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진옥-
dc.creator최진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7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721-
dc.description.abstract움직임교육 이론은 1940년대에 영국에서 발달되어 서부유럽으로 확장된 이론으로 탐구, 선택, 창의력등에 역점을 둔 문제해결방법을 이용하여 개인의 반응을 강조하는 새로운 접근방법인데, 모방과 지시방법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접근에 대한 반성과 함께 새로운 체육교육의방법으로 대두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근래에 들어 움직임교육 이론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게되었고, 유아들에 대한 조기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유아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유아들을 위한 움직임교육은 유아들의 신체적 운동능력이나 보다 창의적인 표현동작을 위한 적극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보다는 거의가 교사의 지시에 따라 이미 주어진 동작을 따라하는 모방과 획일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 교육이 전인교육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전제하에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움직임교육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고, 유아기에 있어서 움직임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킴과 동시에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다루었고, Ⅱ장에서는 움직임교육의 기원과 개념 및 목표 그리고 움직임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Ⅲ장에서는 유아를 위안 움직임교육 모형을 설계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유아기 성장발달적 특징과 움직임교육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Ⅳ장에서는 지도목표, 지도내용, 지도방법의 세 영역으로 분류하여 기본적인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중 지도내용은 움직임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기본 움직임인 이동움직임, 비이동움직임, 조직적 움직임의 세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움직임교육 이론에 의한 지도모형 설계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움직임교육의 지도목표는 유아 개인의 성장발달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마련해주고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게 하며 운동방법의 원리를 알고 신체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서 여러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창의력, 표현력, 문제해결력을 기르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움직임교육의 지도내용에서 이동움직임은 8개 영역(걷기, 달리기, 뛰기, 흡핑, 리핑, 스키핑, 갤롭핑, 미끄러지기), 비이동움직임은 7개영역(구부리기, 뻗치기, 밀기, 흔들기, 비틀기, 당기기, 돌기), 조작적움직임은 4개 영역 (던지기, 치기, 차기, 잡기)을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 인 활동내용을 제시하였다. - 움직임교육의 지도방법은 자유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흥미를 잃지 않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동기유발 시키고 독립된 개체로서 개인차를 고려하여 다양한 운동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므로 보다 바람직하고 창의적인 움직임을 경험하게 함으로서 유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탐색, 발견하는 새로운 움직임 지도방법으로 구성하였다. ; Movement Education, which was origianally developed in England in 1940's and diffused into other Western European countries, is a new approach in physical eduaction emphasizing individual responses utilizing problem solution focused on exploration, choice, and creativity, rather than imitation and order-obeying as in the traditional approach. In Korea, many researchers have recent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ovement education, and are putting lots of research efforts into this direction as the need and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is growing. Unfortantely, however, movement education for children in Korea is still focused on the ability to uniformally imitate the movements given by teachers, instead of on the children's physical exercise ability or positive and voluntary learning for more creative expressive movement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1)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movement education based on the proposition that it is essential for whole-education, 2) to re-emphasize the importance of movement education in childhood, and 3) to propose a program model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s. Chapter Ⅱ will investigate the origin, basic concepts, objectives, the main contents and methods of the movement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Chapter Ⅲ will examine the development stages in childhood and its implications for movement education. Finally, Chapter Ⅳ proposes a basic model design in three areas - general teaching purpose, teach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mong these three areas, teaching contents are subgrouped into basic units of movement education such as locomotor movement, non-locomotor movement, and manipulative movement. The main objective of movement education should be to provide the best condition for each child's development, to make him/her feel pleasure, realize basic rules of exercise, and maximally utilize his/her body through various movemen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expressiv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This research posits specific teaching activity contents for movement education focusing on 8 areas of locomotor movement(walking, running, jumping, hopping, leaping, skipping, galloping, and sliding) and 7 areas of non-locomotor movement(bending, stretching, pushing, shaking, twisting, pulling, and turning-around). Teaching methods of movement education should motivate children to learn without losing interests in free environment, and provide various exercise experiences considering each child as an independent being with individual differences. This research, therefore, proposes new teaching methods which motivate children to explore, discover, and solve problems voluntarily through experiences in desirable and creative move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방법 = 4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움직임교육의 기원 = 5 B. 움직임교육의 개념 및 목표 = 6 1. 개념 = 6 2. 목표 = 9 C. 움직임교육의 내용 및 방법 = 14 1. 학습내용 = 14 2. 지도방법 = 23 Ⅲ. 유아기 성장발달의 특징과 움직임교육 = 32 A. 유아기 성장발달의 특징 = 32 1. 사회정서적 발달영역 = 33 2. 신체운동적 발달영역 = 34 3. 언어적 발달영역 = 35 4. 지적·인지적 발달 영역 = 36 B. 유아기 움직임교육의 의의 = 37 1. 유아기 움직임의 의미 = 37 2. 움직임교육의 교육적 의의 = 39 Ⅳ. 유아를 위한 움직임교육의 지도모형 설계 = 41 A. 지도목표 = 42 B. 지도내용 = 42 C. 지도방법 = 52 Ⅴ. 결론 및 제언 = 53 A. 결론 = 53 B. 제언 = 54 참고문헌 = 55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993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title유아를 위한 움직임교육의 이론탐색 및 지도모형설계에 관한 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