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인용-
dc.contributor.author전희란-
dc.creator전희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58-
dc.description.abstract가족은 구성원들간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역동적인 체계인 동시에 가장 친밀하고 정서적으로 결속되어 있는 체계이다. 하지만 가족 구성원들간의 과잉-분리로 인한 정서적 단절은 자녀들에게 고립감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하며 이와 같은 갈등은 표면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그 위험성에 대한 인식과 심리 치료적 개입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단절로 인한 과잉-분리가정 청소년들에게 그룹음악치료를 실시하여 참여자의 소외감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S정보산업고등학교 1학년 148명을 대상으로 가족응집력 검사를 실시한 후, 척도 점수가 10-25점 사이의 과잉-분리가정 청소년 4명을 대상으로 주 2회 7주간 14회기의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소외감 척도 사전 검사에서 평균 73.75의 소외감 점수를 보였다.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음악적 환경에의 적응 및 친밀감 형성을 위한 도입단계(1~4회기)와 자신의 감정을 확인하고 노출하는 전개 단계(5~10회기), 그룹원과의 지지체계를 경험하고 삶의 의미를 고취하는 종결 단계(11~14회기)로 구성하였다. 세션은 인사노래로 시작하여 회기별 주제에 따라 악기 연주하기, 노래 부르기, 노래 대화하기, 음악 감상 등의 중재로 활동을 구성하였고 활동이 끝나면 소감을 나눈 뒤, 마침 노래로 세션을 정리하였다.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과잉-분리가정 청소년의 소외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가족응집력 및 적응성 척도 FACES Ⅲ와 SAS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전ㆍ사후검사에서 측정한 양적 자료는 유의수준 p < .1에서 Wilcoxon 비모수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언어적ㆍ음악적 반응에 대한 질적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각 대상자별로 매 회기마다 소외감 척도의 하위 영역에 따라 항목을 나눈 뒤, 내용 분석을 하였다. 또한 사후 인터뷰 질문지를 통해 대상자들이 인식한 변화와 경험을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잉-분리가정 청소년의 소외감 감소를 위한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 실시 사전ㆍ사후에 측정한 대상자들의 소외감 점수가 평균 73.75점에서 56.00점으로 17.75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p < .066). 둘째, 음악활동에서 보인 소외감과 관련한 언어적ㆍ음악적 표현을 단계별로 내용 분석한 결과,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자신의 상황과 환경에 대한 불만이 감소하였고 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셋째, 음악 중재 후, 대화와 토론을 통해 긍정적이고 일관된 지지를 경험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과정은 대상자들에게 삶의 목적과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그룹음악치료가 과잉-분리가정 청소년의 소외감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족 구성원간의 정서적 단절로 인해 무기력과 무의미, 고립감을 경험하는 청소년에게 음악을 매개체로 한 그룹치료는 연주과정을 통해 소속감과 성취감을 경험하고 그룹원의 지지와 친밀함을 경험하게 함으로 소외감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다. 동시에 과잉-분리가정 자녀들에 관한 치료적 접근 연구가 없었다는 점과 심리 치료적 중재의 필요성을 알리고 다양한 각도의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duce of a sense of alienation on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hile the song communication, singing, songwriting, play the instruments, song drawing, the subjects' verbal and musical expression change was being watched. The study was for teenages' a sense of alienation who was a negative affect disengaged family's. The 4 Subjects were under following condition : attended 14 times group music therapy and each one was 60 minutes group session. Divided into 14 sessions,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have 3 stages. The first was the preparatory stage to develop the participants-therapist-music relations and to offer participants' musical roles. The second stage was to express self feelings and emotions through music stimulus, discuss to find positive self and solution. And the third stage was to look back over the whole sessions, talk about the change and finish the sessions with words of encouragement each other. This study use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s. First, The Family Cohesion & Adaptability Evaluation Scales Ⅲ has been used to select purposeful sampling. Second, Student Alienation Scale has been used to watch for alienation changing. A quantitative data was analyzed by Wilcoxon's using SPSS 12.0K for Windows that the consequence and average result of before and after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In addition, a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by the researcher.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tents of participant's verbal and musical expression accordance with powerlessness, social isolation, normlessness, meaninglessness. Also post-self-valuation questionnaire was completes to see the suspect's change of alienation through group music therapy program. First of all, The result of the research, group music therapy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to reduce alienation for suspects (p < .1). Secondary, the factor relate to alienation were decrease in verbal expressions. Third, for the self point view,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as useful and meaningful for the subjec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as described above,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is positive effect for the teenages' a sense of alienation who was a negative affect disengaged family's. It shows that group music therapy program has effective for teenages' who was a negative affect disengaged family's alienation reduction and professional treatment meth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과잉-분리가정 = 6 1. 과잉-분리가정의 개념 및 특성 = 6 2. 과잉-분리가정 청소년의 특성 = 8 B. 소외감 = 10 1. 소외감의 개념 = 10 2. 과잉-분리가정 청소년의 소외감 = 12 C. 그룹음악치료 = 13 1. 과잉-분리가정 청소년의 소외감과 그룹음악치료 = 13 2. 그룹음악치료의 적용과 기법 = 17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대상 = 28 B. 측정도구 = 33 1. 가족응집력 척도 = 33 2. 소외감 척도 = 34 C. 연구 설계 및 절차 = 34 1. 연구 설계 = 34 2. 연구 절차 = 35 D. 연구 자료 분석 = 37 1. 소외감에 대한 내용 분석 = 37 2. 사후 인터뷰 질문지 = 38 E.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 목표 및 구성 = 39 1.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 목표 = 39 2. 그룹음악치료 구성과 내용 = 4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7 A. 척도 검사 = 47 1. 소외감 척도 사전ㆍ사후 비교 분석 = 47 B. 내용 분석 = 53 1. 단계별 대상자들의 언어적ㆍ음악적 내용 분석 = 53 2. 사후 인터뷰 질문지 내용 기술 = 90 C. 논의 = 93 Ⅴ. 결론 및 제언 = 97 A. 결론 = 97 B. 제언 = 99 참고문헌 = 102 부록 = 113 ABSTRACT =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95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그룹음악치료를 통한 과잉-분리가정 청소년의 소외감 감소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group music therapy program for the reduce of alienation among disengaged family-
dc.creator.othernameJeon, Hee Ran-
dc.format.pageⅹ, 1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