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현식-
dc.contributor.author한은미-
dc.creator한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5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55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어떠한가?’,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자기효능감은 어떠한가?’,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로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 관련 이론들을 살핀 후 Bass와 Avolio(1990), 권인탁(1994) 노종희(1996) 등의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 후 인천광역시 교육청 산하 5개 지역교육청별로 각 100명씩 총 500명의 학생을 무선 표집(random sampling)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회수된 설문지 중 48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는데 본 분석에 앞서 알파계수법(Cronbach's alpha)에 의한 신뢰도 분석으로 측정 자료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그 후 응답자의 배경변인 및 변혁적 리더십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기초 자료 분석을 한 후 항목별 평균(mean),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빈도(frequency), 백분율(percentile) 등을 정리하였다. 또한 응답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t-검증(t-test), 분산분석(ANOVA)을 수행하였다. 분산분석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정된 경우 Scheffe 검정법으로 다중비교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련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을 하위요인 간 분석한 결과 ‘결속촉진’에 대한 리더십의 지각 정도가 가장 높은 반면, ‘지적인 자극’ 및 ‘개별적 관심’에 대한 리더십의 지각 정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생들의 배경변인인 성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을 분석한 결과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전체적으로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가지 하위요인을 성별에 따라 비교해 보면, 역시 남학생보다 여학생에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모든 하위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3학년 학생들이 리더십을 높게 인식했고, 그 다음은 1학년, 2학년 순이었다. 또한 4가지 하위요인을 학년에 따라 비교해 보면, 개별적 관심 요인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에서 교사의 리더십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3개 하위요인에서는 3학년 학생들의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자기효능감을 하위요인 간 분석한 결과 ‘자기 조절 효능감’에 대한 지각 정도가 가장 높고 ‘자신감’, ‘과제 난이도’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자기효능감은 학생들의 배경변인인 성별, 학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먼저,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요인에서 자신감요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남학생들이 여학생에 비해 자신감이 높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자기효능감은 학생들의 배경변인인 학년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요인에서 자기 조절 효능감 및 과제 난이도의 학년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1학년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차이분석에서 자기 조절 효능감 및 과제 난이도 평균값이 높았다. 다섯째,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상관은 전체적으로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4개 요인 및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의 3개 요인들 간 상관분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결속 촉진’과 ‘지적인 자극’ 은 자기효능감의 ‘자기 조절 효능감’ 및 ‘과제 난이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카리스마는 자기효능감의 ‘자신감’ 및 ‘과제 난이도’와 상관관계가 유의하였고, ‘개별적 관심’은 자기효능감 중 ‘자기 조절 효능감’과 유의하였다.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중에서 ‘결속 촉진’ ‘자기 조절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카리스마’와 ‘자신감’ 간에는 음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교사의 카리스마 성향이 강하면 학생들의 자신감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수로 하고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4개 하위 요인을 독립변수로 지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독립변수 중에서 ‘결속촉진’ 요인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근거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관련하여 성별과 학년에 따라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을 다르게 지각하는 원인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다르게 지각함으로써 어떠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정확한 규명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성별, 학년별 차이는 그 원인이 다양하다 하더라도 자기효능감은 학생에게 중요한 개념이고, 필요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원인 분석을 통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법을 생각하되, 학생에게 미치는 교사의 영향과 시대적 요구를 고려하여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연관 지어 찾아보는 것도 후속 연구의 과제로 남길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학생들이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도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에 따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예언 가능하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을 높게 지각할 수 있도록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고 끈끈한 인간관계를 맺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하위 요인들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하위 요인들과 긍정적인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형성되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교사들이 좀 더 적극적인 노력과 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both perceived by the students. For this purpose, relevant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reby, three study points were set up; 'how abou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in charged perceived by the high school students?; 'How about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Wha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self-efficacy?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above study points, the theories ab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efficacy were reviewed, and thereup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conducted by Bass & Avolio's (1990) and Kwon In-tak (1994) and Noh Jong-hee (1996). Then, each 100 students (500 students in total) were randomly sampled from the high schools under each regional office (5 offices in total) of Inch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be subject to the questionnaire survey. 483 responses out of those returned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Before the main analysis, reliability was analyzed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to examine goodness-of-fit of the data. Then, the data about students' demographic variables,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self-efficacy both perceived by students were analyzed basically, and thereby, means, SDs, frequencies and percentiles were calculated by item. On the other hand,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differences of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self-efficacy depending on respondents' demographic variables. In cas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NOVA, they were subjected to the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using Scheffe's test.