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연희-
dc.contributor.author신의정-
dc.creator신의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5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564-
dc.description.abstractTo know how to present one's thought logically and to make others to pay attention is indispensable abilities which one must have in this diversified and democratic society. For the abilities, on top of anything, there should be fluent undisturbed communication and logical argument to appeal one's opinion. All of these can be demonstrated through writing and speaking. Among these, the latter, writing skill has uniqueness in that the writing process itself provides chances to arrange one's thought and to make ideas clear. In addition, developing one's conception through writing has its significance in academic fields since it is one of the ultimate goals of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earning model using summarizing task which connects reading and writing to train writing skills and to identify what effects it causes to language learn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nfluences of utilizing summarizing tasks focused on the structural parts of argumentative text on writing ability, summarizing ability, summarizing rule use and students' affective factors. The experiment class was contributed on t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grades to the third grades for 8 times. In the first and second classes, students were informed of general structure of argumentative essay with examples and the instructor showed demonstration of summarizing the given examples. In the rest of classes, students read argumentative essays and wrote summaries. At each class time, students were given different essays and asked to complete graphic organizers and to form outline according to the provided text as a preparation for summary wri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scores of tests which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session.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mmarizing task focused on the structure of the text did improve all the learners' English writing ability. Although the higher level learners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lower level learner showed, the median of writing scores of students of all levels rose and this means that all students can benefit altogether from the summarizing task in enhancing writing ability even they differ in levels. In addition, to compare the extent of improvement of higher level group and lower level group in writing ability, pre-writing test scores were subtracted from post-writing test score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the writing ability,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summarizing task gives instructive effect to both higher and lower levels of learners.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n the summarizing ability and the use of summarizing rules revealed that every student's ability of summarizing has improved and the frequency of the use of summarizing rules has been increased, especially for paraphrasing rule. Both higher and lower levels of students are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mmarizing ability. When they are compared in terms of the extent of the improvement, they were shown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levels. Next, for the analysis of summarizing rule use, the frequency of each rules was counted. According to the counted figures, both higher and lower levels of students have increased their summarizing rules in their summaries. The higher level of students have increased paraphrasing rule while decreased copying rule. Although the lower level of students increase the frequency of the rules drastically, they tend to use much copying rule and less paraphrasing rule compared to the higher level of students. Judging from the result that the frequency of the summarizing rules counted in the post-summarizing test of the two different levels are quite similar, it is probable that when students are instructed with the summarizing tasks adequately they would learn to use the summarizing rules regardlessly of their levels. Third, through the survey which examined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summarizing tasks focused on structural factors of the texts, all the students showed generally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task and in terms of learning English as a whole. All higher and lower levels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seemed to have been improved in lexical, grammatical abilities as well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Besides, they