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패션 브랜드 웹사이트 홈페이지 색채계획

Title
패션 브랜드 웹사이트 홈페이지 색채계획
Other Titles
The Color Plan of Fashion Brand Web Site Homepage
Authors
백은성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복식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연
Abstract
Social paradigm which is based on the Internet environment is changeing constantly and rapidly. the internet era of the 21st century can be defined as the generation when 'creative mind and sensitivity' is needed. This situation led Internet users of these days to be insensible to day by day progressing web sites and they are not interested in newly developed web sites any more. To service in this circumstances, ones always need to come up with the differentiated strategy and breaking ideas to top off their competitors. Among all of these ideas to elevate an web site, design is considered as the single most important elementand it is now considered uneconomic to use photos, images and illustrations for design constitutions when allowing for the heavy network speed. Consequently, we came to the strategies applying colors in the designing process. Qualitative change of the homepage color planning is now considerd as requirement of the time. Many of the overseas global fashion companies had been doing their best to build the good-looking systemic websit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Internet era and thus they are ahead of us in this field and now they are even optimizing their websites utilizing the coloring aspect and the operating methodologies together. However, colors do not seem to be in the phase of practical use for domestic fashion brand website yetand hardly one can go against the fact that they were bit ignorant to the trobles led by keeping the old fashioned way. It is time for our companies to stop following the standardized trends and buildup the worldwide competitive website infras with the concrete strategy and methodology. this put our fashioncompanies in the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have hard times to creat the same brand value they have obtained through offline business in online aspect also. In the fashion industry, color is one of the important sensitive facts. Color is the significant modeling requisite for sensitive expression and it is the most perfect symbolic language for expressing the human sensitivity. Representative color on the websites can project the brand image of the website. In others words, image of the website itself can be recognized as the brand identity. Consequently, it is never too much for stressing the importance of color in delivering very first impression of the website. Color is also a powerful means to express the wed identity. In the end, color can be spoked as an web identity that can bring up the associated image of the brand. Therefore, the web identity must be provided first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plan the permanent growth and secure the customer reliablility by delivering the same brand image both through online and offline. To meet the above needs of the time, I conducted investigations based on color to find out ways to strategically differentiate the Internet based brand homepage. The main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deep the offline color construction images of the famous global fashion brand are related to their online brand color images as their unique brand color. The subject (10 companies) of this research are Donna Karan, Anna Sui from New York, Vivienne Westwood and John Galliano from London, Etro and Giorgio Armani from Milan, Jean Paul Gautier and Christian Dior from Paris and Enzuvan and Y & Kei from Seoul, which were selected throgh the questionnaire, and I analysed differences in the color characteristics between their offline brand collections and online website contents. The main tool used for this research is NCS(Natural Color System) which is the logical color system built up based on the human viewpoint toworld the color and receiving much recognition as the color system raised the relativity between human, color and environment by statistically applying observer's reactions