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유아의 인기도와 조망수용 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Title
유아의 인기도와 조망수용 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uthors
이경미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 유아교육분야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 perceptual, cognitive and affective - between popular children and unpopular (less popular) children. The subjects were 58 children of age 5 and 6. They were selected from 98 kindergarden children enrolled in E kindergarden in Seoul area. To examine the possible differences, in 3 types of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children's popularity among their classmates was measured following the procedures suggested by Asher, Singleton, and Tinsley . In additon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were measured with the Kurdek and Rodgon metho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popularity scores : one is popular and the other is unpopular. The followings were examineded to find possible differences in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1. Difference in perceptu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2. Difference in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3. Difference in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u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3.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iced in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of popular children were higher than that of unpopular children. In conclusion,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of popular children and unpopular children find to be different. Popular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were higher than unpopular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인기아 집단과 비인기아 집단 간에 조망수용능력 즉 지각조망, 인지조망, 감정조망수용능력이 차이를 나타내는지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인기아 집단과 비인기아 집단 간에는 지각조망수용에 있어 차이가 있는가? 2. 인기아 집단과 비인기아 집단 간에는 인지조망수용에 있어 차이가 있는가? 3. 인기아 집단과 비인기아 집단 간에는 감정조망수용에 있어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E 유치원에 다니는 만 5, 6세 원아 94명 증 인기도 검사 결과 나온 점수의 상위 30%에 속하는 인기아 29명과 하위 30%에 속하는 비인기아 29명으로 모두 5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기아 집단과 비인기아집단을 선정하기 위하여 Asher, Singleton, Tinsley 그리고 Hymel(1979)의 인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망수용검사-지각조망수용검사, 인지조망수용검사, 감정조망수용검사는 Kurdek과 Rodgon(1975)의 것을 사용하였다. 검사결과로 얻어진 자료는 인기아 집단과 비인기아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 집단 별로 지각조망수용, 인지조망수용, 감정조망수용의 평균을 내어 t검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기아 집단과 비인기아 집단 간에는 지각조망수용능력에 있어 차이가 없었다. 2. 인기아 집단과 비인기아 집단 간에는 인지조망수용능력에 있어 차이가 없었다. 3. 인기아 집단과 비인기아 집단 간에는 감정조망수용능력에 있어 차이(p〈 .001)가 있었다. 인기아 집단은 비인기아 집단에 비해 감정조망수용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 말하면 인기아 집단과 비인기아 집단 간에는 조망수용능력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인기아 집단이 비인기아 집단보다 감정조망수용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