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영순-
dc.contributor.author진미현-
dc.creator진미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0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092-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에서는 새로운 시대정신에 따라 능동성, 창의성, 다양성과 같은 가치들이 중요시되면서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학습에 대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환경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교육현장에서는 여전히 단편적 지식암기 중심과 지식전달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지식구성이 어렵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자기의 요구와 능력에 적합한 학습활동을 통해 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들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비고츠키(Vygotsky)의 이론은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으로 교수-학습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성인이나 동료의 도움을 기초로 학습자 자신이 학습에 주인이 되어가는 과정을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 하나의 대안을 제시해줄 수 있다. 비고츠키는 학습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근접발달영역(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내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시하였다. 이는 모든 학생들이 성인이나 동료의 적절한 도움을 받으면 스스로 할 수 있는 것 이상을 성취하여 그 발달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학습자의 현재 지식을 기초로 보다 높은 수준의 지식을 형성하는 것을 돕기 위해 교사가 제공하는 도움체제를 스캐폴딩(Scaffolding)이라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결국 자신의 학습에 완전한 주인이 되어 주도적으로 의미있게 지식을 구성해나갈 수 있게 된다. 미술과 교육의 목적은 학생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적 맥락에서 미술을 이해하고 생활화하는 심미적 체험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맥락을 중시하는 비고츠키의 이론을 미술교육에 적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여러 분야에서 관심이 되고 있는 비고츠키의 이론에 기초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술학습동기와 미술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고츠키의 이론과 그에 기초한 학습전략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양재동에 소재하는 M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총 78명을 선정하였고 총 5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비고츠키 이론에 기초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하고 각 반의 미술학습동기와 미술학업성취도를 비교, 분석하여 미술학습동기와 미술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고츠키 이론에 기초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일반적인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비해 미술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고츠키 이론에 기초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일반적인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비해 미술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비고츠키 이론에 기초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미술학습동기와 미술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비고츠키 이론에 기초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높여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효과적인 수업방안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비고츠키 이론에 기초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미술학습동기와 미술학업성취도 증진에 큰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아직 미술교육 분야에 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비고츠키의 이론을 미술과에 적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실상황에 적용시켜 본 후 결과에 관해 논의 해보는 연구들이 더 많이 이루어지길 바란다.;As in the modern society the virtues like initiatives, creativity and variety in line with the spirit of the new era, it is required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a learner can proactivelyand positively participate so as to play a leading role in his study by himself. Yet, the education with fractional knowledge memorization and knowledge conveyance is dominant in the actual school education field so it faces criticism that posi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knowledge composition are not easy. Accordingly,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came to be required so that a learner should be a main player to be able to cope with changes of the society positively and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through learning activities that is proper to requirement and ability of the self. The Vygotsky Theory is that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learner or learner and learner can lead to development. Since it highlightsthe importance of teaching-learning and weighs the process that the learner himself becomes a main part in the study based on an adult’s or colleague’s assistance, it can suggest a solution to a new educational request. Vygotsky urged that the learning can be made by social interactions and weighed the social interaction within 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for the more effective learning. This means that every student can enhance his development level by achieving something beyond what he can do if he can get proper assistance from an adult or a colleague. Given the present knowledge of the learner, it is called as Scaffolding that is the assistance system offered by the teacher to help to earn higher level of knowledge. Based on this, the learner proactively participates in learning so that he can forge the knowledge initiatively and meaningfully being a perfect leader in his learning eventually. Thepurpose of the art and education can be said to maintain a rich and meaningful life by letting a student express his emotions and thought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in which the students understand and bring the art into a life in the connections with the society the student himself belongs to. Therefore, if the Vygotsky Theory weighing the social connections is applied to the art education, it would be the more effective art education. The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Vygotsky Theory that is an issue in many fields lately and then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art learning motif and achievement. To this end, the Vygotsky Theory and the learning strategy from the theory were investigated theoretically. Basedon this, the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study, total 78 students from 2 classes of M primary school 3rd grade in Yangjae-dong, Seoul were selected and given the classes 5 times. The experiments were made with two groups; the experiment group with the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Vygotsky Theory and the control group with the general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Then, the art learning motif and achievement of each class were compared, analyzed to test how it affects the art learning motif and achiev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and analyzed by SPSS v.12.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Vygotsky Theory showed more effective to enhance the art learning motif than the general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Second, the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Vygotsky Theory showed more effective to enhance the art learning achievement than the general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In conclusion, the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Vygotsky Theory in this study brought the positive effect to enhance the art learning motive and achievement of the primary 3rd grade students. As such,it was found that the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Vygotsky Theory enhanced learner’s inner motif to help to study proactively and could become a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Vygotsky Theory has thesignificance in enhancing the art learning motif and the art study achievement of the primary 3rd grade students. It is of hope to develop various programs using the Vygotsky Theory of which studies have not made much thus far in the field of the art education to the art subject and to apply it to the class situation, after which more studies to discuss the outcomes are to be m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비고츠키의 이론 = 4 1.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 4 2. 근접발달영역 (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6 B. 비고츠키 이론의 교육적 적용 = 10 1. 스캐폴딩 (Scaffolding) = 10 2. 교사의 역할과 상보적 교수 = 13 3. 협동학습 = 14 C. 초등미술교육과 비고츠키 이론 = 16 1. 초등미술교육에의 적용 = 16 2.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 교육과정 = 18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대상 및 절차 = 21 1. 연구 대상 = 21 2. 연구절차 = 23 B. 연구도구 = 24 1. 수업도구 = 24 2. 측정도구 = 50 C. 자료처리 및 분석 = 55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58 A. 연구결과 = 58 B. 논의 = 68 Ⅴ. 결론 = 70 참고문헌 = 72 부록목차 = 74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333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Vygotsky 이론에 기초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미술학습동기와 미술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how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of Art Class based on Vygotsky Theory effects art learning motif and art study achievement : mainly with 3rd grade students of primary school-
dc.creator.othernameJin, Mi Hyun-
dc.format.pageⅹ,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