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혜자-
dc.contributor.author이미나-
dc.creator이미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0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079-
dc.description.abstractThe modern society seeks dynamic and creative lives that can meet the society's rapid changes caused by the consta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calls for transition in the paradigm of each sector of the nation and society. Provided that education is defined as cultivating men of ability who can be applied to the newly changing age that adjusts to the social changes, the role of education can be emphasized as a crucial element. From such view, the art education today has come to ask for more diverse approaches to the new perspectives rather than the aspects of an objective, method, and pattern. Such importance of education in the light of providing learners with proper knowledge and experience for the new atmosphere has been presented and ICT in education is one of the strategies that can correspond with it. Computer networks were set up by the 'Master Plan for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in schools across the nation in the late 2000; computer laboratories were provided and multimedia equipments were supplied to any ordinary classes. According to a survey related to ICT conducted by OCEC PISA (2003), those who responded 'positive' to the computer utilization at home and school in Korea were 98% and 85% respectively and showed a high sense of confidence in regard to doing ICT assignments. In the seventh academic curriculum, ICT education with the utilization of computers was set as an objective and specific programs for over 10% of ICT use in the teacher's learning course for each subject were presented. Because normally the art education at school aims at helping citizens understand art inside the daily lives and consume it rather than cultivating professional artists, art education that utilizes ICT should, in order to achieve such goal, be carried out efficiently. The positive effects that ICT in education has on art education are described in the studies of Yoon Jung Cho (2007) with focus on the art text 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preceding studies of Sun Ah Cho (2005) with focus on the secondary engraving art education. Art education that utilizes ICT, by expanding the realm of large aesthetic experiences, has a high educational value in terms of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er's concern, interest, and motivation, of reducing the burden of preparing learning materials due to the universalization of ICT media, of being effective especially for the learner's expressive activities by helping setting up self-leading processes of expressive activities and providing him/her with confidence and purpose for creation, of making the organic integrated education possible, etc. Thus, I have proposed an instruction program for teacher's learning course by using ICT to the engraving art education for 10th graders, out of the art academic curriculums, which can possibly be bound by a traditional way of class due to many different restrictions. To present the instruction program for teacher's learning course of print art education with the utilization of ICT education, the definition and direction of ICT in education, and literature searches and preceding studies were examined.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of art and academic curriculum and art text books for high schools were studied for the analysis of the details on high school's print art education. Based on this, a total of five classes were given to a class of 34 students in the first year at K High School, located in Gimpo-si, Gyeonggi-do, with the instruction program for teacher's learning course of print art education with the utilization of ICT education from the 15th to 24th of December in 2008. An assessor created based on [A Study of Teacher's Learning Course and Evaluation Program with Consideration of Individual Variation] fro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on the sectors of print and computer graphic evaluation among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s artistic expressive sectors for 10th graders was used. Other evaluation factor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critical elements, evaluation criteria, and critical marks of 'Common Plain Molding' in the 'Evaluation Data' presented by the studies of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provided, each individual work of the students was evaluated for its quality. The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materials for teacher's learning course of print art educa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ICT education have good readability and are easily paid attention to. They als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becoming interested, and getting motivated. Second, print art classes through the utilization of ICT education function efficiently especially for expressive activities. Third, print art classes taken through the utilization of ICT education make an integrated learning possible. From all these results, it is certain that the utilization of ICT is an effective class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int art class. In order for ICT media to be used by the right person and in the right place at all times, attempts including setting up a system for school, developing programs for teacher's learning course, researching on the ICT in education for teachers, etc. ought to be made constantly. The right awareness regarding ICT in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ICT itself would not be the purpose for the class. Since this study only included some of the 10th graders, I personally wish that there will be more researches conducted with more diverse and flexible objects, contents, and methods appli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with the utilization of ICT from different aspects.;현대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의 끊임없는 발달로 인한 사회의 급속한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삶을 지향하고 있다. 