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교육대학교 국악실기과목의 실태조사

Title
교육대학교 국악실기과목의 실태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course in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Authors
이주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as been significant development supported by the fact that it weights about 40 percent of the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s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came more emphasized on the music education,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also been important. It is very true that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mostly depends on the competence of the teacher. The more the teacher understands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better the desirable education would be achie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courses are operated in 11 different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the better plans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ve conducted surveys and phone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s who t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course in 11 different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result of the surveys and phone interviews, I'v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courses and explain the result in the operational aspect, the textbook contents, and the professors opinions as below. First, for the operational aspect, all of 11 University of Education open one or two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courses and the course usually only has one or two credits. The response also shows that the title of the course is mostly "the practical music" and approximately 35-40 students attend that course. Each university usually has only one full-time professor, but some of them has four full-time professors. The students are exposed to various kin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can use Gayagoem,. Gumungo, Janggu, Haegoem, Daegoem, Piri, and etc., in the course. Most of the university uses the 'special room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course' and some of them uses regular class room or concert hall for the course. Second of all, for the textbook curriculum, most of the professor answered that they use "integrated method of teaching" as a way of teaching. Also, the most famous types of teaching is "following examples after they are shown" followed by "practicing after the theory is explained." When the professors select theme songs for their classes, they consider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ost since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all the same around the country. Also, for the questions whether other activities, such as singing, instrumental music, composition, appreciation of music are taught, the professors responded that they usually teach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but rarely teach 'composition' and 'listening' in their courses. For the singing course, 'Korean folk song' is the most preferred subject followed by traditional children's song. For the instrument course, they usually teach Janggu for rhythm instrument and Danso for melody instrument. In some universities, they additionally teach Gayagoem or Percussions at the instrument course. Finally, for the professor's opinion, they viewed that "not sufficient time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course" is the most main problem to be solved right now. Based on the results shown above, the current status of a musical instrument or a classroom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eems fairly good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However, it would be impossible for the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who will be a teacher in the future, to deeply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by just taking one or two classes in the University. Furthermore, the students would have difficult time when they actually teach the children in a filed only after taking such primary level of classes. Therefore, the lack of time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course is the main problem and needed to be solved urgently. To do this,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should extend the number of instructers and increase the student's interest throughout more fun teaching methods such as private tutoring or special open classes, so the preliminary teachers become mo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xperience it in depth.;현재 7차 교육과정은 국악 교육을 강조하며 국악의 비중을 40%까지 늘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과정 속에서의 확대만큼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 직접 국악을 지도하는 ‘교사의 역할’일 것이다. 교사의 역량에 따라 국악교육의 질이 현저히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국악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즉, 국악을 충분히 접해보면서 국악만이 가지는 고유의 내적이해를 경험한 교사만이 바람직한 국악지도를 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양성기관인 전국 11개의 교육대학교에서 예비교사들이 국악실기과목을 어떻게 교육받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보다 바람직한 국악교육의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11개 교육대학교의 국악실기지도를 담당하는 지도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지법과 전화면접법을 실시하여 국악실기관련과목의 운영적인 측면, 교과내용적인 측면, 지도교수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에 응한 11개 교육대학교의 실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영적인 측면에 관한 조사 결과, 11개의 교육대학교에서 국악실기과목이 모두 개설되어 있었으며, 개설되는 과목의 수는 대체적으로 ‘1-2과목’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목의 명칭으로는 ‘음악실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국악실기과목의 학점으로는 대부분 1-2학점, 실기수업의 수강인원은 35-40명이 가장 높은 응답율을 보였다. 각 학교 음악교육과의 국악교수는 ‘1명’인 곳이 대부분이었고, 일부 학교의 경우, 4명의 전임교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국악실기 지도에 필요한 국악기의 구비현황을 조사한 결과, 가야금, 거문고, 장구, 해금, 대금, 피리 등의 악기가 골고루 배치되어 다양한 국악기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실기수업은 전문 ‘국악실’에서 수업하였으며, 일부 학교의 경우, 콘서트홀이나 일반강의실에서 수업한다는 응답도 있었다. 교과내용적인 측면에 관한 조사 결과, 활동영역 지도방식에 관한 응답으로는 ‘통합적으로 지도한다’가 응답율이 가장 높았고, 지도유형에 관한 응답으로는 ‘시범 후 따라하기’가 가장 높은 응답율을 보였으며, ‘이론적 설명 후 실습하기’가 두 번째로 높은 응답율을 보였다. 수업 시 제재곡을 선택할 때 고려사항으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모든 학교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과정이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활동영역(가창, 기악, 창작, 감상)이 수업되는가의 여부와 내용을 조사한 결과, 주로 ‘가창과 기악’ 위주로 수업된다는 경우가 많았고, 창작과 감상수업은 거의 지도되지 않았다. 가창의 경우는 ‘민요’를 지도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전래동요가 많았다. 기악의 경우, 리듬악기로는 장구를, 선율악기로는 단소를 지도하는 경우가 많았고, 일부 학교의 경우, 가야금이나 타악기를 보충적으로 지도하기도 하였다. 지도교수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절대적인 시간 부족’을 가장 시급한 문제점이라고 응답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볼 때, 현재 교육대학교에서 국악실기과목을 위한 국악기 구비나 강의실 등의 수업환경은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앞으로 국악지도를 담당할 예비교사가 학부과정에서 국악을 1-2강좌 접하는 것만으로 국악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하기는 불가능하다. 또, 이러한 사전 교육만으로는 현장에서 아이들에게 국악을 지도할 때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국악실기과목의 시간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선 교육대학교가 국악을 지도하는 교원의 수를 늘려야 한다. 이 외에도 지도자가 흥미로운 지도법을 통해 학습자에게 자발적인 학습을 도모하거나 과외지도, 특강 등을 실시함으로써, 예비교사가 국악에 대한 흥미를 갖고 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