according to color perception variable. Compared to existing color systems which contain the limitations due to their absolute and mechanical natures, NCS express colors based on the probability with the relativistic concept by comparing ones with their adjacent colors. The research works includes color circle and hue triangle using the NCS with the color analysis method appeared on each brand's collection and homepage. the next stage was examining the hue territory by applying the results from above process to NCS Characteristic Nuance Area by L. Sivik. The primary result from analysing color chacteristics of collections from 2003 Spring/Summer to 2005 Spring/Summer and homepage itself splits the brands into two groups. One showed their concrete identity in color usage and others we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tables by using variety of colors. Although, to a certain degree, this reflects today's fashion trends which uses more colors then before, they never lost their unique brand identity by showing clear differences in ni\umber of color usage, frequency and adjacent area. The secondary results showed number of colors used in homepage appeared way smaller than used in collection. This seems apparent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homepage has to show colors of the corresponding brand in an intensive way. Although it has its own pursued basic color, on the other hand, collection has to be appeared in all variations on every single clothing item based on its nature of showing-off activities. With overall perspective, although they were different in numbers, there was a correspondency in colors of the centered area both in homepage and collection. Consquently, is seemed apparent that there were certain connection links between the colors of homepage and connection regardless of the brand name. Lastly, matter of finding the difference in brand sensitivity between homepage and collection, which wa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also clearly arranged by identifying 10 brands were directly reflecting color concept of their collections to the ones on their web-based boutique. So th speak, their unique brand concepts and images were equally projected both on their homepages and collections. Besides, their advertisement images and promotion materials also showed the same unique color concept of brand sensitivity. The cross analysis of 3 subjects allowed me to draw a conclusion that the color concept of a brand was proved to be the same through its every collection, homepage and advertisement and this makes it possible to secure the firm identity from its color sensitivity as a worldwide brand. In the process of color research and amalysis, there were certain limitations for presenting the evident colors and securing the statistical data throughout the year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I am planning to launch a new fashion brand named 'Silver B..' as well as to develop its unique and characterisitic homepage with the color that can characterize the brand as a professional fashion unit. The utmost important matters in the making process were consistency of the brand and its concept, superiority over other brand homepages and unity of all liked pages in the site. Detailed facts of tis study are as follows; As the total fashion cordination brand pursuing the life style of urban sensitivity, homepage of 'Silver B..' avoids excessive decoration and goes along with the creative brand concept which concludes simple and novel modernity. the dominant colors of the homepage would be morden and intellectual colors such as blue and grey to simbolixe the acting sense of web business in the manner of agility and rapid switch of concciousness. Overall color tones would be greysh blue to cope with colorcentered concept rather than image centered one. Overall color coordination of the homepage would be done with dovish blue grey toe to stress the solemn and polished image and not lose the high-class appear at the same time. Accent colors including tone-downed brownish from khakish brown to yellow ocher brown are used in narrow space and text. Various sub colors are used to