gave responses indicating that they had reduced inhibition toward English writing. In addition, students appeared to be satisfied with the task since they reacted positively when they were asked whether they want to do the summarizing task in their regular English classes at school. However, among students, higher level students were more opened in using the summarizing task in their school English class, and from this point it is possible that lower level students might have felt relatively more burden on summarizing task. Through open-ended in-depth survey, most of students were found to consider the summarizing task helpful in learning English but it was somewhat difficult for them to figure out new vocabularies in given texts and especially to paraphrase. Most of students consented that focusing on structure while they summarize was helpful in learning writing, but the expected potential use of the knowledge of the text structure they learned through summarizing diverged one another. One of the most particular points which runs through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was that many students regarded grammatical knowledge and lexical knowledge equal writing ability. Compared to the knowledge of structure or ability of forming content of composition, grammatical and lexical knowledge outweighed for most of students. In this regards, the summarizing task seems not to influence much on the perception of writing for students.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regard grammar and lexis as the most significant area in writing in the survey, and this result corresponds to the outcome of the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to elicit in-depth insights of the study. This means that students approach composition within sentence units and usually perceive writing as building separate individual sentences. To the question whether they received help from the summarizing task in writing, most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although they couldn't speak out which part they got help in specific. Students responded that it was much easier to start writing in the form of summary since they have some resources to lean on while general composition gives much more pressure since they have to make up all the ideas without any given material in general. In conclusion, the summarizing task focused on the structure of the text gave positive effect to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on both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area. To use the summarizing task in more efficient way, the text which will be provided to the students should reflect students' interest and should diverse in terms of the text structures. With much care in selecting the texts, the summarizing task focused on the text structure could be utilized as an effective writing class task.;논리적으로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귀를 기울이도록 하는 것은, 오늘날과 같은 다원주의, 민주주의가 널리 인정되는 사회에서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하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펴는 능력이 요구되는데, 이는 말과 글로써 행해지는 것들이다. 이 중 후자인 글을 쓰는 것은, 글을 쓰는 과정을 거치면서 좀 더 자신의 생각을 정립하고 명료화 할 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구두로 행해지는 의사소통과는 구별되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글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전개해 나가는 것은, 고등 교육 과정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방향이라는 점에서 글쓰기가 지니는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쓰기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쓰기와 읽기를 하나의 활동으로 연계시킨 요약하기 활동을 이용한 학습 모델을 제안하고, 이 활동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및 요약하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글쓰기 학습에서 글의 구조 파악을 중심으로 하여 요약하기 활동을 하는 것이 한국 중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과, 요약하기 능력 및 요약규칙 사용, 그리고 정의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3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8차시 동안 논설문을 읽고 요약하는 활동을 실시한 후, 그 연구의 결과를 학습자들의 사전 · 사후의 쓰기와 요약하기 능력을 비교함으로 도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학습자를 수준별로 상위와 하위를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에는, 상위 학습자는 통계적으로 쓰기 능력 향상을 보이지 않았던 반면 하위 학습자는 유의미하게 쓰기 능력에 향상을 보였다.