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노인의 영성(spirituality)과 자아통합감의 관계 연구

Title
노인의 영성(spirituality)과 자아통합감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Authors
이현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It is important that clients are understood in terms of the holistic human being in social welfare practice. Spirituality has been neglected in terms of the holistic man contrasted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dimensions in social welfare. It has been regarded as matter considered the religiosity. But spirituality can be powerful therapeutic resources for recovery, healing, and resilience(Walsh, 199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interest of spirituality in client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holistic man considering the dimension of spirituality as well as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dimensions. To pursue this goal,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of the elderly and ego integrity was studied.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by using survey questionnaires over 60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social welfare programs and selected as subjects randomly from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Among the survey questionnaires, 215 cases were used as final material for the study. For the theoretical bases,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e meaning of spirituality and the attributes of spirituality were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ego integrity was also inquired through the pilot study.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done by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to find out the level of spirituality and ego integrity depending on demographic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don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spirituality on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so on utilizing the SPSS for 12.0 Windows. The main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ed. First, the spirituality level of the elderly was mean 3.48 (Sd .73). ANOVA discovered significant effects in variables: gender, educational status, religion, religious worship frequency, type of family, financial status, health status, experience of the positive event, social support. Second, the ego integrity degree of the elderly was mean 3.51 (Sd .57). ANOVA discovered significant effects in variables: educational status, religion, type of family, financial status, health status, experience of the positive event, social suppor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depending on their levels of spirituality (high, medium, and low). The higher spirituality, the higher ego integrity.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he degree of ego integrity were spirituality, financial status, health status, experience of the positive event, type of family. The levels of spirituality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s of ego integrity and 6 sub-dimensions. So the higher level of spirituality, the higher degree of ego integrity. Theses findings have provided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First, as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didn't focus on the information of the degree of ego integrity depending on spirituality of the elderly. This study shows the level of spirituality and the degree of ego integrity. So this result will contribute not only study on ego integrity but also study on spirituality of the elderly. Second, it seems to be necessary to expand the sensitive of spirituality at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based on the results. If social work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ey d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That will help clients to find out the force from the inner mind to solve the problems. That is, the consideration of spirituality in terms of the whole man will result in the increase of social welfare service quality. Third, it was practical implication that spiritual genograms and spiritual time line were discussed in social welfare practic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rth, to improve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considering spirituality in social welfare practice, utilizing meditation, developing program considered spirituality of the elderly, facilitating elders' self group, and working with community religious institutions were suggested.;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를 대할 때 전인적(holistic) 관점을 가지는 것은 중요하다. 클라이언트 접근에 대한 전인적 관점 중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인 접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전인적 관점에 포함되어 있는 영성(spirituality)에 관한 연구는 사회복지 내에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는 사회복지에서 영성을 논하면 곧 종교성을 논한다는 생각에 사회복지에서 영성의 중요성을 간과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영성(spirituality)은 회복, 치유, 레질리언스를 위한 강력한 치료적 자원이라고 언급되고 있다(Walsh, 1998). 노인에 대한 전인적 관점으로서 영성과 노인의 자아통합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현재 전무하고, 사회복지계에서 영성에 관한 연구는 개념화 연구를 시작으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영성에 관한 관심 및 연구가 적은 편이다. 특히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현재 국내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노인의 영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전인적 관점에서 사회복지실천에 이론적 기초와 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노인의 영성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본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지역의 노인종합사회복지관에서 제공하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 2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에서 노인에 대한 전인적인 관점으로서 노인의 영성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 보다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영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라 영성과 자아통합감 정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영성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들과 영성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영성이 자아통합감과의 관계에 미치는 설명력을 살펴봄으로써 영성과 자아통합감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연구질문에 따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노인의 영성의 정도는 어떠한가?’에 대한 연구결과로, 본 연구의 대상인 노인의 영성 종합 평균은 3.48(표준편차 .73), 영성의 수직적 차원은 평균 3.38(표준편차 .96), 영성의 수평적 차원은 평균 3.58(표준편차 .64)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여성, 고학력, 유종교이며, 종교행사 참여빈도가 높고, 동거가족이 있으며, 경제수준이 높고, 신체건강 인식정도가 높고, 긍정적인 사건 경험과 사회적지지 제공자가 있다고 인식한 집단의 경우 영성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아통합감의 정도는 어떠한가?’에 대한 연구결과로, 노인의 자아통합감은 평균 3.51(표준편차 .57)이었고, 각 하위영역은 지혜로운 삶 평균 3.68(표준편차 .59), 죽음에 대한 수용 평균 3.65(표준편차 .74), 현재생활에 대한 만족 평균 3.53(표준편차 .62), 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 평균 3.46(표준편차 .74), 생에 대한 태도 평균 3.43(표준편차 .79), 노령에 대한 수용 평균 3.28(표준편차 .68) 순이었다. 고학력, 유종교이며, 동거가족이 있으며, 경제수준이 높고, 신체건강 인식정도가 높고, 긍정적인 사건 경험과 사회적지지 제공자가 있다고 인식한 집단의 경우 자아통합감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영성(종합)에 따른 자아통합감은 영성 상위 25%집단의 자아통합감 평균 4.02, 영성 중간 50%집단의 자아통합감 평균 3.45, 영성 하위 25%집단의 자아통합감 평균 3.04로 영성의 정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자아통합감의 정도가 높았다. 셋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영성의 정도는 자아통합감의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로, 자아통합감과의 관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영성(종합), 경제수준, 신체건강 인식정도, 삶의 의미있는 사건(긍정적 경험)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구형태(독거노인)는 자아통합감에 대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변수들을 통해 자아통합감의 63.9%를 설명하였다. 자아통합감의 각 하위영역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각각 달랐지만, 모든 하위영역에서 가장 높은 설명력을 지닌 변수는 영성(수평적 차원 또는 수직적 차원)이었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자아통합감의 정도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함의는 아래와 같다. 첫째, 노인의 영성과 자아통합감 수준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이론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기존의 자아통합감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언급되지 않았던 영성을 새로운 변인으로 발굴하여 노인의 영성의 하위차원과 자아통합감의 하위영역간의 관계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였다. 둘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노인의 영성 정도가 높을수록 자아통합감의 정도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결과는 보다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영성에 민감성을 가져야하는 필요성 인식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는데 그 실천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노인의 영성을 고려한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으로 사정(assessment)시 활용되는 영적 가계도(spiritual genograms)와 영적 인생도(spiritual time line)를 소개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실천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넷째,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개입시 노인의 영성을 고려한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으로 명상 사용, 노인의 영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자조집단 형성, 지역사회 종교기관과의 연계를 모색하고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일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