minimized the weakness lead by the colors which adds the cold appeal to the brand and whitem pearl, pastel turquoise blue, light pink, light violet, light green, peach tone were also added to give the warmness, graveness and decorative appeal to the site. To give special amusement and alteration in the screen formation, clear and strong looking high-valued colors are applied to the main clicks. Contrary to that, low-saturated colors are substituted as the emotional empathy. Stressing the beauty of margin all over gives viewers the visual resting space and accent colors are incerted to add the point effect on the comport, abundent and misty atmosphere. Both accent colors and sub colors are properly used in the main body text. Concentrated on maintaining the unique integrated styles of 'Silver B..'to make sure the visitors don't feel like they have moved to another website regardless of different looks of each menus of the homepage was my primary issue in the buildup process. This effort includes same brand logos, symbol marks, navigation bars and menus on the upper-right part in every other pages. Those were the main ingredients to elevate the visual effect, which sticks out the symbol mark and logo along with the brand name. Since the brand name, logo and symbol mark must be seen within the first sight of the website visitors, the flaps of pigeon's wing were added to attract their gaze. The main purpose of building up this homepage was to revive the same color appeal of the real product image pursued by the proposal of the 'Silver B..' homepage construction. The color plan of 'Silver B..' homepage was progressed on case analyzation and result were verifi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main issue of the 'Silver B..' color design was on the homogeneity of color sensitivities between the real brand products and the ones posted on the homepage menu. Second, constructing the homepage under the plan focused on the differentiation helped the creation of our unique brand color identity. Besides, no single page which was liked to our homepage could have a different color. Lastly, the color characteristics were strengtened by intended homogeneous sensitivity between the brand color concept and the several decorative items on the homepage-symbol mark, bubble-shaped ball, see-through body, frame of product image and texts. Since the contents of website are also working as the critical decsion factor for the homepage's life and death, high-end contents development is the must-do procedure. If your brand's has potential customer's from overseas, your contents must be able to afforld the visitors from worldwide. An homepage with the nation-oriented design or english-unsupported features can not survive in this worldwide network paradigm. In other words, brand communications will enhance the customer relation and is also important as the effort in the marketing aspect. Thanks to their specified and characterized nature, our domestic designer brands can contribute in the globalization if they can develope the website satisfying the global standard. Colors bares the very important meaning since the essential factors for the homepage building process include every activity and sensive experience related to the brand. Moreover, it is important to buildup an homepage contains the proper color identity if it is related to the fashion anyhow. Hopefully,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in building up the color environment elevating the visual and emotional quality of fashion brand homepage.;멀티미디어 테크놀러지(Multimedia Technology) 발달에 따른 인터넷(Internet)은 정보화시대 기업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을 출현시키고 있다. 특히 비지니스와 관련된 제반활동은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은 단순한 대체수단이 아닌 무한한 잠재력의 결집체이다. 인터넷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변화시켰고 공간개념과 가치관을 변화시켰으며 새로운 구매방법을 창출하는 등 인류 생활의 방식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제 기업의 선택은 인터엣을 활용할 것인가 아닌가의 문제가 아니라 인터넷을 어떻게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경쟁환경에서 경쟁우위를 창출하고 유지하는가에 있다, 기업에 있어서 웹사이트는 효율적인 실시간 사이버 커뮤니케이션과 핵심적인 마케팅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이다. 