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애-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reator이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3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32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ego-identity and school life adaption for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and students without the experience, 2)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ego-ident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respectively, in a group of students that returned from studying abroad, and 3)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for students that returned from studying abroad. These results can help students who returned from abroad adapt to school life and develop their ego-ident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n 210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and 208 students without the experience from two middle schools in Bundang-gu, Seongnam-si. A measurement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Korean Identity Test", which was developed by Park A Chong (1996) and revised by Lee Sung Kuk (1999). Likewise, "The measurement of school life adaption" was used based on the prior study of Kim A Young (2002).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go-identity and three sub-items of the ego-identity (subjectivity, confidence of future and goal-orientation) between the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and students without the experience, after conducting the T-test. The students who have had the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had higher ego identity than the students without the experienc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ion and school rules between the students with experiences of studying abroad and the students without the experiences by the T-test. The students who have had the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followed the school rules better than the students without the experience. Third, It revealed that goal-orientation (a sub-factor of the ego-identit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chool year of the returning student. Students, who returned from abroad in the first or second grade in elementary school, had higher goal-orientation than students who returned in the fifth or sixth grad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king the initiative (a sub-item of the ego-identity) according to the length of stay in Korea after returning from other countries. Students who had stayed in Korea for more than five years had higher initiative than students who had stayed for three to four years. Also, school grades of the returned students affected four sub-items of the ego-identity. They are subjectivity, self-acceptance, goal-orientation and initiative. The students who had high school grades had higher ego-identity than students who had middle or low school grades. Fourth, the school year of returning from aborad had influence on class adaption, which was a sub-item of the school life adaption. The first grade students were less able to adapt to class than the second or third grade students. Also, return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ship with teachers, class adaption and school rules, the sub-items of school life adaption, according to their grade scores. The students with middle or higher grades tended to adapt better to school life than those with low grade. Fifth, after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school life adaption for returned students, the result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ion and ego-identity. Based on this research, returning year of the student, number of years stayed in Korea and school grade should be considered in formulating the measure to enable the returning students to better adapt to school life and develop their ego-identity. In addition, the future studies should be mad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returning students.;본 연구는 해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학교생활 적응 수준에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귀국 청소년의 해외 유학 경험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 및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귀국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외 귀국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해외 유학 경험이 있는 학생 210명과 일반 학생 208명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418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자아정체감 측정을 위해 박아청(1996)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이승국(1999)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학교생활 적응 수준의 측정을 위해 이숙주(2000)와 조영미(1999)의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근거로 김아영(2002)이 「학업동기 표준화 연구」에서 제작한 학교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전체 및 하위요인 중 주체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 검증 결과 귀국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자아 정체감 전체 및 주체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전체 및 하위 요인 중 학교 규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 검증 결과 귀국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하며, 학교 규칙을 잘 지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귀국 청소년의 해외 유학 경험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은 다음과 같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국 학년에 따라 자아정체감 하위 요인 중 목표지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 검증 결과 초등학교 1, 2학년에 귀국한 학생들이 초등학교 5, 6학년에 귀국한 학생에 비해 목표지향성이 높았다. 귀국 후 국내 거주 기간에 따라 자아정체감의 하위 요인 중 주도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 검증 결과 국내에 거주한 기간이 3년 이상 4년 미만인 학생보다 5년 이상 국내에 거주한 학생의 주도성이 높았다. 학업 수준에 따라서도 자아정체감 전체 및 하위 요인인 주체성,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 주도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 검증 결과 학업 수준이 상인 학생이 중, 하인 학생에 비해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귀국 청소년의 해외 유학 경험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는 학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 요인 중 학교수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 검증 결과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중학교 2, 3학년 학생에 비해 학교수업의 적응이 낮게 나타났다. 학업수준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 전체 및 하위 요인 중 교사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 검증 결과 학업 수준이 상, 중인 학생이 하인 학생보다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해외 귀국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 요인들 사이에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외 귀국 청소년의 올바른 자아정체감 형성 및 학교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귀국학년, 국내거주기간, 학업 수준 등의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귀국 청소년의 해외 유학 경험의 긍정적인 면을 살릴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목적 및 문제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해외 귀국 청소년 = 4 1. 해외 귀국 청소년의 개념 = 4 2. 해외 귀국 청소년의 특성 = 5 3. 해외 귀국 청소년의 현황과 실태 = 5 4. 해외 귀국 청소년의 연구 동향 = 7 B. 자아정체감 = 8 1. 자아정체감의 개념 = 8 2. 자아정체감의 발달과정 = 9 3. 해외 귀국청소년의 자아정체감 = 10 C. 학교생활 적응 = 11 1. 적응의 개념 = 11 2. 학교생활 적응의 개념 = 12 3. 해외 귀국 청소년의 적응 = 13 4.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 적응 = 13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자료수집 = 16 C. 연구도구 = 17 1. 자아정체감 검사 = 17 2. 학교생활 적응 검사 = 18 D. 분석절차 = 19 Ⅳ. 연구결과 = 20 A. 해외 귀국 청소년의 특성 = 20 B. 해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차이 = 22 1. 성별에 따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차이 = 23 2. 해외 거주 기간에 따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차이 = 24 3. 귀국 후 국내 거주 기간에 따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 차이 = 26 C. 해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차이 = 28 1. 성별에 따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차이 = 28 2. 해외 거주 기간에 따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차이 = 30 3. 귀국 후 국내 거주 기간에 따른 귀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학교 생활 적응 차이 = 31 D. 해외 귀국 청소년의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의 차이 = 33 E. 해외 귀국 청소년의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 = 38 F. 해외 귀국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 40 Ⅴ. 논의 = 42 A. 요약 및 결론 = 42 B. 연구의 함의 및 제언 = 46 C. 연구의 제한점 = 47 참고문헌 = 48 부록 1. 설문지(귀국학생용) = 51 부록 2. 설문지(일반학생용) = 57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83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청소년의 해외 유학 경험과 자아정체감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Ego-ident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for Adolescents-
dc.creator.othernameLee, Hyun Ju-
dc.format.pagex,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