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디지털 교사 포트폴리오 활용이 교사의 교수능력과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디지털 교사 포트폴리오 활용이 교사의 교수능력과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gital Teacher Portfolio on Teaching Competenc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Authors
金英侏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Keywords
디지털 교사포트폴리오 활용교수능력학업성취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at teachers capitalize on digital portfolio as a way to develop their expertise, qualities and teaching competence and bring an ensuing change to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s the difference of using digital teacher portfolio or not by teachers have on their own teaching competence? 2. What's the difference of using digital teacher portfolio or not by teachers give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3. What's the difference of using digital teacher portfolio or not by teachers have on student attitud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 teacher and his 31-member clas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September and October 2002. Digital teacher portfolio was prepared for math instruction only, and portfolio materials collected four times during two-month period, including reflective journals, lesson plans,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 live images, were posted on the school homepage to get feedback from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nother teacher who had the same career as the subject teacher and taught the same subject was selected as a control teacher, and his instructions were videotaped in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experiment. The four live images of the instructions conducted by the subject teacher and the control teacher were rated by 2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10-year or higher career by using a teaching competence checklist. To see whether student math achievement and math attitude were affected by the digital teacher portfolio, the subject teacher's class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class that was most similar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interclass math achievement collectiv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as chosen as a control group. The math achievement test carried out by the school twice a semester was utilized to assess their math achievement. and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l992) 's math learning set inventory was employed to measure their math attitude. And the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put to 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t-tes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the digital teacher portfolio gave any impacts on teaching competence, it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with p value .004(t=3.00, df=46 p<.05). Second, covariance analysis and t-test were implemented on the math achievement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ird, when the math attitud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ere processed by t-test, there appeared significant gap(t=2.41, df=61, p<.05).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the experimental research showed that the digital teacher portfolio makes a contribution to enhancing teaching competence. Second, the teaching competence improved by using the digital portfolio doesn't exercise a direct influence on eleva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Third, the teaching competence improved by using the digital portfolio could prevent students from having a nega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hat might occur when instruction is getting difficult to understand with the lapse of time. In conjunction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teachers should make spontaneous and open-minded efforts for better education. They should be willing to put time and efforts into boosting their teaching competence, and should always be ready to embrace new information to offer better instruction. Second, there should be additional compensation for teachers who have a superb teaching competence. The cases of digital portfolio used by excellent teachers should be gathered and publicized to be of use to other teachers. And some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with outstanding performance. Third, required facilities and equipment should be supplied, and technica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utilize digital portfolio, computer and other equipment are necessary, and teacher should be able to operate them. The school information system should perfectly be built, and a well-organized teacher training system should be prepared. Fourth, heavy teacher workload should be reduced. The use of digital portfolio is a time-consuming work, as it's needed to gather and digitalize teaching materials and to manage homepage. The administrative and clerical work should be lowered, and more time should be given to teachers to make better preparations for instruction.;교실 현장에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활동을 통한 교육의 질적 향상과 관리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이를 수행하는 교사의 전문성과 책무성은 더욱 강조되고있다. 학교 교육의 한 주체로서 교사가 성공적인 교육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은 다양하겠지만, 가장 핵심적인 것은 가르치는 교수 업무의 전문성일 것이다. 즉 교사는 효율적인 교수활동에 관한 이론적인 이해 및 실천 방법과 기술에서 전문적 능력과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핵심 역량인 교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 교사 포트폴리오 활용의 효과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에, 학교 현장에서 디지털 교사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이 교사의 교수 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사의 교수 능력 향상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태도 변화로 연결되는지를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디지털 교사 포트폴리오의 활용 유, 무에 따라 교사의 교수 능력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2. 디지털 교사 포트폴리오의 활용 유, 무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3. 디지털 교사 포트폴리오의 활용 유, 무에 따라 학생들의 태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2년 9월부터 10월까지 2개월 동안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서울 W초등학교 S교사를 실험대상 교사로, S교사와 경력이 비슷한 동학년 교사 1인을 통제대상 교사로 설정하였다. 실험대상 교사는 수학 수업에 한하여 반성저널, 교수-학습 지도안, 수업 자료, 수업 동영상 등의 포트폴리오 자료들을 모으고 4회에 걸쳐 홈페이지에 올려 학생, 교사, 학부모 등 다양한 교육 관련자들로부터 자연스럽게 피드백을 받도록 하였다. 통제대상 교사는 교사 자율적 수업 연구에 의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통제대상 교사와 실험대상 교사의 수학과 수업은 실험의 처음과 끝에 1차시씩 각각 촬영했으며 24명으로 구성된 평가 집단이 실험대상 교사와 통제대상 교사의 수업 동영상 4개를 보고 교수능력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와 수학 태도에 있어서 교사의 디지털 교사 포트폴리오가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대상 교사 반 학생 31명을 실험집단 학생으로, 통제집단 교사반 학생 32명을 통제집단 학생으로 설정하였다. 수학 성취도 평가 도구는 교내에서 1학기 2회 실시하는 수학 학력 평가 시험지를 이용하였으며, 태도 측정을 위해서는 한국 교육 개발원(1992)에서 개발한 수학학습태도 검사도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교사 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주는 교수능력 차이를 t-검증으로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3.00, df=46, p<.05). 구체적으로 교수능력 각 하위 요인별(수업의 전체적인 구성, 의사소통 능력, 수업 내용 전달 방식, 질문하는 기술, 학습 분위기 조성 능력)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t-검증한 결과 수업 내용 전달 방식(t=3.67, df=46, p<.05), 질문하는 기술(t=2.72, df=46, p<.05), 학습 분위기 조성 능력(t=2.22, df=46,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실험집단 학생들과 통제집단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 t-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04, df=61, p>.05). 셋째, 학생들의 수학 태도의 두 집단간 t-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2.37, df=61, p<.05). 구체적으로 수학적 태도의 각 하위 요인별(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 두 집단간 t-검증 결과는 교과에 대한 태도영역(t=2.97, df=61, p<.05)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