이에 각 기업들은 웹 환경을 홍보의 수단, 고객의 서비스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어 웹이라는 매체의 중요성과 독자적 매체로서의 차별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웹디자인 연구 분야에서 색채연구는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색채는 패션, 섬유, 제품, 인테리어, 환경 등 전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왔으나, 웹이라는 매체에 있어서의 연구는 부진한 상태이다. WI(Web Identity)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CI(Corporate Identity), BI(Brand Identity)에 이어서 웹에서의 정체성 확립은 홍보와 정보 전달의 기능을 주로 하는 웹사이트 환경에서 가장 웅요한 것이며, WI의 형성에 큰 몫을 차지하는 것이 색채이다. 색은 그 자체로써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시각정보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색채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감성을 중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여 보다 광범위하게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 속에서 국제적 경쟁력의 강화를 위한 디자인과 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기업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어떻게 브랜드를 차별화시켜 고객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고 브랜드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관계 형성에 이를 것인가가 인터넷을 환경으로 활동하고 있는 브래랜드들의 해결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웹 아이덴티티가 불확실한 웹사이트는 무의미한 이미지와 색을 사용한 화려한 인터페이스로 인하여 디자인 아이덴티티가 결여되어 있으며, 비체계화된 인터페이스 설계로 인하여 방문자들로 하여금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이에 웹사이트의 리노베이션 작업은 이제 흔히 일어나고 있으며, 단순히 시각적으로보기 좋은 웹으로 만족할 것이 아니라 통일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브랜드의 이념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고 상징화한 것이 브랜드 색채이다. 그러므로 각 브랜드마다의 효과적인 크리에이티브 요소인 색채계획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브랜드 이미지와 상품 이미지와 색채 감정 반응의 기호이미지 즉, 감성 이미지가 하나로 통합된 이미지로서 색채계획이 필요하다. 색채로서의 웹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브랜드의 홈페이지는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고취시키고 명확히 심어주며 나아가 웹사이트를 통한 세계화(Globalization & Localization)에도 기여할 수 있다. 새로운 패션 브랜드 웹사이트 홈페이지의 디자인 색채계획을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전세계적으로 인지도가 있고 색채로서 특징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 유명 패션 브랜드들의 홈페이지 현황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2003년 S/S 시즌부터 2005년 S/S 시즌까지의 각 브랜드들의 컬렉션에서 보여지는 색채와 홈페이지상에서 보여지는 색채의 특성을 각각 분석하여 서로간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는데 이는 오프라인 상의 브랜드 색채와 온라인 상의 브랜드가 추구하는 색채가 그대로 연결이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진행되었는데, 이론적 연구 부문에서는 연구의 기본적 바탕으로 학문적 접근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국내, 국외의 문헌과 학술연구지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색의 체계, 패션과 색채, 디지털 색채, 패션 웹사이트 홈페이지 색채에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세계 패션의 4대 대표도시인 뉴욕, 런던, 밀라도, 파리 그리고 서울에서 영향력 있는 패션 거장들의 컬렉션에서 보여지는 의상 작품들의 색채와 인터넷 웹사이트상의 홈페이지 색채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색채특성을 비교, 문석하여 현황을 조사하였고, 현 시점에서 문제점과 발전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브랜드 선정 대상은 색채로써 뛰어난 감각을 선보이며 동시에 인지도가 있는 디자이너 브랜드이다. 브랜드 선정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는 구체적으로 뉴욕에서 도나 카란(Donna Karan)과 안나수이(Anna Sui), 런던에서 비비안 웨스트우드(Vivienne Westwood)와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 밀라노에서 에트로(Etro)와 조르지오 아르마니(Giorgio Armani), 파리에서 쟝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와 크리스챤 디올(Christian Dior), 그리고 서울에서 홍은주의 엔쥬반(Enzuvan)과 강진영의 와이 앤 케이(Y & Kei)이다. 컬렉션의 색채 자료는 투명소재나 광택소재, 측색이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하고 작은 무늬, 금속성 소재, 그라데이션(Gradation) 염색 등으로 측색에 어려움이 있는 것들은 측색 대상에서 제외한 총 1518점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컬렉션과 홈페이지 색채 대상물의 색을 추출하여 색상, 색조의 분포 특성을 알 수 있는 색상분포도와 색조분포도를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면적비를 고려한 색면구성 작업을 하였으며, L. Sivik이 제시한 NCS Characteristic Nuance Area에 적용시켜 영역별로 의 총체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색채표기는 NCS 색 표기법을 기본으로 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LAb값(L*a*b*)을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색채 분석 과정에 있어서의 색채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각 브랜드마다의 컬렉션과 홈페이지 색채에 있어서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각 컬렉션과 홈페이지에서 브랜드 고유의 추구하는 색채가 그대로 전달되는 지에 대한 연구 결과는, 패션이라는 분야 자체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대부분의 브랜드가 색채를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구사하고 적용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그 가운데서도 브랜드마다의 색채가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영역면에 있어서는 차이를 두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컬렉션과 홈페이지를 비교하였을 때, 홈페이지에 사용된 색채의 수가 양적으로 보면 훨씬 적게 나타나는데, 이는 홈페이지에는 해당 브랜드가 추구하는 색채를 집약적으로 압축해서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다. 