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옥주-
dc.contributor.author이정은-
dc.creator이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4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471-
dc.description.abstractAn effective language learning is an integral process in which the four areas of language—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are equally emphasized. However the current Chinese textbooks in Korea tend to place a strong emphasis on developing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but hardly any on developing writing skills. For this reason, healthy development of writing skills can be difficult to achieve with the current textbook. Thu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possibilities of making structural and compositional changes to the writing sections in the current textbook from which the students can greatly benefit, allowing them to develop writing skills in balance with the other three areas of language. Writing is a complex skills that goes well beyond mere transcription of words; it is a tool that allow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thoughts in a deliberate and organized manner. Writing allows thoughts and ideas to be transmitted virtually without any limitation from time and space. At the same time, a writing is, once transmitted, unchangeable to some degree, so it tends to receive much more attention on accuracy, coherence and clarity of the message than any other forms of communication. In terms of language learning, writings can be an invaluable tool with which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can be assessed in the all four areas of language learning.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for the Chinese textbooks to focus more on writing skill development than they do now. A Chinese textbook from Jung-Jin Publishing company, Chinese I, was used to demonstrate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Chinese textbooks and the improvements to be made. In order to improve writing sections in the textbook, adding some novel approaches were suggested as well as subdividing controlled writing,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less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diversity of words used, the degree of the sentence structure control, and the length of the sentence, ultimately categorizing writing lessons into three levels in terms of difficulty. In contrast to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conducted on a similar issu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provide the method to improve textbooks to develop students’ writing skills better rather than merely identifying the problems. The specific methodologie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by no means, perfect, so they need to be improved over time with constructive debate among the educators. We hope to enliven Chinese writing education in Korea through invention of many novel controlled, guided and free writing lesson techniques.;언어를 사용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언어 사용자 상호간의 의사소통으로 언어 교육에서 가장 강조해야 할 점도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듣기(listening), 말하기(speaking), 읽기(reading), 쓰기(writing) 네 가지 영역에 있어서의 균형적인 교수-학습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 중국어 교과서의 구성 및 교육 현실을 살펴보면,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중에서도 ‘쓰기 기능’에 대한 지도는 소홀히 다루어지거나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쓰기 지도가 소홀히 다루어지는 여러 가지 원인 중에서 교과서 구성상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이를 보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하고 체계적인 쓰기 지도 방안을 제안한다. 쓰기는 단순히 쓰는 행위가 아닌 의사를 보다 조직적이고 계획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써 말하기 기능과 함께 의사소통 기능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글쓰기를 통해서 인간은 다양한 목적 하에 다양한 내용의 메시지를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전달할 수 있으며, 언어를 시각적으로 이해시킴으로써 다른 언어 기능 습득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교수-학습 측면에서의 쓰기는 문자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음성언어를 기록하는 수단이 됨으로써 이미 습득된 다른 언어수행 능력을 확인하는 도구적 기능을 가져 언어 기능의 전반에 걸친 학생의 이해도를 측정하는 데에 좋은 자료가 되기에 결코 소홀히 다루어서는 안 될 기능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Ⅰ 쓰기 지도에 있어 학생들의 학습 진행 상황을 고려한 단계별, 수준별 쓰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짚어보고,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언급한다. 제 Ⅱ장에서는 중국어 쓰기 지도 현황을 설문의 방식을 통해 파악하고,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에서 반영하고 있는 쓰기 지도 유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쓰기 지도 유형을 차례로 살펴본다. 제 Ⅲ장에서는 실제 고등학교 중국어Ⅰ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단계별 쓰기 지도방안 설계를 위한 학습단계 구분 원칙과 단계별 쓰기 유형 선정 원칙 및 각 단계별 세부 유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Ⅳ장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6종 교과서 중에서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정진출판사 ⟪中国语Ⅰ⟫을 세 단계로 분류한다. 1단계로 분류한 3과, 2단계로 분류한 8과, 3단계로 분류한 13과 각각에 해당하는 쓰기 지도 방안 설계와 함께 8과 지도방안에 대한 수업지도안을 제시함으로써 그동안 소홀히 했던 쓰기 교수-학습을 보완하고자 한다. 제 Ⅴ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방법 및 과정을 통해 쓰기 지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출해낸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2. 선행 연구 = 2 3. 연구 대상 및 방법 = 3 Ⅱ. 중국어 쓰기 지도 현황 및 쓰기 지도 유형 = 5 1. 중국어 쓰기 지도 현황 설문 = 5 1.1. 설문 대상 및 방법 = 5 1.2. 설문 내용 및 구성 = 5 1.3. 설문 결과 분석 = 6 2. 쓰기기 지도 유형 = 13 2.1. 현행 교과서의 쓰기 지도 유형 = 14 2.2. 쓰기 지도 유형 개선안 = 16 2.2.1. 통제식 쓰기 = 17 2.2.2. 유도식 쓰기 = 22 2.2.3. 자유식 쓰기 = 24 Ⅲ. 중국어Ⅰ 단계별 쓰기 지도방안 설계 원칙과 유형 = 27 1. 설계 원칙 = 27 1.1. 학습단계 구분 원칙 = 27 1.2. 단계별 쓰기 유형 선정 원칙 = 29 2. 단계별 유형 예시 = 30 2.1. 1.단계 = 30 2.1.1. 통제식 쓰기의 유형 = 31 2.1.2. 유도식 쓰기의 유형 = 34 2.1.3. 자유식 쓰기의 유형 = 35 2.2. 2단계 = 36 2.2.1. 통제식 쓰기의 유형 = 37 2.2.2. 유도식 쓰기의 유형 = 40 2.2.3. 자유식 쓰기의 유형 = 43 2.3. 3단계 = 45 2.3.1. 통제식 쓰기의 유형 = 46 2.3.2. 유도식 쓰기의 유형 = 48 2.3.3. 자유식 쓰기의 유형 = 49 Ⅳ. 지도방안 설계 = 54 1. 지도방안 예시 = 54 1.1. 1단계 = 54 1.2. 2단계 = 59 1.3. 3단계 = 65 2. 수업지도안 = 71 Ⅴ. 결론 = 82 참고문헌 = 84 부록 1: 설문지 = 87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87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중국어Ⅰ 쓰기 지도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lan of Teaching Method High School Chinese I Writing skills-
dc.creator.othernameLee, Jungeun-
dc.format.pageⅶ,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