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하-
dc.contributor.author조효영-
dc.creator조효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6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고등학교의 무용전공학생을 대상으로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무용수행의 심리ㆍ체력 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학생들의 무용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도구로 사용된 하타요가 프로그램은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무용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ㆍ체력 측면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무용학원에 다니고 있는 무용전공 중·고등학생 28명을 무선표집하여 각각 14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절차는 무용전공학생임을 감안하여 새롭게 구성한 하타요가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원래의 학원무용수업에 추가하여 총 8주간에 걸쳐 일주일에 3번씩 1회당 1시간 15분간 총 24회를 실시하였으며, 반면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원래의 학원무용수업 이외에는 아무런 추가적인 교육내용을 실시하지 않았다. 사용된 도구는 무용수행에 미치는 심리요인인 긴장과 불안, 집중력, 자신감, 심상, 동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5가지 심리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한편 무용수행 시 요구되는 체력요인인 평형성, 유연성, 민첩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3가지 체력요인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평형성 검사는 눈감고 한발 들기, 한발 들어 T자 만들기, 턴 돌아 눈감고 한발 들기의 세 가지 하위요인을 측정하였고, 유연성 측정은 앞으로 구부리기(전굴), 뒤로 젖히기(후굴), 가로 찢기의 세 가지 하위요인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민첩성 검사는 사이드 스텝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무용수행향상이라는 궁극적인 목적달성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형성, 유연성, 민첩성의 세 가지 체력요인을 연속된 무용동작으로 구성하였다. 표현기술의 평가항목은 동작의 정확성, 동작의 연결성 및 흐름, 동작의 전체적인 조화로 세 명의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10점 만점으로 평가 되었다. 이와 같이 무용수행능력에 대한 하타요가수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 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두 집단 간의 동질성 검사를 위해 사전결과에 대한 독립t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심리요인과 기술요인의 사전검사결과를 공변인으로 처리하여 사후 점수에 대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무용수행능력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긴장과 불안, 집중력, 자신감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동기와 심상요인에서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에 따른 효과는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실험집단-통제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무용수행능력의 체력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형성, 유연성, 민첩성 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평형성 하위요인 중 한발 들어 T자 만들기를 제외한 나머지 유연성, 민첩성 모든 하위요인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무용동작의 표현기술면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력요인(평형성, 유연성, 민첩성)을 무용동작으로 구성하여 표현능력이 향상되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하타요가 프로그램은 무용수행능력에 필요한 심리적·체력요인에 영향을 미쳐 무용수행에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무용교육 안에서 적절하게 적용된다면 불안정한 정서에 노출되어 있는 무용전공학생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과 긍정적인 사고를 이끌어 보다 신체로 표현하는 무용의 즐거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의 무용수업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방법으로 무용수행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ake a contribution to enhancing performance capabilities of dance-majoring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by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Hatha Yoga" program on them. For this purpose, psychology, physical strength, and technical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have been analyzed through experiments on selected students. The "Hatha Yoga" program applied in the study has been specially designed for students to practice beneficial postures of four phases. For relevant experiments, 28 students who attanding dance academ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randomly selected. And the selected students have been divided into 2 different groups for experiments. One is the experimental group of 14 students. The other is the control group of 14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has practiced the "Hatha Yoga" program 3 times per week for 8 weeks. The practice time of the program for each time has lasted 75 minutes.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no yoga program practiced at all for the control group. At the begining and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all of 28 students have been surveyed by the same questionnaire for checking 5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tension, concentration, confidence, mental image and motivation. Also, the same technical measurement for evaluation has been conducted by 3 dancing masters for all of 28 students both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in order to check 3 technical factors such as balance, flexibility, and quickness. In addition, a set of dancing motions designed to evaluate the expressional aspect of performance capabilities has been performed by all of 28 students in front of 3 dancing masters both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These obtained data through relevant experiments have been analyzed by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is used in examining the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5 psychological factors, the exp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as show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3 factors of tension,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In terms of motivation and mental image, although the exprimental group ha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but it has not show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ly, regarding 3 technical factors, the exp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as shown the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2 factors of flexibility and quickness. In terms of balance, the exp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as show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2 sub-measurements of balance, but it has not show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on 1 sub-measurement which is making T-shape posture with one leg. Lastly, regarding the expression aspect, the exp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as show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3 sub-measurements such as accuracy, linkage, and harmon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3 factors(tension, concentration, confidence) out of 5 psychological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capabilities have been enhanced significantly by applying the "Hatha Yoga" program to dance education for students. Also, the results has indicated that the "Hatha Yoga" program has influenced positively for students to enhance their technical and expressional aspect of performance capabiliti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urpose of the study has been accomplished by comfirming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Hatha Yoga" program on performance capabilities of dance-majoring students. Finally, further studies on the subject for the long term effect are expected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가설 = 6 D. 연구의 제한점 = 7 E. 용어의 정리 = 8 Ⅱ. 이론적 배경 = 10 A. 무용수행의 결정요인 = 10 B. 무용수행과 요가 = 13 C. 요가의 개요 = 17 1. 요가 = 17 2. 요가의 수행법 = 18 3. 요가의 효과 = 23 D. 요가프로그램의 특징 = 25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대상 = 31 B. 연구설계 = 31 C. 연구도구 = 32 1. 하타요가 프로그램 = 32 2. 측정도구 = 40 D. 연구절차 = 44 E. 자료처리 = 45 Ⅳ. 연구결과 = 46 A. 집단 간 심리ㆍ체력ㆍ표현기술 요인의 사전 동질성 검정 = 46 1. 심리 요인의 사전 동질성 검정 = 46 2. 체력 요인의 사전 동질성 검정 = 47 3. 표현기술요인의 사전 동질성 검정 = 48 B.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무용전공학생의 심리 요인에 미치는 영향 = 49 C.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무용전공학생의 체력 요인에 미치는 영향 = 52 가.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무용전공학생의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 52 나.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무용전공학생의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55 다.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무용전공학생의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 57 D. 하타요가 프로그램이 무용전공학생의 표현기술요인에 미치는 영향 = 59 Ⅴ. 논의 = 62 Ⅵ. 결론 및 제언 = 70 참고문헌 = 74 부록 = 82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88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Hatha Yoga 프로그램이 무용수행의 심리·체력·표현기술 요인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Hatha Yoga" Program on Psychology, Physical Strength and Technical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Cho, Hyo-Young-
dc.format.pageⅸ,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