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연-
dc.contributor.author배주영-
dc.creator배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1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187-
dc.description.abstractFrom late 20thcentury, we have kept growing aggressively interms of living standard as well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se changes also have lifted consumption standard. Asconsumers’value sand buying patterns change and become diverse, demands on Fashion are also changing in many ways. Fashion is the result of culture, which reflect sand is affected by changing time sand our society. A war is one of the most powerful factors that affect Fashion. Especially, the First World War and the Second World War introduced a new fashion trend, Military Look, and made it popular. Even after the wars, it has been shown consistently in Fashion trend and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themes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In 21st century, as “careerwomen” and “mildmen” are getting common and popular, Fashion trend is breaking the boundary of men’s and women’s wear. Men’s wear is becoming like women’s, where as women’s is becoming like men’s. In this sense, men’s wear emphasizes silhouette and sense -centered fashion. Contemporary brands with this concept are emerging as a new fashion trend. In Korean market, however, as it seems that men consumers are still conservative, this trend is developings lowly just centered on global contemporary brands targeting young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new developed design of a new high fashion men’s contemporary brand for 2010 S/S season, which can meet the demand of Korean consumers and vitalize Korean men’s contemporary fashion market in early stage, through analyzing military look, which became a steady trend, especially highlighting a trench coat, which used to be an English protective coat in the First World War. This study covers, first, the concept and the history of military look, which became a steady trend at this point, especially giving examples of fashion design applying trench coats from the First World War to current military look. Secondly, it deals with Sense Positioning and Brand Concept based on market research and data analysis to secure competitive power in Korean market. Thirdly, I set a product range plan and applied a trench coat to new developed design to construct brand differentiation. Lastly, I produced 9 sets which can be practically cross-coordinated with high sense of fashion. The results from the theoretical study are like below. First, I could look into the examples of more various and expanded military look through reviewing the changes of military look from early 20thcenturytillnow,especiallyappliedexamplesoftrenchcoatsintheFirstWorldWar. Secondly, market research on Korean men’s wear shows that the current fashion trend and consumers’ demand are going to Contemporary fashion. It seems that we need to design and develop more focusing on Brand Identity and Brand Differentiation. Thirdly, the position of NOIR based on Brand Concept and Sense positioning is in a hot trend zone in current men’s wear market, and it is also Niche Market among local and overseas brands. Lastly, trench coat inspired design of military look can increase high fashion brand value. The produc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show some conclusions like below. First, the design, which emphasizes functional aspect of apparel by analyzing military look and applies functional details of a trench coat to modern men’s fashion, can produce a new designed product and maximize the original men’s image from a trench coat. Secondly, the cross-coordinated products matches well with other 3 season’s products as well as perfectly matching within each season. This cross-season coordination can create more sophisticated and modern feel and make the products more useful in several ways. Thirdly, mono-tone of Black & White gives sophisticated and modern feel, and makes whole range of products, even some products with trench coat details, look unified and well-organized. Fourthly, waterproof and windbreak functional materials are used for blazers and jackets as they are key functions of a trench coat. In addition, stretch fabrics are used for bottoms to offer more comfortable fit. Through these functions, the products can be expressed as a mixture of fashion and technology. Lastly, the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to meet consumers’ needs based on market research, 2010 S/S trend analysis, and the organized product plan.;20세기 후반에 들어 고도성장을 거듭하면서 급속한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소비수준도 상승되어 왔다. 