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8 Download: 0

다산의 인간관

Title
다산의 인간관
Authors
강여진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This Article intends to make clear the thought of Tasan(茶山), which is still under variety of evalu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hought of Tasan(茶山) and that of Shi Xue(實學) under assumption that the former could be a conspicuous example to the general characters of the latter and, conversely, the characters of the latter could be defined more clearly by the former. With this purpose in mind, I first sought for the general characters of Shi Xue(實學) before making an inquiry into Tasan(茶山)′s thought. Even here, to come up as nearly as possible to what Shi Xue(實學) really is, I adopted a method to reveal the position of Shi Xue(實學) in contrast to two other thoughts of the day, Zheng Xue(正學) & Xie Xue(□學). As a result I found that Shi Xue(實學) is the thought of the Gentleman(士) with critical recognition of the reality and has at once progressiveness and conserativeness : progressiveness in that it criticizes Zheng Xue(正學) which has lost the function as a social thought, accepting practical demands to some extent ; comservativeness in that it calls for halfway measures of reform, still within the category of traditional moral principles, having relatively narrow limitations than Zheng Xue(正學). The two-faced characters of Shi Xue(實學) also find its place in Tasan(茶山)′s view of man. Though regarding man as an existence of Shen Xing Miao He(神形妙合) and accepting positively the emotional lust which had been restricted by Neo-Confucianism, Tasan(茶山) still finds the original nature of human in its ethical side. On the basis of the acknowledgement of the emotinal lust, he cosiders man to be the subject of the exploitation and use of nature, and assumes human equality in terms of occupation. This, however, is no more than a way to attain a society in which the traditinal morality comes true and thus the hierachical system still prevails. In brief, Tasan(茶山), with a feeling of crisis as to the disjointed society of the time, seeks the driving force to reintegrate the society in the traditional principles of morality. Therefore, with all his varied progressive opinions, his ultimate goal was that of restoring traditional society. In light of this fact, the position of Shi Xue(實學), referred to above in contrast to Zheng Xue(正學) & Xie Xue(□學), could be more clearly defined : Shi Xue(實學) means a tuought to correct and embrace Zheng Xue(正學) within the category of pan-Confucianism and simultaneously to defy Xle Xue(□學), and thus to reconstruct and reinforce the regime.; 본고는 아직까지 평가가 엇갈리고 있는 다산의 사상에 좀더 설득력있는 입장을 제시하려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그리고 실학의 집대성자로서의 다산의 사상은 일반적인 실학의 성격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하나의 예증이 되며, 역으로 실학사상은 다산의 사상에 의해 좀더 명확하게 성격이 규명될 수 있으리라는 가정 아래, 상보관계로서 양자를 함께 논의하고자 했다. 이러한 의도를 살려 인간관을 중심으로 한 다산의 사상을 고찰하기에 앞서, 먼저 실학의 대체적인 성격을 논의하였다. 여기서도 가능한 한 객관적인 실학의 면모에 접근하기 위해, 동시대의 사상인 正學과 邪學과의 관련 속에서 실학의 위상을 조명하는 방법을 택했다. 그 결과 실학은 지배층 내의 현실비판의식을 지닌 士의 學으로, 사회사상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正學을 비판하면서 현실적인 요구를 어느 정도 수용한다는 점에서 진보적인 의의를 지니지만, 여전히 전통윤리의 범주에 머무르고 있는 불철저한 개혁안이라는 점에서 邪學에 비해 한계를 지니는, 진보성과 보수성을 동시에 구유하고 있는 學으로 파악되었다. 실학의 이러한 양면적인 성격을 다산의 인간관에 거의 그대로 드러난다. 다산은 인간을 神形妙合의 존재로 보아 성리학에 의해 제약받아 온 감성적 욕구를 적극적으로 평가하지만, 여전히 인간의 고유란 본질을 윤리적인 면에서 찾고 있다. 또 감성적 욕구의 긍정에 기초하여 인간을 자연개발과 이용의 주체로 상정하고, 직업적인 면에서 인간을 평등한 존재로 간주하지만, 이것을 전통윤리의 실현 속에 신분제가 유지되는 사회를 이룩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제시되었을 뿐이다. 결국 다산은 해체된 당시 사회에 위기의식을 갖고, 사회를 재통합시킬 수 있는 응집력을 효제자의 윤리에서 찾은 것이다. 따라서 다산이 다양한 진보적 견해를 내걸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궁극적 지향은 전통사회의 회복을 꾀하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것으로 비추어 볼 때, 앞서 正學과 邪學의 대비 속에 언급했던 실학의 위상은 좀더 명확한 성격규정이 내려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실학은 범유학의 범주에서 正學을 수정적으로 포용하면서 邪學에 대항하려는, 기존질서의 재편과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상이라 규정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