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5 Download: 0

국어의 원순모음화 연구

Title
국어의 원순모음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ounding in Korean Language
Authors
이지욱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Degree
Master
Advisors
박창원
Abstract
본고에서는 국어의 순자음 뒤에서의 ‘ㅡ>ㅜ’의 변화와 같은 환경에서의 ‘ㆍ>ㅗ’의 변화를 논의하였다. 순자음 뒤에서 비원순모음이 원순모음으로 변화하는 이 두 가지 원순모음화 현상은 각각 시기와 발생지역에 있어 차이를 두고 발생한다. 이에 본고는 이러한 차이점이 통시적인 모음체계의 변화와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 그것에 대한 타당한 음운론적 해석을 내리는 데 논의의 초점을 두었다. 그간의 순자음 뒤에서의 원순모음화에 관한 연구는 모음체계의 통시적인 변화와 연관지어 다룬 논의는 부족했으며, 순자음 뒤에서 ‘ㅡ>ㅜ’의 원순모음화 현상과 같은 환경에서의 ‘ㆍ>ㅗ’의 원순모음화 현상이 대부분 함께 논의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원순모음화 현상을 함께 다루고 이 두 음운현상과 통시적인 모음체계와의 관련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사 검토를 통해 문제를 제기하고 본고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국어의 원순모음화의 유형을 분류하고 개념을 정리하는 부분이다. 원순모음화는 비원순모음이 원순모음으로 동화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때 ‘ㅗ’, ‘ㅜ’가 동화주가 되어 다른 음절의 비원순모음을 동화시키는 음운현상을 원순성동화라 하여 양순자음에 의한 원순모음화와 구별해야 한다. 이는 원순성동화는 원순모음화와 달리 수의적으로 실현되는 공시적인 현상이기 때문이다.따라서 본고에서도 원순모음에 의한 동화를 원순성동화, 양순자음에 의한 동화를 원순모음화라고 하여 용어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Ⅲ장에서는 국어의 원순모음화 현상을 순자음 뒤에서의 ‘ㅡ>ㅜ’의 현상과 순자음 뒤에서의 ‘ㆍ>ㅗ’의 현상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주지한 것처럼 이 두 가지 음운현상은 발생 지역에서도 차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절에서는 이러한 원순모음화 현상의 검토에 있어 어느 방언의 문헌자료인 지를 먼저 밝히고 형태소 내부와 형태소 연결로 환경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이 두 가지 원순모음화가 분철의 경우에서는 형태소 내부와 형태소 연결에서 원순모음화의 실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는데, 실제로 발음상으로는 원순모음화 현상이 일어난 것이지만 근대 국어 시기의 문법의식의 향상으로 인해 분철 표기의 경우 원순모음화 현상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은 것을 해석할 수 있겠다. Ⅳ장에서는Ⅱ장에서 검토된 원순모음화 현상을 모음체계의 통시적인 변화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그리고 중세국어 모음체계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훈민정음』에 제시된 대립 자질에 대하여 해석을 내리고, /ㆍ/의 비음운화에 대한 검토를 통해 모음체계 안에서의 /ㆍ/의 위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이것으로 확인 된 순자음 뒤에서 ‘ㅡ>ㅜ’의 변화를 겪은 방언 지역에서의 모음체계 변화는 다음과 같다. ㅣ ㅜ ㅣ ㅡ ㅜ ㅡ ㅗ → ㅓ ㅗ ㅓ ㆍ ㅏ ㆍ ㅏ 이에 반해, 순자음 뒤에서 ‘ㆍ>ㅗ’의 변화를 겪은 방언에서의 모음체계는 중세국어의 모음체계와 비교해보았을 때 거의 변화하지 않았을 것이라 보았다. Ⅳ장은 결론으로서 이상의 논의들을 종합하고 요약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achronic modification aspects of a rounding and modification in a vowel system. Accordingly, a general phenomenon was reexamined in terms of exchanging the rounding for morphophonemics in Korean language from 15th century to 18th centu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rounding of Korean into 'within a morpheme' and 'border with morphemes', and to discuss the vowel system modification in relation with the above. Thus, the rounding phenomenon was reviewed with material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n chapter Ⅰ, and the rounding phenomenon as reviewed in the chapter Ⅱ was discussed in relation with the vowel system modification in chapter Ⅲ. First and foremost, allelomorph of the Hunminjeongeum vowel system was interpreted in order to precisely comprehend the vowel system of the middle age Korean language. It was also inspected regarding the position within the non-phonemization of /ㆍ/ and the vowel system in 18th century. Through the inspections as mentioned above, modification aspects of modern Korean vowel system from the rounding were discussed. From the reviewing procedure of the chapter Ⅱ, it was shown that the developmental status of the round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yeoncheol' notation and 'buncheol'(syllabication) notation, for the middle region(Jungbu) dialect, north west(Seobuk) dialect, and Jeonra dialect. Regarding the cases of the 'yeonchul' notation, first, the rounding had been already completed for the north west(Seobuk) dialect and Jeonra dialect, second, the rounding within a morpheme had been already completed for the middle region(Jungbu) dialect, and third, the random replacement in connecting the morphemes was confirmed. Based on the rounding phenomenon examined in the chapter Ⅲ, the diachronic modification of the vowel system was discussed, which enabled an explanation for the rounding of ‘ㅡ>ㅜ’ after the 'sunjaeum'(lip consonant). The rounding with ‘ㅡ>ㅜ’ modification after the 'sunjaeum' is a common phenomenon, existing in all dialects. To explain this phenomenon, a Figure 2 was presented, and the vowel system of the Figure 2 can be seen as to have underwent the diachronic modification, from the vowel system of middle age Korean language shown in a Figure 1, to the vowel system shown in the Figure 2. ㅣ ㅜ ㅣ ㅡ ㅜ ㅡ ㅗ → ㅓ ㅗ ㅓ ㆍ ㅏ ㆍ ㅏ [ Figure 1 ] [ Figure 2 ] Therefore, as for the vowel system of the region that underwent the modification of ‘ㆍ’ and ‘ㅗ’ after the 'sunjaeum' appeared in the certain dialect region, it can be assumed to have the vowel system shown in a Figure 3. It was due to the fact that such a rounding phenomenon was not found in the middle region(Jungbu). In addition, an assumption can be made that an opposition of rounding exists both in ‘ㅡ’ and ‘ㅜ’, and ‘ㆍ’ and ‘ㅗ’ in the middle region. ㅣ ㅜ ㅡ ㅗ ㅓ ㆍ ㅏ [ Figure 3 ] Furthermore, the rounding phenomenon of the ‘ㆍ>ㅗ’ modification after the 'sunjaeum' was a common phenomenon shown in certain dialect regions. The vowel system of the Figure 3 which was presented to explain such a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that it had not underwent the modification of the middle age Korean language as shown in the Figure 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