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공혜지-
dc.creator공혜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8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arts highschool in planing vocation and in development of professionality by informing them their own view of vocation, aptitude, capacity, vocational orientation, and vocational maturity to provide them more detail and objective direction of vocation using date from Vocational Aptitude Battery which is helpful in vocation exploring in detail and rational as well as from the Vocational Identity Instrument based on their general information such as grade, major, dance career, and practical performance, and by help them in understanding various major and vo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663 students majoring dance in arts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recruited and surveyed using questionnaire. The 602 questionnaires in total were included in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using SPSS ver 13.0 programme. Th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nd the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ing t-test,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o for corresponding research question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exploration survey on each general informations such as grade, major, dance career, and practical performance of students majoring dance in art highschool showed that the social type was most followed by artistic, corporational, research, practical, and customary ones. The third grade was highest in vocational exploration survey on each grades and the artistic o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vocational exploration survey on each detail major types showed that a ballet was highest in four factors of practical, artistic, social, and customary ones. The analysis of the vocational exploration survey on each dance career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were increased when the dance career was longer at practical, artistic, social, corporational ones. The vocational exploration survey on practical performance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low performance students was higher, but did not reach to statistically significance. Second, the vocational identity survey on each general informations such as grade, major, dance career, and practical performance of students majoring dance in art highschool showed slightly high scores. This indicates that the students has high level of vocational maturity, allowing more easy development to the next stage using more vigorous vocational identity in determining vocation. The most one in sub-factors was the orientational pursue for vocation, stability, being of self. The vocational identity on each grades showed most one in second grade followed by third and first one, and The vocational identity on each detail major showed most one in ballet followed by modern and korean one.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vocational identity among dance careers showed that the vocational identity was higher when the dance career was longer. The orientational pursue for vocation and being of self were higher when the career was longer. The vocational identity survey on practical performance showed that the stability was high in students of higher performance, but did not reach to statistically significance. Third,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vocational exploration and vocational ident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 higher vocational identity provide more opportunities in the process of exploring vocation and that the experience of exploring vocation increase the vocational identity. There were also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ub-factors of practical, research, artistic, social, corporational, and customary ones and among the orientational pursue for vocation, stability, and being of self which are sub-factors of vocational identity.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ies on the vocational identity and vocational exploration among the students majoring dance in art high school who have experience of preparing for vocation will be helpful in allowing them to recognize their own interest, aptitude, and value in providing them more detail and practical opportunities of determining vocation using pre-learning about the target vocation and to effect positively to prompting the determination of vocation,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ir own vocation, setting goal, and understanding details of various vocations.;본 연구는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진로탐색과 진로정체감을 통하여 능력이나 적성, 진로지향성과 진로성숙도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진로계획을 설정하고 전문성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는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 6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602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 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과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학년, 전공, 무용경력, 실기성적)에 따른 진로탐색에서는 사회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예술형, 기업형, 탐구형, 실재형, 관습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탐색에서는 평균적으로 3학년이 가장 높았으며, 예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전공형태에 따른 진로 탐색은 실재형, 예술형, 사회형, 관습형의 4가지 요소에서 발레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력에 따른 진로탐색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형에서 경력이 많을수록 평균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고, 실기성적에 따른 진로탐색결과는 점수가 낮은 학생들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학년, 전공, 무용경력, 실기 성적)에 따른 진로정체감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이 높게 나타난 것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높게 분석되어, 진로정체감이 낮을 때보다 진로 선택을 하는 데에 있어 진로의 정체감이 튼튼하게 형성됨에 따라 다음단계로의 발달이 수월해질 수 있다. 하위영역에서는 진로목표지향성, 안정성, 자기존재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정체감에서는 2학년과 3학년이 1학년보다 진로정체감이 더 높게 나타났고, 전공형태에 따른 진로정체감에서는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 전공 순으로 나타났다. 무용경력에 따른 진로정체감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력이 많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고, 평균을 보면, 진로목표지향성과 자기존재의식 모두 경력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실기성적에 따른 진로정체감에서는 성적이 우수한 학생의 진로 안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전체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셋째,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진로탐색과 진로정체감간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탐색과정에 있어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진로탐색의 경험을 통하여 진로정체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로탐색의 실재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형, 관습형의 하위 요인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진로정체감의 진로목표지향성, 진로안정성, 자기존재의식의 하위 요인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탐색은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인식하고, 목표를 세우고, 직업을 이해하는 구체적인 진로 결정을 하기 위한 과정에서 진로의 준비 행동을 먼저 해본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학생들에게 새로운 방법으로 진로탐색과 진로정체감 연구를 통하여 자신의 흥미, 적성, 가치관 등을 인식하며, 앞으로 자신이 전공하고 종사하려는 분야의 직업에 대한 사전학습을 통하여 좀 더 세부적이고 현실적인 직업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또한 진로 결정을 촉진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가설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진로와 진로탐색 = 6 1. 진로의 개념 = 6 2. 진로 의식 = 7 3. Holland 진로 탐색 검사 = 8 B. 진로정체감 = 16 1. 진로정체감의 개념 = 16 2.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 = 17 3. 진로정체감 평가 = 19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 22 B. 조사도구 = 23 C. 조사절차 = 26 D. 분석방법 = 27 Ⅳ. 연구결과 = 28 A. 일반적 배경에 따른 진로 탐색에 대한 분석 결과 = 28 B. 일반적 배경에 따른 진로정체감에 대한 분석 결과 = 33 C. 진로탐색과 진로정체감간의 관계 = 38 Ⅴ. 논의 및 결론 = 43 참고문헌 = 50 부록 설문지 = 54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47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들의 진로탐색과 진로정체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irection of Vocation and View of Voc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Arts Highschool-
dc.creator.othernameKong, Hye Ji-
dc.format.pageⅷ,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