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수학 학습양식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Title
수학 학습양식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Other Titles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Testing Tool on the Mathematical Learning Style
Authors
박소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수학 학습양식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성격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타당하고 신뢰로운 수학 학습양식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학습양식의 구성 요인을 알아본다. 2. 수학 학습양식 검사도구 개발과 그 타당성, 신뢰성을 확인한다. 3. 판단된 수학 학습양식과 성격 유형,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시 소재 Y중학교 남녀공학의 1학년 5개 반 154명을 선정하였다. 154명 중 남학생은 84명, 여학생은 70명이었다. 검사도구로는 Grasha와 Reichmann의 학습양식 검사를 기초로 하여 수학 교과와 관련성을 갖도록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수학 학습양식 검사지와 MBTI 성격 유형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수학 성취도 검사는 2004년 2학기 중간고사 수학 성적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 군집분석, 상관분석, 분산분석,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학습양식 검사를 제작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수학 학습양식을 구성하는 4가지 요인(동기, 독자적 학습법, 교실환경, 학습적 교우관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문제 1에서 얻어진 4가지 요인은 일반적 학습양식과 관련된 선행연구들과 유사하므로 어느 정도 내용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 요인별 신뢰도 계수는 동기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의 신뢰도 계수가 조금 낮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요인별 문항 수가 적음을 고려하면 개선의 여지가 있다. 셋째, 요인분석 결과와 양류상관계수를 살펴본 결과 수학 학습양식과 성격 유형 사이에는 부분적으로 상관이 있었고,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통해 수학 학습양식별로 구분된 그룹에 따라 수학 성취도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 결과 및 제한점에 근거한 제언 및 후속 연구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을 중학교 1학년 학생 154명으로 선정하였고, 제한된 문항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대상 선정과 추가 문항에 있어 좀 더 폭넓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학 학습양식은 몇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도 일부 파악되었듯이 성격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추가의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성격에 맞는 학습양식을 예측할 수 있는 학습양식 검사도구의 개발이 완성되어야 한다. 또, 학습양식이 학업 성취도와도 관계가 있으므로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tool to distinguish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of each student so that its relationship with personalities and with the level of achievement can be understood.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e locate the factors of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to develop of a valid and reliable test. 2. Invent a testing tool to identify the mathematical learning style, and confirm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3. Reveal the relationship among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types of personality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154 students from 5 freshman classes in Y Middle School in Seoul have been chosen as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is study. Of the 154 students chosen, 84 were male and 70 were female. Along with an MBTI personality type test, a pre-invented mathematical learning style test based on Grasha and Reichmann was distributed. For the level of achievement, the results in the mathematics midterms of the second semester of year 2004 were used. In order to perform these tasks, used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efficients, cluste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test analysis.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first, we are learn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hat there are 4 distinguishable factors (motivation, personal learning method, class environment and learning-oriented peer relations) in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The second, the 4 factors mentioned above are similar to those of existing studies on the general learning styles, so their validity can be apprehended. The reliabilities of items in each factor except the motivation factor turned out to be a bit low. But it is not surprising because only a few items consist of each factor. The third, looking at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and the point-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 we perceive that the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are partially related to personality types. It is also perceived from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post-test analysi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achievement among the groups formed by different mathematical learning styles. And the followings are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for future studies based on our study. Firstly, the generalization of our results shall be limited because of the fact that only 154 freshman students were investigated and that the limited number of items of our questionnaire. A further study of a wider range of chosen groups and of questionnaire is wanted. Secondly, as learned through this study, the mathematical learning style is made of several factors and is related to personality types. A further study, therefore, needs to complete a testing tool that can predict each student's optimal mathematical learning style. In addition, as there appears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style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continuous study on this subject is expe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