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6 Download: 0

비전공 성인 피아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따른 수업 관찰 연구

Title
비전공 성인 피아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따른 수업 관찰 연구
Other Titles
An observation study on teaching-learning process of non-professional adult piano learners with differ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vel
Authors
김현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수미
Abstract
성인 피아노 학습에서 학습자들은 학습의 동기와 목적, 인지적․ 신체적․ 정의적 측면등 모든 면에서 성인 학습자로서의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 가운데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면은 성인 학습 이론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특성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비전공 성인 피아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정도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학습자의 특성에 알맞은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과정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30명의 초급과정 성인 학습자들의 수업 과정을 30분 분량씩 캠코더로 촬영하였다. 또한 자기주도성 측정도구로서 Guglielmino(1977)가 개발하고 우리나라의 김지자 외 3명(1996)이 우리나라 성인 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한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검사(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SDLRS)를 사용하여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 정도를 측정 하였다. 관찰도구로는 Kostka(1984)의 연구를 참고로 연구자가 제작한 ‘교수-학습과정 관찰 분석표’를 사용하여 학습자별로 촬영된 영상의 처음, 중간, 끝의 일부 구간을 무작위로 선정하고 5초당 1회의 빈도로 도합 20분의 분량이 관찰되도록 하였다. 20분을 240개의 코딩으로 나누었으므로 관찰된 코딩의 총합은 7200(240X30명)개이며 관찰된 시간은 총 600분이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검사 결과와 교수-학습과정 분석표에 의한 관찰 결과를 토대로 수업에 대한 양적․질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찰대상의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검사 결과 상․중․하 그룹 간 유의미한 점수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점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 검사의 여러 요인을 자기 주도성 정도 상․중․하 그룹별로 비교하였을 때 ‘독창적 접근’, ‘학습에 대한 책임 수용’, ‘학습에 대한 애착’, ‘미래지향성’, ‘학습자적 신념’의 5가지 요인에서 상위 그룹에서 하위 그룹으로 갈수록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탐구적 특성’ 과 ‘자발적 계획’ 요인은 그룹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교수-학습과정 관찰 분석표에 따른 수업 관찰 결과 교사의 언어적․ 비언어적 활동을 나타내는 여러 항목간의 빈도 차이를 보였다. 언어적 활동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난 항목은 ‘설명’과 ‘단순 지시’이며 가장 낮은 빈도로 관찰된 항목은 ‘질문’과 ‘응답’이다. 비언어적 활동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관찰된 항목은 ‘모델링’이며 ‘신체접촉’은 가장 낮은 빈도로 관찰 되었다. 넷째, 학습자의 능동적 활동 중 가장 높은 빈도로 관찰된 항목은 ‘연주’이며 ‘자기수정’과 ‘자기평가’도 빈번히 관찰 되었다. 가장 낮은 빈도로 관찰된 항목은 ‘노래’와 ‘박자세기’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수동적 활동으로 가장 많이 관찰된 항목은 ‘지시에 의한 수정’이며 그 외의 항목은 낮은 빈도로 관찰 되었다. 다섯째, 교사의 언어적 교수 활동이 비언어적 교수 활동보다 높은 비율로 관찰 되었고 학습자의 능동적 활동이 수동적 활동보다 높게 관찰 되었다. 또한 전체 수업에서 교사의 활동이 학습자의 활동보다 약간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정도와 능동적․수동적 활동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사의 교수 활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교사의 언어적 활동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높을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사의 비언어적 활동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정도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 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높을수록 학습자의 능동적 활동은 확연히 높게 나타났으며 수동적 활동은 낮게 나타났다. 여덟째, 관찰된 많은 항목에서 교사와 학습자 활동 평균의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나 비슷한 수준의 자기주도성 정도를 지닌 성인 학습자라 할지라도 학습자간 특성은 매우 다양하며, 교사의 교수 방법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이 나타났다. 성인 피아노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자기 주도적 특성과 단계를 파악하고 각 단계에 적합한 교수-학습이 이루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의 개인차를 고려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가 보다 높은 자기주도성 단계로 이동하며 궁극적으로는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사와 학습자의 노력이 필요하다.;Adult learners in piano lessons show their peculiar characteristics in every aspect of learning process including their learning motive, purpose, recognitive, physic, definitive aspects. Among these,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one characteristic which is most importantly discussed in adult learning theories. This research reports the observation result of piano lessons of non-professional adult learners according to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vel. By doing so, it aims to direct proper learning course based on a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help mak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more effective. For the research, 30 minutes of each of 30 adult beginners' piano lessons were recorded with a camcorder. As a measuring tool of self-directed learning level,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SDLRS) was used, which was designed by Guglielmino (1977)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Korean adult learners by Jeeja Kim and two others (1996). For the observation the researcher used self-designed 'analysis tables for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piano lessons' referring to Kostka's (1984) research. Segments were randomly chosen from the beginning, interim, and last part of each learner's video record in the frequency of once in five seconds, a total of 20 minutes. Each 20-minutes was divided into 240 coding, making the total number of coding to 7200(240 coding for each of 30 adults) and the overall observation time summed up to 600 minut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lesson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earners' SDLRS test results and observation results by 'analysis tables for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piano lessons'. The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bserved learners' SDLRS test resul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oup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rks between the sexes. Secondly, in comparing SDLRS's different criteria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oup, the first group showed highest marks followed by the second then the third in the following five criteria : 'creative approach', 'acceptance of responsibility for learning', 'love of learning', 'future orientation', and 'self-confidence as a learner.' The three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stinctions in 'inquisitive nature' and 'proactive planning' criteria. Thirdly, the observation result according to 'analysis tables for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piano lessons' showed difference of frequency in many elements representing verbal and non-verbal activities of a instructor. In verbal activity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elements were 'explanation' and 'instruction', whereas the 'questioning' and 'answering' were the least frequently observed. 'Demonstr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element in non-verbal activity, 'physical contact' being the least. Fourthly, among the learners' active activitie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element was 'performance'. 'Self-correction' and 'self-evaluation' were also often examined. The least frequently observed element were 'singing' and 'counting beat.' In terms of learners' passive activitie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element was 'correction by instruction' and the rest elements showed low frequency. Fifthly,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ve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ir learning activity, but not with the instructor's teaching activity. Sixthly, an instructor's verbal activities showed a tendency to somewhat decrease as a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level increased, whereas non-verbal activities were steadily observed regardless of a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level. The observation also showed the higher a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level, the higher the learner's active activities and the lower the passive activities. Lastly, in many elements the standard deviation of average activities of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was sizable. This implies that even learners with similar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ve a wide variety of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the instructors' teaching methods were also diverse.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for adult piano learners,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each learner's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haracteristics and conduct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that corresponds to his/her level. Moreover, through such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cess with consideration to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is important that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make effort to help the learner move up to a higher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ventually acquire self-learning skil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