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Title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 Validity of An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Authors
이주화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아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for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 its construct validity. This study examined evidence of a four-factor structure of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r Korean students and the invariance of the scale across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school differences at the latent mean level.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prior to research. Based on the 2×2 framework of achievement goal theory, 49 items was constructed. The 49-item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32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fter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0 items(5 items of performance-approach goal, 5 items of performance-avoidance goal, 5 items of mastery-approach goal, 5 items of mastery-avoidance goal) was retained for the final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The 20-item final scale was administered to 98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responses were analysed. In result, the evidence of a four-factor structure of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r Korean students was foun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proved to be acceptable(performance-approach: .81, performance-avoidance: .80, mastery-approach: .72, mastery-avoidance: .80). The four-factor structure of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it quite well for both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further supporting the 2×2 framework of goal orientation. Given the adequate configural, both metric and scalar invariance was tested and supported, which allowed the examination of school differences at the latent mean level. The latent mean analysis indicat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endorsed mastery-approach goals to a greater extent than high school students.;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제안된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의 2×2구조가 국내의 중ㆍ고등학생에게 일반화 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중ㆍ고등학생용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구인타당도 탐색 및 척도 사용의 일반화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학교급에 따른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의 요인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다양한 종류의 국내외 성취목표지향성 척도를 참조하여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완숙접근목표, 완숙회피목표의 각 하위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예비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는 중ㆍ고등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연구를 통해 최종 20문항만이 선별되었다. 최종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ㆍ고등학생 989명을 대상을 한 본검사 자료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에서 척도의 요인구조가 동등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급간 요인구조의 동등성이 확인된 후 중학생과 고등학생간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의 요인별 잠재평균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교급간 잠재평균차이의 원인을 탐색하고 척도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관련 변인인 학교의 심리적 환경 변수와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49문항으로 이루어진 예비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 내용은 수행접근, 수행회피, 완숙접근, 완숙회피 목표로 명명될 수 있었다. 문항분석과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총 20문항(수행접근목표 5문항, 수행회피목표 5문항, 완숙접근목표 5문항, 완숙회피목표 5문항)의 최종 척도를 구성하였다. 2. 최종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의 요인계수도 적절한 수준을 보였으며, 하위 요인간 상관관계도 선행 연구와 일치하여 본 척도에 대한 구인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척도의 하위요인별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수행접근목표가 .81, 수행회피목표가 .80, 완숙접근목표가 .72, 완숙회피목표가 .80이었다. 2. 본 척도가 중학생과 고등학생간 동등한 요인구조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급간 구인동등성, 측정동등성이 확보되어 본 척도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게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공용 척도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따라 목표유형간 잠재평균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잠재평균비교를 실시한 결과 모든 목표유형에서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요인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완숙접근목표를 제외한 나머지 목표유형들은 작은 효과크기(d)를 갖기 때문에 신중하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 3. 학교의 심리적 환경변수와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의 상관 분석 및 학교급에 따른 학교의 심리적 환경변수의 각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이 지각하는 학교의 심리적 환경이 학생이 채택하게 되는 목표유형과 유의한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이 고등학생 보다 학교 선생님이 숙달목표를 더 강조하는 것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환경적 요인이 고등학생 보다는 중학생이 더 완숙접근목표 지향적이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