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한국의 교육과정에 반영된 정치참여론의 변화

Title
한국의 교육과정에 반영된 정치참여론의 변화
Other Titles
The changes of the theory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flected in the Korean curriculum - Focussing on the 5th, 6th, 7th Curriculum-
Authors
장민지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왕식
Abstract
최근 각종 시민 단체 및 이익 집단의 의사 표출, 사이버 공간을 통한 네티즌들의 자발적 정치참여, 최근의 촛불 시위까지 한국의 정치 상황은 지금 그 어느 때보다도 국민들의 정치참여가 봇물처럼 분출되고 있다. 이러한 성향은 정치교육 과정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 속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정치참여는 이전의 교육 과정 속에서 보이던 정치참여에 비해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정치참여 문제가 정치교육 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가를 살펴보고 그 내용의 변화 원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정치가 민주주의의 역사적 배경을 확고히 가지지 못한 채 해방 이후 줄곧 시행착오와 혼란의 경험으로 점철되었듯이 정치교육 또한 체계적인 논의의 바탕 없이 이루어져 왔다. ‘민주 시민의 양성’이 한국 정치교육의 가장 중요한 기본 이념이라는 데 이론의 여지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정치교육에서는 권위주의 체제의 정치적 요구가 강조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치참여의 문제 역시 많은 제약을 가지고 다루어졌으나 1990년대 이후 실시된 제 6차 교육과정부터는 그 양상이 매우 달라지기 시작한다. 정치 관련 교과서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1992년에 고시된 제 6차 교육과정에서는 정치참여가 이전 교육과정보다 훨씬 강조되었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치참여 문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 양상을 통해 교육 인적 자원부, 한국 교육 과정 평가원, 한국 교육 개발원 등 관련 기관의 문헌 자료를 통하여 그 배경 요인을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고 있다. 첫째, 제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특히 정치교육에서 정치참여론 반영 추세의 변화가 명확히 구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5차 이전의 교육과정에서는 특별히 부각되지 않았던 시민의 정치참여가 제 6차 교육과정에서는 강조되기 시작하였고 제 7차 교육과정에 이르러서는 정치참여의 강조와 함께 내용도 더욱 구체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제 5차 교육과정이 마무리되고 제 6차 교육과정을 결정했던 시기는 1980년대 말 6월 항쟁과 함께 한국의 민주화 발전 시기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정치교육에서 정치참여론의 강조의 원인으로 국가의 정치 상황 변화를 들 수 있겠다. 셋째, 제 6차 교육과정에서 제 7차 교육과정으로 넘어가는 시기에도 역시 여러 가지 국가적·사회적 상황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 즉 1991년 지방자치제의 부활, 냉전체제의 해체와 전지구적 차원의 문제 대두, 시민 사회의 확장,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통신망의 발달 등으로 오늘날 참여의 문제는 화두가 되었고 이제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이 또한 정치교육에서 정치참여론이 더욱 강조되고 좀 더 구체화되는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넷째, 앞의 정치·사회적 요인들 외에 교육·학문적 측면에서 고찰해 본다면 사회 참여 기능의 학습이 최근에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회 참여 기능 학습의 강조는 자연스럽게 정치참여의 강조로 이어졌다. 따라서 정치참여의 강조는 정치교육을 포함한 사회과 교육과정 내에서의 요구와도 부합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 과정 결정 구조 자체도 정치교육에 있어 참여론의 강조라는 내용 변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다. 즉 교육 과정 결정에 있어서 참여자와 그 참여 형태가 국가 직접적 개입적 참여 구조에서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가진 참여구조 형태인 반전문적 참여 구조로 변화하였다. 정부 주도적 교육 과정 결정 구조에서 벗어났다는 사실은 내용 결정에 있어서 정치참여론의 반영은 물론 보다 다양한 제시와 객관적인 서술을 가능하게 한 또 하나의 요인으로 충분하다. 결국 정치교육에서 정치참여 문제가 6차 이후 강조되기 시작하였고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그 중요성과 물론 구체적인 실천 방안과 다양한 사례까지 제시되고 있음을 통해 시기적으로 살펴볼 때 한국의 민주화 발전 과정과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치교육 내에서의 정치참여론의 강조는 이러한 정치·사회적인 교육 외적 요구와 교육·학문적인 교육 내적 요구가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겠다.;In recent years, people's political participation, for examples strong demands of several civic and interest-related groups, voluntary political participation of netizen, and recent candlelight demonstration, looks like overflowing more than any time in Korean political circumstances. These trends appear in a political education curriculum. A concept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s quite different from former ones.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how the matter of political participation has been reflected in the course of political education and analyze causes of the change of contents. As the political history of Korea has been the succession of trials and errors and disorders without solid historical background of democracy after the 1945 Liberation, the political education has formed without a base of systematic discussions. There may not be different opinions on that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 i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the Korean political education. However, it is true that political demands of authoritarian governments have been emphasized in actual political education. Therefore, the matter of political participation was handled under the several limitations, but a condition started to change since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that was executed in 1990s. According to analysis of political textbooks, it was founded that the matter of political participation was more emphasized in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that was notified in 1992 and that is handled more concretely in 7th Education Curriculum that is now effective. I examined the background factors of the changes by scrutinizing documents of related institutes, such as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and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rend changes that the theory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reflected can be clearly differentiated in the political education until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 was able to find that political participation of citizen that did not stand out until the 5th Education Curriculum started to emphasized in 6th Education Curriculum and it is not only emphasized, but contents is also concretized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ing textbooks. Second, political change of Korea can be referred to as a cause of emphasis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political education. It is verified by the fact that the time when the 5th Education Curriculum was finished and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was decided is nearly accordant with the time when the Korean democracy developed by the June Struggle in late 1980s. Third, international and domestic social changes can be found at the time between the 6th and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matter of participation becomes the today's topic and essential element of modern democratic society because of the restoration of local autonomy in 1991, the end of the cold war, the rise of global problems, the expansion of civil society, an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These factors also seem to act as a cause that political participation is emphasized and concretized in the political education. Forth, when examining in the educational and academic aspects besides above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it can be seen that the study of the function of social participation is emphasized in recent. This emphasis is naturally caused the emphasis on political participation. Therefore, the emphasis on political participation is accordant with the demand of educational course of sociology subject, which includes political education. Finally, a decision-making system on a curriculum also had some effect on the changes of contents, the emphasis on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education. In other words, participants and participatory ways changed from participatory system that governments directly intervene to semi-professional participatory system that has some autonomy. The fact that the system got out of the government leading system is enough to be an element that made possible not only reflection of the theory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contents-decision, but also more diverse presentations and objective descriptions. In conclusion, I was able to analyze that the matter of political participation nearly matched with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Korea.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matter started to be emphasized since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importance, the concrete practice ways, and the diverse examples of the matter were presented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herefore, it is seeable that the emphasis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education resulted from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demands, or social and political demands and educational and internal academic on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