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경희-
dc.creator원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6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2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68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Thomas H. Grooms의 '몫을 나누어 참여하는 실천'(Shared Praxis)방법에 비추어서 기독교계 고등학교의 성경교육 방법을 진단하고, 성경교육방법 개선을 위한 방안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입시준비 교육으로 전락해 버린 현대의 교육풍토 속에서 종교교육을 통하여 인간교육을 해야하는 기독교학교의 역할이 강조된다.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방법 중 하나가 성경교육이다. 1장에서는 이러한 인식하에서 효과적인 성경 교육을 위해 교육방법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함으로써 논문의 목적과 동기, 내용을 밝혔다. 2장에서는 기독교계 고등학교의 종교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학문적 특성과 종교적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는 기독교학교는 어느 한쪽에 치우침 없이 양자의 조화를 이루면서 교육에 임해야 한다. 특히 전인적인 인간을 교육하는 교육의 장으로써 기독교학교는 단순히 선교라는 측면을 강조하기 보다 종교가 인간의 생활에 주는 의미를 깨닫게 하고, 건전하고 확고한 인생관을 소유한 인격을 함양하도록 이끌어 주는 교육을 해야 한다. 이러한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기독교학교에서는 종교교육 과정을 필요로 하는데, 예배, 성경수업, 특별활동 등이 그것이다. 이들 중 성경수업이 가장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그러나 현재 실시되고 있는 성경교육을 통해서는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힘들다. 2장을 기초로 하여 볼 때 기독교학교에서의 성경교육은 해석학적 접근방법을 요구한다. 3장에서는 해석학적 접근방법중 특히 Thomas H. Grooms의 Shared Praxis방법에 비추어서 현재 기독교학교에서의 성경교육방법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한 자료와 기독교계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종교」교과서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전장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육방법 개선을 위해서는 주입식 교육방법에서 탈피해 대화적 교육방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대화적 교육방법으로 소그룹 활동을 통한 교육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교육방법과 함께 교육내용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의 개선을 요구하였다. 마지막 장은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한 뒤 끝맺는다.; This thesis purports to diagnose and reform Bible teaching methods in the mission schools from the standpoint of Thomas H. Gmome's Shared Praxis. In the 1st chapter, under the today circumstances of instrumental education for entrance to the university I lay stress on the role of the mission schools which should bring up the man of integrity by the religion. I propose to reform education methods in order to the Bible effectively. In the 2nd chapter, I survey the real conditions of the religious education in the mission schools. Mission school should have the sense of proportion between religious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Mission school which aims at not just christian but the man of intergrity should make the teached realize the meaning of the religion toward human life and educate them to achieve the sound and firm life view. For that, religious education programs such as chaple, Bible learning curriculum,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required. Of course Bible learning curriculum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m, but in investigating the real conditions of religious education, today mission schools do not attain this conditions. In the 3rd chapter, I introduce the hermeneutical approach from the Groome's shared praxis in particular. According to it I overview Bible teaching methods of today in the mission school. I analyse data on enqete and religion texts in the mission schools. In the 4th chapter, I present the considerable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s above mentioned. I preper dialogical education method to cramming education program. Dialogical education may be well-enforced by way of the small group activities. I think that concrete contents of education, that is, texts are reformed, not to speak of education methods of today. In the last chapter, I end up with the summary of this the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동기와 목적 = 1 B. 연구방법과 내용 = 3 Ⅱ. 기독교학교에서의 종교교육 현황 = 4 A. 기독교학교의 사명 = 5 B. 기독교학교에서의 종교교육 = 7 1. 예배를 통한 교육 = 7 2. 성경수업을 통한 교육 = 10 3. 특별활동을 통한 교육 = 11 C. 기독교학교에서의 성경교육의 실제 = 13 Ⅲ. Thomas H. Groome의 기독교적 종교교육 방법론에 비추어 본 기독교학교 성경교수 방법의 현실진단 = 25 A. T.H.Groome의 기독교적 종교교육 방법론(Shared Praxis방법) = 27 1. 구성요소 = 29 2. 해석학적 원리 = 32 3. 5가지 행동 = 34 B. Shared Praxis 방법론에 비추어 본 기독교학교의 성경교수방법 진단 = 39 Ⅳ. 기독교학교의 성경교수방법 개선을 위한 방안 모색 = 46 A. 교육방법 개선을 위한 방안 = 47 B. 교육내용의 개선 = 56 Ⅴ. 결론 = 60 참고문헌 = 65 부록 = 72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988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 종교교육분야-
dc.title기독교계 고등학교에서의 성경교육방법 개선을 위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Thomas H. Groome의 이론을 중심으로-
dc.format.page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종교교육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