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8 Download: 0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Art Clas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on Creative Expression:Mainly for the 5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현민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의 사람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면서, 단순한 모방과 답습은 이미 과거의 생활양식이 되었다. 이러한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능력, 창의성을 발휘하여 지식을 창출하고 활용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교육의 흐름도 시대가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성을 발휘 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다차원적인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학교 교육 역시 학생들에게 활동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이 이뤄질 수 있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이 마련되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더욱이 미술교과는 다른 교과에 비해 다차원적인 교육을 실시 할 수 있는 교육적 속성을 가지고 있기에 학생들에게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 창의적인 표현능력, 지식을 활용하고 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기존과 다른 교수-학습방법의 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미술과에서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과 소집단 협동학습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모형은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수업모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더 나아가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미술교과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의 폭을 넓히고, 초등미술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의 적용을 통해 창의적 표현력 향상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현행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 가능 단원연구와 초등학교 5학년의 발달단계를 고려해서 문제중심학습 모형에 절차에 따른 수업을 계획하였다. 제 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언급하고 있는 "능동적인 표현활동을 통해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측면"을 고려하고, 올해 초 조선일보와 문화관광부가 추진하고 있는 ‘문화로 아름답고 행복한 학교 만들기’ 사업을 기반으로 ‘우리학교 화장실 꾸미기‘ 수업을 계획하였다.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을 경기도 일산구에 소재한 Y초등학교 5학년 1학급 30명을 대상으로 2008년 9월부터 10월까지 5주간 총 8차시를 적용하였다. 통제집단은 수업은 같은 기간, 같은 초등학교 5학년 1학급 33명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수업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미술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에 앞서 연구 의도에 맞게 로웬펠드(1993), 김춘일(1999), 임선하(1993)가 제시하는 창의성 하위요소를 선정하였다. 평가 관점은 초등학교 5학년 미술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평가척도를 고안하였다. 고안한 평가 척도는 교육전문가 2인과 초등학교 교사 3인에게 검증을 받은 것을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 설문지를 실행하고, 검사지의 사전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후 사전 실기 창의적 표현력 검사와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미술수업을 실험집단에 적용하여 두 집단의 사전 ·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적 검사인 창의적 표현력 사전 · 사후 검사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v. 12.0 통계 Package Program에서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하였다. 실험집단의 사후 자기평가 및 수업평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연구에서 설명하지 못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사후 자기평가 및 수업평가의 서술문항을 분석하여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통한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의 변화과정을 살피고자 하였다.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본 미술수업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우리학교 화장실 꾸미기’ 미술수업은 초등학교 5학년 학습자들의 창의적 표현력을 향상시켰다. 사후검사를 통해 실험집단의 창의적 표현력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실험집단은 사전에 비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p<.01). 둘째, 학생들이 작성한 사후 자기평가 및 수업평가의 서술문항을 통한 질적 자료를 분석 해 본 결과, 문제중심학습 모형에 의한 우리학교 화장실 꾸미기 미술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태도와 분위기는 통제집단에 비해 적극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형태를 보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나 태도,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왔음을 입증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방법이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과 소집단 협동학습으로 서로의 표현을 종합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이 개발, 자신의 표현능력을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는 확산적 사고능력이 증진될 수 있기 때문에 아동의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큰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As the people of the modern society experience diverse and complicate changes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simple copying and following has already been the past way of living. Given the times, it is required for the ability to effectively cope with and the ability to create and use knowledge with creativity. Accordingly, the flow of education is now changing to the autonomous, open and multi-dimensional education to allow exertion of creativity as the times require. It is implied that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needs to be prepared so that the school education as well could allow students to have self-leading study ability with the active and initiative attitude. Furthermore, the art subject has an educational attribute that enables multi-dimensional education apart from other subjects and thu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other than the existed is required for students to be able to make use of and create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creative expression ability and knowledge.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of the art subject that is featured of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and small group cooperation learning can be the effective teaching model that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how the art teaching by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effects the creative expression of the 5^(th)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Furthermore, there is the implication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art subject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expand application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the art subject and enhance creative expression by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to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The conten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7^(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at is in current use was analyzed and then the lessons were planned by the steps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in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steps of the 5^(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chapter study applicable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Through the active expression activity highlighted in the 7^(th) course of study, expressing feeling and thought in a creative way is considered. Also, based on the project ‘build a beautiful and happy school with the culture’ that the Chosun Daily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gether are working on, the class ‘to decorate restroom of our school’ was planne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art subject by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was done 8 times for 5 weeks, September~October, 2008, to 30 students in a class of the 5^(th)grade of the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lsan-gu, Kyunggido. For the control group,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 was done to 33 students of a class of the 5^(th) grade of the same school for the same perio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oncerned art subject class on creative ex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elements suggested by Lowenfeld (1993), Choonil Kim (1999) and Seonha Im (1993) were selected as those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himself, taking a reference to the guidebook for art teachers of the 5^(th)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that were verified by two education professionals and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taken. The pre-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o see the identities of the two groups.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test by the questionnaire, the identities of the two groups were verified and then pre & post-tests for the two groups were done by applying the pre-test of practical creative expression test and the art lesson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the experiment group. In order to analyze the pre & post-test of creative expression that is a qualitative test,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were done after which independent sample t-test , paired t-test were done with SPSS v. 12.0 package program.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done to see how the experiment group evaluates themselves and the class afterwards. In addition, to complement the part that the qualitative study could not cover, the descriptive questions of post self-evaluation and class evaluation were analyzed so as to investigate change courses of learner’s creative expression by way of art class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The result of the art class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was as follows. Firstly, the art class ‘to decorate restroom of our school’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improved creative expression of the 5^(th)grade learners of elementary school. The creative expression of the experiment group showed from a post test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1)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increase rate than before. (p<.01). Secondly, as a result of a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s descriptive questions for the post self-evaluation and class evaluation, teacher’s checklist and observation records, it was proved that the experiment group having had the art class ‘to decorate restroom of our school’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gained the positive effect. As a conclusi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art subject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that the study suggested has the significant meaning in improving creative expression of children inasmuch as it could help to develop the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the ability to colligate and re-construct expressions of each other by a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extensive thinking ability to display self-expression ability in more varied w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