즉, 지식 정보화 사회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국가와 사회 각 부문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교육이 사회변화에 발맞추어 새롭게 변화되는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인재를 길러주는 것이라고 정의할 때, 교육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부각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늘날의 미술교육은 목표, 방법 및 유형의 측면에서 보다 새로운 시각으로의 다양한 접근을 요구하게 되었다.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지식과 경험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ICT 활용교육은 이에 부합할 수 있는 전략 중에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말 ‘교육정보화 종합계획’에 의하여 전국 학교에 학내 전산망이 구축되었고 컴퓨터 실습실이 마련되었으며 일반 교실에도 멀티미디어 기기가 보급되었다. 이후 OECD PISA(2003)의 ICT관련 조사결과 대한민국의 가정과 학교에서 컴퓨터 활용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은 각각 98%, 8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ICT 과제 수행에 대하여 높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하는 ICT 교육이 목표로 정해졌으며 교과별 교수-학습 과정에서 ICT를 10% 이상 활용하도록 하는 운영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학교에서의 미술교육은 전문적인 미술가를 양성하기보다는 생활 속에서의 미술을 이해하고 소비할 시민을 양성하는 데 그 목표가 있기 때문에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ICT를 활용한 미술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CT 활용교육이 미술교육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중·고등학교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한 조윤정(2007)의 연구와 중등 판화미술교육을 중심으로 한 조선아(2005)의 선행 연구결과에서 나타난바 있다. ICT를 활용한 미술교육은 폭넓은 미적체험의 영역을 넓혀줌으로써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 동기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점과 ICT 매체의 보편화로 학습 자료의 준비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점, 자기주도적인 표현 활동 과정을 형성하여 학습자에게 자신감과 새로운 창작 의지를 제공하여 표현 활동에 효과적이라는 점, 유기적인 통합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 등에서 교육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교과 영역 중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수업에 얽매일 수 있는 고등학교 1학년의 판화미술교육에 ICT를 활용하여 이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CT 활용교육을 통한 판화미술교육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ICT 활용교육의 개념과 방향, ICT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조사하였고,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교 판화미술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경기도 김포시에 소재한 K고등학교 1학년 1개 학급인 34명을 대상으로 ICT 활용 판화미술교육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여 2008년 12월 15일부터 12월 24일까지 총 5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의 결과물 평가를 위하여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의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및 평가방안 연구」와 [교수학습개발센터]의 10학년 미술 표현영역 중 판화영역과 컴퓨터그래픽 평가영역을 기준으로 제작한 평가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에 따른 평가요소는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의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자료’ 중 ‘평면조형 공통’의 평론요소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제시한 평가 척도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 학생들의 개인별 작품을 질적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판화미술교육에서의 ICT 활용교육은 제한된 학습 환경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미술에 대한 이해와 표현능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그 교육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ICT 매체를 활용한 디지털 판화와 전통예술 형식을 통한 판화미술교육의 결합은 체험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전통판화에서 길러질 수 있는 계획성, 손의 표현력과 더불어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을 디지털 판화를 통하여 가능하게 한다. 셋째, ICT 매체를 활용한 디지털 판화와 전통예술 형식을 통한 판화미술교육의 결합은 시간적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의 활용은 표현하고자 하는 결과를 즉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전통판화기법의 수작업을 통한 표현 위에 더욱 다양한 표현효과를 짧은 수업시수 안에 나타낼 수 있다. 넷째, ICT 매체를 활용한 디지털 판화와 전통예술 형식을 통한 판화미술교육의 결합은 질감의 제약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촉각적 질감을 직접 손으로 만들어내는 전통판화 형식의 수업을 통하여 물성 체험이나 정서적인 감정을 유발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직접 표현한 촉각적 질감 위에 색채와 질감을 변형하여 시각적 풍부함과 쾌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ICT 매체와 전통예술 형식을 판화미술교육에서 적절하게 결합하는 것은 각각의 장점을 극대화 하고, 한계를 극복하는 효과적인 수업을 형성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ICT 매체가 미술교과에서 적재적소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학교의 시스템 구축,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교사의 ICT 활용 교육 연구 등에 대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ICT 자체가 수업의 목적이 되지 않도록 ICT 활용교육에 대한 올바른 의식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ICT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효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과 내용 및 방법을 보다 다양하고 융통성 있게 적용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ICT 활용교육 = 3 1. ICT 활용교육의 개념 = 3 2. ICT 활용교육의 유형 = 5 3. ICT 활용교육의 방향 = 7 B. 고등학교 미술수업과 ICT 활용교육 = 9 1. 고등학교 미술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 9 2.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단원 분석 = 21 3. ICT를 활용한 판화미술교육 = 26 Ⅲ. 연구방법 = 36 A. 연구대상 및 절차 = 36 1. 연구대상 = 36 2. 연구절차 = 36 B. 연구도구 = 37 1. 수업도구 = 37 2. 평가도구 = 54 Ⅳ. 연구결과 = 57 Ⅴ. 결론 = 69 참고문헌 = 72 부록 1. 1차시에 활용된 ppt 자료 = 75 부록 2. 2차시에 활용된 ppt 자료 = 81 부록 3. 3,4차시에 활용된 ppt 자료 = 82 부록 4. 웹 메일을 통해 전송한 결과물 내용 = 83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583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1학년 판화수업에서 ICT 활용 지도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Instruction Program for the Utilization of ICT in the Print Class for 10th Graders-
dc.creator.othernameLee, Mi Na-
dc.format.pageⅸ,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