의 의미를 밝힌다. 작품에서 1인칭 화자는 작가의 이데올로기를 대변하고 있으며 작가의식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다. 한편, 1인칭 화자가 아닌 경우에는 1인칭 화자로서의 인물과 가장 가까운 인물이 초점화자로 선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물이 없을 경우에는 외적 화자가 개입되어 작가의 이데올로기와 그 우월성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등장 인물들의 모방욕구와 이러한 욕구가 실현된 인물들의 행동을 통해 그들이 지향하는 바를 살핀다. 한편 작품에서 빈번히 드러나는 귀향의 역설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살피면서, 이것이 김승옥 작품 전반에서 주제의식을 구현하는 데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함께 논의하기로 한다. 다음 장에서는 서론에서의 문제제기와 본론에서의 논의를 정리·종합하고 1960년대 작가로 대표되는 그의 작가의식을 살필 뿐 아니라, 다른 작가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가 우리 문학사에서 갖는 의의와 한계를 짚어 보도록 한다. 이로써 김승옥은 1960년대의 삶이 보여준 환멸에 가까운 현실상에 대해서 거부와 부정의 자세를 취하면서도 <주체 중심적 이성의 타자에 대한 체계를 부여하고 약자에 대한 강자의 지배를 합리화시키는> 근대적 폭력성에 대한 동일화 방식을 취하고 있었음을 확인하도록 한다. 이에 김승옥은 근대 자본주의적 삶이 낳은 현실을 거부하면서도 가장 근대적인 질서 안에서 그 사고와 의식의 과정을 보여주었다고 여겨진다. 탈근대의 가치지향을 담지하는 본고의 이러한 독법은, 기존연구에서 배제되어온 그의 후기작과 대중·통속소설로 폄하되어온 작품들까지 포함함으로써 그의 문학 전반을 통일성 있게 읽어낼 뿐만 아니라, 기독교에 대한 귀의로써 잠정적 절필 상태에 있는 그를 '진행형'의 작가로써 새로이 자리매김케 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