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신자-
dc.creator박신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6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674-
dc.description.abstract退溪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뛰어난 性理學者이며 朝鮮祖 朱子學을 理論的으로 체계화한 思想家이다. 退溪의 思想에 가장 큰 影響을 준 사람은 朱子이고, 著書로는「心經附註」와「性理大典」,「朱子典書」를 들 수 있다. 退溪의 理氣論은 朱子의 理氣設에 立脚하여 太極을 理, 陰陽을 氣라 하였다. 退溪는 理를 所當然과 所以然으로 설명한다. 所當然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며, 所以然이란 어째서 그렇게 해야 하는 까닭을 말하는 것이다. 理는 標準의 뜻(極)을 前提함으로써 萬物의 根本, 또는 本質의 意味도 갖게 된다. 理를 形而上이라 설명하여 形而下인 氣에 대비하여 말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理는 純善無惡이지만 氣는 有爲有欲으로 因하여 惡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理의 優越性을 강조하였다. 心性論을 해명함에 있어서도 理氣二元으로써 분석한다. 心의 體인 性을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으로 구분하여 本然之性은 純善, 氣質之性을 善惡未定이라 하였고, 心의 用 즉 性의 發인 情에도 四端과 七情으로 대립시켜 四端을 本然之性의 發로 보고, 七情은 氣質之性의 發로 본다. 退溪의 倫理思想은 어떻게 하면 入欲을 다스려서 天理에 合當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가에 있다. 人間의 倫理行爲는 天理라고 하는 우주의 절대적 질서와 합치될 때, 人間이나 社會는 가장 이상적인 상태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天理가 人間에게 내재된 것이 仁義禮智이며, 仁義禮智의 實現은 五倫의 實現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五輪이란 聖人이 발견한 이른바 天理와 합치되는 人間社會의 倫理적 規範이므로, 人間이 天理와 합치되는 理想社會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五輪이라는 倫理적 規範을 遵守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五輪을 實現하기 위해서는 修身이 필요하다고 분석하였다. 修身論에서는 日用의 平易하고 明白한 바를 익히어 알고 實踐해 나아갈 것을 강조하며, 한 가지 일에 집착이 되고 얽매이게 되어 빠른 효험을 바라는 것을 옳지 않다고 한다. 일상적인 人倫生活에서 實踐하는 것이 敬工夫의 요긴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면서도 退溪는 "敬"으로써 根本을 삼고 窮理에 의해서 至知하여 몸소 實踐하는 것이 바로 心法을 微妙롭게 하고, 道學을 傳하는 요령이다."라고 하여 居敬을 窮理보다 더 根本되는 학문의 조건임을 강조하였다. 특히 一身의 主宰는 마음이요, 마음의 主宰는 敬이라하여 매사에 있어 敬의 자세를 가질 것을 역설하였다. 退溪는 儒學이 追求하는 內聖外王의 道를 聖學이라 標榜하고 追求하였으나, 政治的 社會的 實踐이 아니라 敎育과 敎化를 통한 主體的 實踐을 意味했다.; T′oegye was one of greatest Songrihak scholars in Korea, and a thinker that studied systematically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T′oegye was influenced by chy Hsi, his books and Mind Clssic. The theory Ri, Ki of T′oegye based on ChuHsi′s. T′oegye explains Ri as a mater of couse and Ki as a reason. Ri is the foundation of the universe. Ri is metaphysical and Ki is physical. Ti is naturally good but Ki is not necessarlily goes. He emphasize supremacy of Ri. He divides hyman nature into the original human nature and material nature. The original nature is anturally good, but the material nature is not necessarlily good. ′Four beginning′ as ′issuances′ of thhe original human nature, and the ′seven feeling′ as ′issuances′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and the ′seven feeling′ as issuances of the material nature. T′oegye thinks that the way to learn to become truly human took place on tiding over greediness. To tide over greediness is to realize the Heavenly principle. The proper human deed is to be suitable the Heavenly principle. The Heavenly principle is humanity, justice, poleteness and intellect. Humanity, justice, politeness and intellect are realized by the five moral rules to govern human relations. That′s why the five moral rules to govern human realtions are discovered by sage. He thinks that human must observe the five moral rules to construct an ideal society. This hharmony in nature becomes man′s ultimate criterion for his behavior. Thus the system for reciprocal human relation ships that exist the five moral rules are viewed as substantiation of the order that obtains in the macrocosm, the universe. To observe the five moral rules emphasized the life of ′Kyoung′(敬) The ′method of the mind′ is to exercise a profound effort of ′preserving and nourishing′ (존양) prior to that moment and to develop a ripe wisdom for self-examination immediately after it. With continuous inner cultivation of this kind. T′oegye asserts, the learning of the sages can be fully embodied. He pershuades us to cultivate our original human nature and to live the life of ′Kyoung′. He emphasizes education and enlightenment toconstruct and ideal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槪要 = ⅵ Ⅰ. 序論 = 1 A. 硏究目的 = 1 B. 硏究內容 = 1 Ⅱ. 思想적 背景 = 3 A. 時代的 狀況 = 3 B. 思想的 影響 = 4 Ⅲ. 晳學的 基礎 = 6 A. 이기론 (理氣論) = 6 1. 理 = 6 2. 氣 = 8 3. 理의 優越性 = 9 B. 心性論 = 10 1. 本然之性과 氣質之性 = 10 2. 四端七情 = 12 3. 人心道心 = 13 Ⅳ. 倫理思想 = 16 A. 價値理念 = 16 1. 天人合一思想 = 16 2. 遼德社會의 實現 : 五倫 = 18 가. 家共同體의 倫理 = 18 (1) 父子關係 : 親 = 18 (2) 夫婦關係 : 別 = 20 (3) 兄弟, 親旅關係 : 序 = 21 나. 家共同體의 倫理의 實現 = 21 1) 親和의 原理 = 21 2) 孝悌와 恭敬 = 23 3. 社會倫理 = 24 가. 親別序의 擴大 = 24 나. 鄕里에서의 規範 = 26 B. 倫理적 實踐 = 28 1. 修身論 = 28 가. 居敬 = 29 나. 窮理 = 34 2. 敎化論 = 36 Ⅴ. 結論 = 40 參考文獻 = 43 ABSTRACT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329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 국민윤리분야-
dc.title퇴계의 윤리사상-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