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의 폭을 비교하기 위해 학생들의 쓰기 사후 점수에서 사전 점수를 뺀 대응차를 구하여 수준 간의 비교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상위와 하위 학습자 간에 쓰기 능력 향상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학습자들의 사후 점수에서 사전 점수의 차이를 구한 대응차가 양수의 값으로 나타나는 것과 앞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요약하기 활동은 상위와 하위 학습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요약하기 능력 및 요약규칙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의 요약하기 능력이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요약규칙 중 바꿔쓰기 등의 요약하기 과정에서 요약문 질의 향상에 기여하는 바꿔쓰기 등의 요약규칙 사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요약하기 능력에 관하여 먼저 살펴보면, 상위 학습자 및 하위 학습자 모두 사전 · 사후 요약하기 평가 점수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요약하기 능력이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와 하위 학습자의 요약하기 능력의 향상도 폭을 비교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요약하기 사후 점수에서 사전 점수를 뺀 대응차를 구하여 수준 간의 비교를 실시한 결과, 두 수준 간에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요약규칙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자의 사전 · 사후 요약 능력 평가지에서 확인된 요약규칙의 종류별 빈도수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상위 및 하위 학습자 모두 복사, 바꿔쓰기, 결합하기, 왜곡의 네 가지 요약규칙을 사용하는 빈도의 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요약하기 활동을 한 것이 요약규칙을 사용하는 빈도를 늘렸음을 알 수 있다. 상위 학습자들은 사전 평가에 비하여 사후 평가에서 복사의 빈도를 상대적으로 줄이고 바꿔쓰기의 빈도를 상당히 늘린 반면, 하위 학습자들은 사전 평가에서 극도로 적게 사용한 요약규칙을 사후에는 많이 사용하였으나 상위 학습자에 비하여 바꿔쓰기를 사용한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전반적인 영어 쓰기 능력의 향상 및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후 정의적 태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어휘, 문법, 독해, 작문 등 전반적인 영어 능력에 요약하기 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를 통해 영어 쓰기에 대한 거부감을 줄인 것 같다고 대답하였다. 또한, 앞으로 본 연구에서 활동한 요약하기 활동 등을 평소의 영어 수업에서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응답을 한 것으로 보아, 요약하기 활동에 대한 만족도도 상당히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실험 활동의 만족도와 연관하여 상위 학습자들은 아주 만족한 것에 반하여, 하위 학습자들은 만족은 한 편이나 비교적 중도적인 입장을 가진 것으로 정도의 차가 나타났는데, 이를 미루어 볼 때, 요약하기 활동이 하위 학습자들에게 인지적인 부담감을 주었다고 추론해볼 수 있다. 사후 심화 설문 중 개방형 질문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 결과, 대다수가 요약하기 활동이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된 것 같다는 답변을 하였지만, 모르는 단어가 많아 힘들었고, 요약을 하는 과정 중에 특히 주어진 글을 자신의 말로 환언하여 바꾸어 쓰는 것이 힘들었다고 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요약하기 활동이 글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에는 거의 모든 학생들이 긍정을 하였으나, 그를 통해 파악한 글의 구조를 직접적으로 쓰기 활동에서 활용을 할 수 있을지의 여부는 학생들마다 그 의견을 달리 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약하기 활동이 전반적인 영어 학습 및 영어 쓰기와 관련하여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측면이나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심층 면담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영어 쓰기에서 가장 주요한 요소들로 어휘와 문법적인 요소를 꼽았으며, 문장 단위로 나타나는 결과물에 주로 초점을 두어 영어 쓰기를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약하기 활동이 전반적인 영어 학습과 영어 쓰기 도움을 주었는가에 대한 물음에 학생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나 구체적으로 어떠한 점에서 도움을 받았는지 밝히지 못하였다. 그러나 주어진 읽기 자료를 바탕으로 글을 쓰는 것이 주어진 자료 없이 영어 쓰기를 하는 것보다 수월했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요약하기 활동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 요약하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 요약하기 능력과 관련하여서는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요약규칙 사용의 종류가 요약하기 활동에 의해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특정 구조의 글의 작문 지도를 할 때에 목표로 하고 있는 구조의 글을 요약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관심사에 부합하는 다양한 내용 구조의 글을 학습자들의 언어 수준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해야 함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논설문의 특징과 구조 = 6 1. 논설문의 정의 = 6 2. 논설문의 특징 = 6 3. 논설문의 구조 = 8 B. 요약하기 = 14 1. 요약하기의 특징과 규칙 = 14 가. 요약하기의 정의 = 14 나. 요약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15 다. 요약하기 규칙 = 16 2. 요약하기와 쓰기 = 19 가. 요약문 쓰기의 특성 = 19 나.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요약하기 = 20 3. 요약하기 훈련 방안 = 23 가. 개요 작성하기 = 24 나. 도식조직자 작성하기 = 25 다. 글의 구조와 요약하기 = 26 C. 선행 연구 = 30 1. 텍스트의 구조에 관한 연구 = 30 2. 읽기와 쓰기의 통합 지도에 관한 연구 = 34 3. 요약하기에 관한 연구 = 38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48 A. 연구 대상 = 48 B. 연구 자료 = 48 1. 사전 · 사후 요약하기 및 쓰기 능력 평가지 = 48 2. 쓰기 채점 기준 = 49 3. 요약하기 채점 기준 = 52 4. 요약하기 활동지 = 56 5. 사후 설문지 및 심층 면담 질문 = 58 6. 교사 관찰 일지 = 59 C. 연구 절차 = 60 1. 실험 이전 절차 = 60 2. 실험의 주요 활동 = 62 3. 실험 이후 절차 = 71 E. 연구의 제한점 = 7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75 A. 영어 쓰기 능력 변화 분석 = 75 1. 쓰기 능력의 향상도 = 76 2. 상 · 하위 수준 간 쓰기 능력 향상도 비교 = 80 B. 영어 요약하기 능력의 변화 분석 = 82 1. 요약하기 능력의 향상도 = 82 2. 상 · 하위 수준 간 요약하기 능력 향상도 비교 = 85 3. 요약규칙 사용의 변화 = 87 C. 요약하기 활동에서 나타난 요약하기 능력과 요약규칙 사용의 변화 분석 = 88 1. 요약하기 활동에서 나타난 요약하기 능력 변화 분석 = 88 2. 요약하기 활동에서 나타난 요약규칙 사용의 변화 분석 = 92 D. 학습자 반응 분석 = 94 1. 사후 설문 분석 = 94 2. 심층 면담 결과 분석 = 98 3. 교사 관찰 일지 분석 = 102 Ⅴ. 결론 및 제언 = 104 참고문헌 = 111 부록 = 120 ABSTRACT = 1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48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논설문 구조 파악을 중심으로 하는 요약하기 활동이 한국 중학생의 영어 쓰기와 요약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tructural Summarizing Task of Argumentative Text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Summarizing Ability, Summarizing Rule Use, and Learning Attitude-
dc.creator.othernameShin, Eu Jung-
dc.format.pagexiv, 1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