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원혜리-
dc.creator원혜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3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322-
dc.description.abstractIn our country, the focus of high school education is just placed on college admission to the extent that it is called foundation course. Every school and parent are forced to concentrate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students only without caring about their identity building or socio- psychological development. According to Erikson, a psychologist, the sociopsychological task that every high school sophomore should perform is identity building. During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students are able to have a sound self-concept and self-esteem by building their identity. In this study, art is viewed as one of the mandatory subjects for identity building. According to Lowenfeld and Brittain(1993), art activities make it possible to represent the inner world in an nonverbal way. Every candid and plain art work is meaningful, and students are able to draw a picture to express themselves, their experiences and agony about future without any restraints as there is no right ans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rt instruction geared toward stirring up the identity building, self-concept and self-esteem of high school sophomores. It's specifically meant to provide instruction on book art production by applying the PBL model, which focused on the identity building of high school sophomor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on their self-concept and self-esteem. Two hypotheses were formulated in this study: 1. An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s instruction on book art production by applying the PBL model might show a better improvement in self-concept than a control group that receives instruction on the same by applying a typical teaching method. 2. An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s instruction on book art production by applying the PBL model might show a better improvement in self-esteem than a control group that receives instruction on the same by applying a typical teaching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4 boys and girls who were in the first year at P high school located in Pyeongchon, Gyeonggi province.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152 students each. A book art production instruction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PBL model.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lf-concept was Lee Hoon- jin and Won Ho-taek(1995)'s Self-Concept Scale that was utilized in Kim Jeong-won(2007)'s study on the effects of a self-expression program on the self-concept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That instrument dealt with six subareas that included physical, moral, personality, home, social and competence self-concept. The other instrument used to evaluate self-esteem was Jeon Byeong-je(1974)'s adapted version of Rosenberg(1965)'s Self-Esteem Inventory. The above-mentioned two inventories were utilized to see i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equivalent. After the equivalence test was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s that involved four classes took lessons on book art production by applying the PBL model, and the four-class control group received instruction by employing a typical teaching method. A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same two instruments, and whether there were any gap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in self-concept and self-esteem was check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BL-based book art production instruction on self-concept and self-esteem. All the collected data on the equivalence test,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and t-test was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lessons on book art production by applying the PBL model showed a rise of 9.84 in self-concept,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a rise of .43. Thus, the experimental group made better progress in self-concept. Out of the six subareas, they improved in physical, moral, personality and competence self-concep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instruction on book art production by applying the PBL model showed an increase of 4.13 in self-esteem, whereas there was a drop of .52 in the control group. Thus, the experimental group made greater strides in that regard than the control group.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art instruction on book art production by the PBL model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elf- concept and self-esteem of the high school sophomores. Yet the findings might not be generalizable since just a small number of classes in a particular school were select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a variety of art instruction should be provided by applying the PBL model to facilitate the identity building of a large number of students.;우리나라에서 고등학교 교육은 대학예비교육이라고 할 만큼 대학입시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교와 학부모는 학생들의 인지적 발달에만 주력하게 되고 학생들의 정체감 획득이나 사회 심리적 발달에는 관심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심리학자 에릭슨(Erikson)에 따르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획득해야 하는 사회ㆍ심리적 과제는 정체감이다. 이 시기의 학생들은 발달과제인 정체감 획득함으로 건강한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미술교과가 학생들의 정체감을 획득하는 데 꼭 필요한 교과라고 보았다. 로웬펠드ㆍ브리테인(1993)에 따르면 미술표현은 비언어적인 내면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획일적인 답이 아닌 다양하고 진솔한 미술표현이 각각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학생들은 정답에 대한 압박감 없이 미술표현을 통해 현재의 자신의 모습과 경험, 또 미래에 대한 고민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정체감을 획득하여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이 고취되는데 도움이 주는 미술수업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의 정체감 획득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설계된 문제중심학습(PBL) 모형을 적용한 북아트 제작수업을 실시하여 이러한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북아트 제작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지도방법에 의한 북아트 제작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자기개념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문제중심모형을 적용한 북아트 제작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지도방법에 의한 북아트 제작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헌을 통하여 청소년기의 사회ㆍ심리적 발달, 미술교육과 자기개념 및 자아존중감, 문제중심학습과 청소년기 미술교육에서의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북아트 제작수업을 설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경기도 평촌에 위치한 P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남ㆍ녀 학생 304명으로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서 동질한 집단임이 검증된 실험집단 152명, 통제집단 152명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8차시 북아트 제작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자기개념 척도는 이훈진과 원호택(1995)이 개발한 자기개념척도(하위영역:신체, 도덕, 성격, 가정, 사회, 능력)를 김정원(2007)이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적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로젠버그(Rosenberg, 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넷째, 연구결과의 통계처리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 12.0을 사용하여 자료처리 하였으며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북아트 제작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자기개념 점수는 9.84점 상승하여 .43점 상승한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개념 향상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6개의 하위영역에서는 신체, 도덕, 성격, 능력 자기개념이 향상되었다. 가정, 사회 자기개념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북아트 제작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4.13점 상승하여 .52점 하락한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향상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북아트를 제작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특정학교와 소수학급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든 고등학교 1학년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앞으로 표집대상과 시수가 확장된 정체감획득을 위한 다양한 문제중심학습 모형의 미술수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내용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청소년기의 사회ㆍ심리적 발달 = 3 B. 미술교육과 자기개념 및 자아존중감 = 10 C.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과 청소년기 미술교육에서의 교육적 의의 = 13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 대상 및 절차 = 19 B. 연구도구 = 21 C. 자료처리 = 4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2 A. 연구결과 = 42 B. 논의 = 49 Ⅴ. 결론 = 51 참고문헌 = 53 부록 1. 자기개념척도 = 58 부록 2. 자아존중감척도 = 60 부록 3. 1차시 은유적 자화상 수업 학습지 = 61 부록 4. 4,5차시 북아트 예시작품 수업자료 = 63 부록 5. 6,7차시 북아트 바인딩 수업자료 = 64 부록 6. 자기평가지 및 동료 평가지 = 65 부록 7. 수업결과물-은유적 자화상 = 66 부록 8. 수업결과물-학습지 = 67 부록 9. 수업결과물-북아트 = 68 부록 10. 수업결과물-자기평가지 및 동료 평가지 = 69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755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1학년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 고취를 위한 미술교육사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rt Education Case for Enhancement of Self-Concept and Self-Esteem for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
dc.creator.othernameWon, Hae Lee-
dc.format.pageⅷ,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