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Mental Disability
Authors
허안나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성인기부터 심각하고 영구적인 정신장애를 가지고 노년기의 발달단계로 접어든 사람들은 현재의 정신보건서비스 전달체계 내에서는 크게 관심을 받지 못하는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정신장애와 노년기라는 복합적인 특성을 가지면서 장기간 정신보건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에 대한 관심은 서비스 계획과정에서 대체로 무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의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살펴보면 장기간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은 그들의 나이 또래에 비해 축소된 사회적 지지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장애로 고통을 겪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점차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가 강조되면서 이들 대부분이 nursing-home이나 group-home, 집 등 지역사회에 거주할 것이므로 지역사회에서의 삶이 자동적으로 정신병원이나 시설에서 보다 더 좋은 환경적인 질을 보장해주지는 않으므로, 나이와 관련된 전문적인 정신보건서비스가 필요함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정신장애라는 문제와 노년기의 문제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60대 이상의 노년기 정신장애인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8개의 하위영역으로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성인기 정신장애인들과 차별화된 정신보건서비스 개발 방향성 모색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먼저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일반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우울정도, 일상생활수행정도, 가족지지정도를 살펴보았다.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우울정도, 일상생활수행정도, 가족지지정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많은 관련성이 있었던 우울정도, 일상생활수행정도, 가족지지정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현재 서울 및 경인 지역에 정신요양원에 입소 중이거나 지역사회 살면서 정신보건센타에 등록이 되어있는 60세 이상의 정신과 진단(정신분열병, 분열정동장애, 조울증, 주요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대상 100명을 대상으로 약 4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삶의 만족 수준은 대체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삶의 만족 8개 하위 영역에 대한 만족 수준의 순위는 ① 주거환경 ②가족 및 친척관계 ③ 의식경제정도 ④ 신체 및 정신건강 ⑤ 친구 및 대인관계 ⑥ 직업 및 하루일과, ⑦ 자아감 및 일반적 삶 ⑧ 여가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이 비교적 만족하는 부분은 주거환경과 가족 및 친척관계이며, 작업 및 하루일과, 자아감 및 일반적인 삶과 여가활동에 관한 영역에서의 만족 수준은 비교적 낮다는 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주거지형태, 조사대상자가 질병이 없고,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진단명, 용돈출처에 따라 삶의 만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시설 거주자가 지역사회거주자 보다 삶의 만족 수준이 다소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8개의 하위영역 중 모든 영역에서 시설거주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만족도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주거환경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조사대상자의 우울정도는 조사대상자들 대부분이 우울증상이 심각한 것은 아니었다. 조사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정도는 다소 낮은 수준이었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이 고령으로 인한 신체활동의 손상과 일상생활의 활동능력 장애에 약간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가족지지정도는 대체로 낮은 수준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우울정도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 정도와 삶의 만족 수준의 모든 하위영역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수행정도와 삶의 만족 수준의 관계성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정도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가족지지정도와 삶의 만족 수준의 관계성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가족지지정도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을 위한 정신보건 서비스 및 정책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성인기 정신장애인과 차별화된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하여 노년기 정신장애인에 관한 정확한 심리사회적 사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거주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비해 지역사회거주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가 낮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많은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이 성인기의 오랜 병원생활과 시설생활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에서 편안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둘째,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일반 의료서비스에 관한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질병유무,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지가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일상생활수행정도와 삶의 만족도가 상관관계가 높았으므로 노년기 정신장애인에게 일반 의료서비스가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개입이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가족의 지지정도와 노년기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특히 노인의 경우 신체적, 심리적 의존성이 높은 특성을 고려하여 가족에 의한 지속적이고 지지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년기 정신장애인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많은 대상수를 확보하지 못함으로 인해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의 전체 삶의 만족도라고 일반화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노년기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는 매우 낮다 것을 인식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복지 개입이 시급함을 시사해 주는 연구라고 생각한다.;People who have been with permanent serious mental disabilities from their adulthood and are entering in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old age are beside the center of the current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system. Old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who are characterized by mental disabilities and old age requiring long-term mental health services, are generally neglect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services. Various previous researches in other countries report that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who have been hospitalized for a long time are suffering from reduced social support and clinically significant disorders compared to the same age group without mental disability. In addition, as local mental health service is being increasingly emphasized, most of old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will reside at local communities such as nursing homes, group homes or homes. Because local communities do not guarantee better environmental quality than mental hospitals or facilities, many researches suggest the necessity of specialized mental health service specific to the elderly. In Korea,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people in their sixties or older with mental disability under the composite problem of mental disability and old age.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ubjectively by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and its eight sub-area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sett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rvices distinguished from those for younger adults with mental disability in order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daily living activities and family support. It also examined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daily living activities and family suppor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mentally disabled persons aged over 60 with psychiatric diagnosis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disorder, manic depression or major depressive disorder) who were in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the Gyeongi region or residing at local communities and registered at mental health cent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for four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bjects' life satisfaction was generally low. The eight sub-areas of life satisfaction were high in order of ①residential environment ② relations with families and relatives ③ food, clothing and economic condition ④ physical and mental health ⑤ relations with friends and others ⑥ job and daily tasks, ⑦ the sense of self and general life, and ⑧ leisure activit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are relatively satisfied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relations with families and relatives and dissatisfied with job and daily tasks, the sense of self and general life, and leisure activities. With regard to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life satisfaction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whether or not they believe that they are healthy, the name of diagnosis, and the source of pocket money.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ose accommodated in facilities than those residing at local communitie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of the eight sub-areas, satisfaction was higher in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residing at facilities,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ing residential environment. In most of the subjects, depression was not serious. The level of daily living activities was somewhat low, which shows that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have difficulties in doing physical activities for their everyday life because of disorders from old age. The subjects' family support appeared to be generally low.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ubjects' depression was the lower their life satisfaction was. In addition, depression wa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of the eight sub-areas of life satisfaction.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living activities of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daily living activities was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support of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family support was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ade suggestions as follows on developing mental health services and policies for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First,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distinguished from those for younger adults with mental disability, it is necessary to make accurate psycho-social investigation of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In this study, life satisfaction was lower in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residing at local communities than in those dwelling in facilities. Accordingly,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mental health services at local communities so that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can lead a comfortable life in their old age at local communities rather than being confined in hospitals or facilities for a long time.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general medical services for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In this study, the elders' subjective perception on their sickness and health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daily living activities was in a clos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ccordingly, intervention is required so that general medical services are adequately supplied to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Third, this study found a clos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Thus continuous supportive intervention in families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old people's high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pendency on their families. Because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and the number of subjects in this study was not large enough, life satisfaction measured in this study cannot be generalized for the entire population of with mental disability. Nevertheles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s with mental disability is quite low in general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for them are urgently required.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