소비자의 가치관이 바뀌면서 소비형태도 다양해지고 개성화되면서 패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변화하고 있다. 패션은 한 시대의 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으며 사회 특성을 반영하는 문화의 산물로서.특히 종교나 이데올로기,새로운 문명의 이기는 대중들의 정서와 시대정신을 반영한다. 이러한 패션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전쟁은 급진적이고 획기적인 시대의 변화임에 동시에 패션을 변화시키는 가장 큰 요인 중에 하나이다. 특히 1.2차 세계대전은 군복의 이미지가 도입된 밀리터리 룩(Military Look)이라는 새로운 패션을 유행시킨 계기가 되었다. 이후 전쟁이 소멸된 뒤에도 꾸준하게 패션에 등장하면서 현대패션의 중요한 테마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또한, 21세기 들어 워킹우먼의 확대와 더불어 과거 권위적인 이미지의 남성보다 부드러운 감성의 남성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면서 패션의 흐름은 남성복의 여성복화, 여성복의 남성복화 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존의 남성복 브랜드는 점차 실루엣을 중시하고 패션성을 부각한 감성중심으로 옮겨오고 있으며 이러한 컨셉의 컨템포러리(Contemporary) 브랜드가 새로운 패션의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시장에서는 아직까지도 보수적인 남성 소비자군을 고려해 영(Young)층을 겨냥한 해외 컨템포러리 브랜드를 중심으로 조심스럽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스테디 트렌드(Steady Trend)로 자리잡은 밀리터리 룩을 분석하고, 이중에서도 제1차 세계대전 중 영국의 방우외투였던 트렌치코트를 집중조명하며, 국내 남성복 시장상황을 조사하여 2010년 S/S 시즌을 겨냥한 고감도의 남성 컨템포러리 신규브랜드 상품을 개발 제시함으로써 국내 소비자층의 감성 요구에 부응하고 초기단계인 국내 남성 컨템포러리 시장에 활력을 주고 발전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차별화된 남성복브랜드의 컨셉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는 스테디 트렌드로 자리잡은 밀리터리 룩의 개념과 변천에 대해 연구하며 특히 제 1차 세계대전중에 나타한 트렌치코트를 분석하여 이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사례를 연구하였다.둘째, 국내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장조사와 정보분석을 통해 감성포지셔닝과 브랜드 컨셉을 설정하였다. 셋째, 차별화된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 상품구성기획을 하고 트렌치코트를 응용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넷째, 고감도와 패션성은 유지하되 실용적으로 크로스코디네이션(Cross-Coordination)이 가능한 작품 9벌을 제작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리터리룩의 역사적 자료 조사를 통해 20세기초부터 현재까지 밀리터리룩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 중 특히 제 1차 세계대전중 탄생한 트렌치코트의 응용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더욱 다양해지고 확대된 밀리터리 룩의 사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국내 남성복 시장상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의 소비자의 요구와 유행의 흐름은 컨템포러리 군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고 브랜드 아이텐티티(Brand Identity)와 브랜드 차별화(Brand Differentitation)에 중점을 두어 제품을 기획하고 개발해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브랜드 컨셉과 감성포지셔닝 설정을 통해 신규브랜드의 위치를 설정하였으며, 현재 남성복 시장에서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군에 속하며 국내·외 브랜드분포중 틈새시장(Niche Market)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밀리터리 룩 중에서도 트렌치 코트의 이미지를 도입한 디자인의 제시는 해외컬렉션을 통해서 트렌디한 아이템으로 자주 사용되어 왔으며, 고감도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제작된 작품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밀리터리 룩을 분석하여 적용함으로써 의복에 있어서의 기능적인 측면을 부각시키고, 트렌치코트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현대 남성패션에 접목시킴으로써 다양하고 새로운 디자인창출이 가능하며, 남성적 이미지는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둘째, 크로스 코디가 가능한 상품개발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동일시즌 내에서의 완벽한 코디네이션뿐만 아니라, 다른 시즌과의 크로스코디도 세련된 느낌의 감각적인 이미지연출 구현이 가능하였다. 셋째, 모던하면서 세련된 느낌을 주는 블랙 앤 화이트(Black & White)의 모노톤은 소비자의 선호율이 높은 색채로서 장식적 이미지로 치우칠수 있는 트렌치코트 디테일을 과장되지 않게 정리해주며 통일된 느낌으로 표현될수 있었다. 넷째, 트렌치코트의 기능성을 살리고자 하는 의미에서 상의류 쟈켓과 점퍼 아이템은 방수․방풍의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고 활동성을 높여주기 위해 하의류는 스트레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패션성과 기능성을 접목시킨 실용적인 제품으로 표현될 수 있었다. 다섯째, 객관적 관점에서의 시장분석과 2010 S/S 트렌드 반영을 기반으로 체계화된 제품개발 기획을 통해 합리적으로 소비자 요구에 대응하는 제품을 개발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4 2.1. 트렌치코트(Trench Coat)에 관한 고찰 = 4 2.1.1. 트렌치코트의 정의 및 기원 = 4 2.1.2. 트렌치코트의 특징 및 전개양상 = 7 2.1.3. 트렌치코트 이미지의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분석 = 14 2.2. 밀리터리 룩(Military Look)에 관한 고찰 = 26 2.2.1. 밀리터리 룩의 개념과 성립배경 = 26 2.2.2. 밀리터리 룩의 전개양상 = 27 2.2.3. 현대 패션에 나타난 밀리터리 룩의 특징 = 36 3. 상품기획 및 개발 = 43 3.1. 브랜드 컨셉 및 포지셔닝(Positioning) 설정 = 43 3.2. 정보조사 및 분석 = 54 3.3. 디자인 개발 계획 = 66 4. 작품제작 및 해설 = 74 4.1. 제작의도 및 방법 = 74 4.2. 작품 및 해설 = 77 5. 결론 및 제언 = 145 참고문헌 = 148 ABSTRACT = 1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940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트렌치코트 이미지의 밀리터리룩 남성복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신규 브랜드 상품개발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Military Look Men's wear Design using Image of Trench Coat-
dc.creator.othernameBae, Joo Young-
dc.format.pagexiii, 1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