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삼-
dc.contributor.author김우미-
dc.creator김우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ARCS 모형을 적용한 수업 전략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이라는 네 동기요소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행동의 방향과 세기를 학습동기로 보고, ARCS 모형을 활용한 동기 유발 전략을 신문제작수업에 활용하여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신문제작수업에 관한 이론을 지필검사로, 신문제작 완성물에 대한 평가를 수행검사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두 개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54명으로 남학생 28명, 여학생 26명이다. 2개 학급의 학생들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 27명(남학생 14명, 여학생 13명)은 ARCS 모형을 적용한 수업 전략을 사용한 신문제작수업을, 통제집단 27명(남학생 14명, 여학생 13명)은 일반적 신문제작수업을 받았다. 여기서 사용한 동기 전략은 Keller와 송상호(1999)가 제시한 동기 전략 수업 설계를 참조하여 강운선(2005)의 연구에서 제시한 신문제작프로그램의 수업 단계별로 주요 동기요소를 투입하고 강화하는 수업 전략을 사용하였다. 수업은 본 연구자와 보조교사 1명이 4주간에 걸쳐 총 4차시로 진행하였는데 1차시는 신문매체의 이해와 구성요소의 특징 등 이론 중심으로, 2차시와 3차시는 신문제작과정의 절차와 모둠 형성 및 역할 분담 등의 실습 중심으로, 4차시는 발표와 평가로 이루어졌다. 두 집단 모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ARCS 동기요소를 측정하는 학습동기검사, 신문 이론과 제작 과정에 관한 지필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두 집단을 각각 5개의 모둠으로 형성해 모둠별 주제신문을 제작하게 한 뒤에 완성된 신문을 본 연구자와 NIE 전문가, 중학교 교사로 구성된 세 명의 채점자가 평가하는 수행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학습동기는 중다공변량분석(MANCOVA)으로, 지필검사는 공변량분석(ANCOVA)로, 수행검사는 비모수통계 분석으로 Mann 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동기의 경우 자신감 요소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나머지 동기 요소는 차이가 없었다. 통제집단이 실험집단에 비해 자신감 요소가 높게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는 지필검사와 수행검사 모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에 비해 자신감 요소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은 교사의 간섭이라는 변인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학업성취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던 것은 실습 기간이 너무 짧았기 때문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된다. 신문제작수업에 있어서 효과적인 동기 수업 설계를 위해 교사 변인에 대한 분석과 실습 기간의 조정에 따른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otivationally designed newspaper in education(NIE) media production learning on motivation and achievement outcomes before and after ARCS instruction. Four essential strategies for designing motivation instruction in the ARCS model were: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During a 4-wk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n=27) was exposed to a motivationally enhanced NIE media production learning, while the control group (n=27) was exposed to an unenhanced NIE media production learning. Both the Students' motivation and a teacher-designed achievement test in two group were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In addition, students' newspaper outcomes on time engagement in learning was also collected. MANCOVA, ANCOVA, Mann Whitney U Test were used to test the dependent variabl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using the ARCS model could not significantly improve students'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motivationally enhanced NIE media production learning. Students with motivationally designed NIE learning environment did not profit from ARCS-strategies on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 However, the confidence factor in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effects after 4th week. The implications for findings will be discussed in the paper. Finally,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ers are presen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학습동기 = 8 B. ARCS 모형 = 11 C. ARCS 모형의 학습동기 유발전략 = 16 D. NIE 신문제작수업 = 27 E. 선행연구 고찰 = 33 Ⅲ. 연구방법 = 38 A. 연구 대상 = 38 B. 연구 설계 = 39 C. 측정 도구 = 41 D. 연구절차 = 43 E. 자료 분석 = 51 Ⅳ. 연구 결과 = 52 A. 학습동기 = 52 B. 학업성취도 = 55 Ⅴ. 결론 및 제언 = 58 A. 결론 = 58 B. 연구의 한계와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 = 68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16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ARCS 모형을 활용한 수업 전략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NIE 신문제작수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ffects a Motivational Design Based on ARCS Model on the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NIE Media Production Learning-
dc.creator.othernameKim, Woo-Mi-
dc.format.pageⅷ,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