반면 컬렉션의 경우에는 패션 컬렉션의 특성상 브랜드 고유의 추구하는 색채가 있어도 그 색채들을 기본으로 두고 그 범주 안에서 조금씩 다양하게 변화를 주면서 여러 의상 아이템별로 적용하여 선보여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컬렉션과 홈페이지 모두 색채의 분포 영역면에서는 역시 대부분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패션 브랜드로서의 파워가 강하고 인지도가 있는 세계의 유명한 브랜드들은, 컬렉션과 홈페이지에 있어서의 색채 사용에 브랜드 컨셉의 색채가 그대로 적용되고 있었다. 이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사이의 브랜드 마케팅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못하며 디자인의 트랜드만을 쫓는 현 국내 브랜드들에게 모범이 되며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브랜드의 고유 감정 색채 이미지는 컬렉션과 홈페이지에서 일맥상통하게 보여지고 있었고 이를 통해 세계적인 브랜드로서의 감성 아이덴티티가 확실하게 구축되어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종합적인 분석을 토대로 한 본 연구자는 새로운 패션 브랜드 Silver B..의 런칭을 앞두고 홈페이지 구상과 색채계획을 하였다. 패션 브랜드로서의 성격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색채로서의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홈페이지 제작을 기획하였다. 제작시에 가장 염두에 둔 사항은 브랜드의 컨셉과의 일치성, 타 브랜드 홈페이지와의 차별성 그리고 홈페이지 내의 링크 되는 모든 페이지의 통일성을 고려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주체적인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Silver B..' 브랜드 홈페이지는 도시적 감성의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토탈 패션 코디네이션 브랜드이다. 과도한 장식성을 배제한 심플하고 고급스럽고 모던한 크리에이티브 감각의 이미지를 표현한다는 브랜드의 컨셉에 맞추어 색채를 계획하였는데, 도시적이고 지적인 색채인 블루와 실버의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블루와 그레이를 다양하게 전개하였다. 이 색채는 정보획득의 민첩함과 빠른 의식의 전환이라는 웹 비지니스상의 행동양식을 상징하는 의미를 내포한다. 전체적으로 그레이쉬한 블루톤을 주조색으로 화면 전체에 배치하여 이미지의 표현보다는 색채를 위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도브(Dove)빛이 감도는 블루 그레이톤의 컬러 코디네이션 적용으로 인해 엄숙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강조하며 차분하고 고상하며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대한 감성적인 느낌을 추구하였다. 좁은 면적이나 텍스트 부분에 그 셩격에 맞는 강조색을 적용시켰는데, 강조색으로는 약간 톤다운된 브라운계열의 색채를 위주로 전개하였고, 카키쉬 브라운에서부터 옐로우 오커 브라운까지 범주를 두었다. 한색 계열의 차가운 후퇴색상인 블루에 그레이를 더하였기 때문에 무게감으로 가라앉을 수 있는 색 자체의 약점을 보강하기 위해 보조색으로는 다양한 색채를 사용하였다. 보조색은 중후함과 따뜻함을 표현하려는 의도로 화이트를 비롯하여 진주펄, 파스텔톤의 연한 터키블루, 연핑크, 연보라, 연두색, 살구색 톤을 선택하여 전개하였는데 이는 장식적인 포인트 역할의 효과를 갖게 해주었다. 화면구성의 다른 재미와 변화를 부여하기 위해 중요 클릭 대상에는 다소 고병도의 선명하고 강한 빛을 적용시키는 반면, 전체 바탕화면의 색채로는 감성이 이입된 저채도 컬러들을 대입시켰고 저채도의 색 변화만으로도 조화를 적절히 응용하였다. 전체적으로 화면에 여백의 미를 강조하여 시각적으로 휴식의 공간을 제공하였고, 하부 카테고리별 색상은 각각의 특성에 맞게 조금씩 변화를 주어 다양하게 조율하였다. 또한 편안함, 여유로움, 은은함 속에 강조색으로 포인트 효과를 유도하였고, 텍스트색채 사용에 있어서 강조색과 보조색을 적절히 활용하였다. 홈페이지 각 메뉴별로 분위기를 약간씩 달리하였지만 메뉴별로 이동을 하더라도 다른 사이트로 이동했다는 느낌을 주지 않을 만한 'Silver B..'만의 통합된 고유 스타일을 유지하는 데에 주의를 기울였다. 서브 메뉴 사이의 분위기는 다소 바뀔지라도 상단 우측의 메뉴박스와 전체적인 네비게이션은 변화없이 일정한 형식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브랜드 로고와 심볼 마크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요소를 모든 페이지에 삽입시켰다. 이와같이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상기시키고 더불어 브랜드 상표 및 로고를 부각시키는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브랜드명과 로고, 심볼 마크인 비둘기의 날개짓으로 인한 움직임으로 시선집중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자의 목적은 브랜드가 추구하는 제품 이미지에서 느껴지는 색채가 그대로 웹사이트 홈페이지 상에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Silver B..' 홈페이지에 그대로 적용시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내면 세계의 감흥을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는 조형요소로서 색채를 선택하였고, 작품의 감성표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홈페이지 결정 요인은 브랜드와 관련된 모든 행동과 감각적 경험의 감성적인 부분인 만큼 색채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더욱이 패션 관련 홈페이지라면 그에 부합하는 색채로서의 아이덴티티가 있는 홈페이지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Silver B..홈페이지 색채계획을 하여 제품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시각적으로 개성있는 사이트 모델을 제시하며, 이를 토대로 국내 패션 브랜드 홈페이지의 시각적인 환경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홈페이지를 제작할 패션 브랜드들에게 강력한 브랜드로 발돋움하기 위한 전략과 효과적으로 전개해 나갈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석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국내 패션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더 나아가 세계적인 브랜드로서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