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how much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students were correlated with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ith its conclusion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factors of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hip for 'encouragement for solidarity' was perceived highest, while the leadership for 'intellectual stimulation' or 'individualized concern' was perceived relatively low. Second,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student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uch demographic variables of students' as gender and grade.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of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students depending on their gender, it was found that girls perceived it more than boys in overall terms.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4 sub-factors of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tween boys and girls,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hip was perceived more by girls than boys in all sub-factors. Next,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student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tudents' grades. In overall terms, 3rd-graders perceived the leadership most, followed by 1st graders and 2nd graders in their order.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omparing 4 sub-factors depending on grades, teachers' leadership was perceived highest by 1st graders in terms of individualized concern. In terms of the other 3 sub-factors, however, teachers' leadership was perceived highest by 3rd graders. Such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by sub-factor, 'self-control' was perceived highest, followed by 'self-confidence' and 'difficulty of task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of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s, it was found that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gender, but differed significantly in terms of the sub-factor 'self-confidence'; boys were more self-confident than girls. Next,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depending on grades. However, there were fou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h sub-factors as 'self-control' and 'difficulty of tasks' depending on grades. In particular, 1st graders scored highest on average in these sub-factors. Fifth,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students was fou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4 sub-factors of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3 sub-factors of students'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encouragement for better results'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control' and 'difficulty of tasks' of self-efficacy. Charism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ch sub-factors of self-efficacy as 'self-confidence' and 'difficulty of tasks,' while 'individualized concer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control.' All in all, the sub-factor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ncouragement for better results' was most highly correlated with the subfactor of self-efficacy 'self-control.' And 'charism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fidence', which suggests that the stronger teacher's charisma tendency is, students are less self-confident. Six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students' self-efficacy' as dependent variable and 4 sub-factors of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gression model induced was significant, but that only 'encouragement for solidarity'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among 4 sub-factors of the leadership.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nd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ut forwards; Firs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determine the reasons why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students' gender and grades and thereby, analyze the effect of such different perceptions. Second, although the reasons why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differ depending on their gender and grades are diversified, it is required of the future studies to analyze the specific reasons for such differences of perception to find the ways to improve their perceived self-efficacy, assuming that self-efficacy is important and essential to them, and additionally, analyze teachers' influence over students in association with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rd, sinc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in overall terms, it is possible that the higher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perceived by students, their perceived self-efficacy is higher. Also, students' perceived self-efficacy can be predicted in reference to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cordingly, teachers are obliged to develop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 balanced way and form a close human relationship with students, so that students can perceive their leadership highly. Furthermore, teachers are requested to make more efforts and develop themselves so that sub-factors of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have mutually complementary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ose of students' self-efficacy to help improve students' self-effica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의미 = 6 A. 리더십의 개념 및 이론 변천 = 6 B.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 26 C. 자기효능감 = 31 D.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35 Ⅲ. 연구방법 = 41 A. 연구가설 = 41 B. 연구대상 및 절차 = 42 C. 측정도구 = 43 D. 자료의 처리 = 45 Ⅳ. 연구결과 = 46 A.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분석 = 46 B.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자기효능감에 대한 분석 = 52 C.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분석 = 57 D. 다중회귀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요인 및 영향력 분석 = 59 Ⅴ. 결론 = 62 A. 요약 = 62 B. 결론 및 제언 = 66 참고문헌 = 71 부록 = 77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04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chers in Charge and Students' Self-Efficacy Both Perceived by Students-
dc.creator.othernameHan, eun-mi-
dc.format.pageⅹ,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