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성희-
dc.contributor.author박은경-
dc.creator박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49-
dc.description.abstractEc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overcoming today's ecological cri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about how practical knowledge is formed in the ec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what is the detailed content, and how it affects development and execution processes. Also, a meaning of the ec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was sought through students response after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The study object was 7 teachers belonging to a teachers' group of Han river estuary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4, 5 and 6th grade in a study room after school, and the study period was from May 200 7 to November 2008, that is, for 2 years, and the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was executed 8 times totally. The study method was to analyze activities of students and teachers by video-recording class progress activity every time, and to analyze the meeting before and after teachers' evaluation and the questionnaire of students so that qualitative study was executed. The result and conclusion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known that the practical knowledge of a teacher in the ec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was formed on the base of the belief formed through experience of personal life, reflective thought during teaching and interaction and cooperation in the teachers' community. Accordingly, a teacher as an executing subject of the ec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needs the practical knowledge, and this should be accumulated through a process that practices his/herself class activity and reflect it, and practices it again. Second, the practical knowledge of a teacher affected direction setting of the detailed ec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teaching content and an interaction method. For the direction setting of the program, it was based on ecological education view that respects life diversity, circulation property, symbiosis property and relation property. For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teaching content, an activity location that can raise interest and affection about near environment is considered, continuous operation is maintained co as to feel and understand a process of long-term change and circulation, and the value of life respect and ecosystem protection was emphasized in a teaching process. And, a teacher and a learner is not one-sided relations, but it was made that active interchange between them is carried out in the interaction method. Third, if an educational meaning is sought through student change after execution of the ec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the ecological experience learning gives true experience and impression to the learners, makes the learners look back upon his/herself life and makes them understand it with an organic point of view. Also, positive attitude about environment was formed by experiencing harmony and order feeling living together with diverse creatures, so it makes attitude protecting the ecosystem formed. Since the present study is a single case research on the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of an organization, and a study performing it for various organizations would be necessary to understand practical knowledge influence of more diverse and common teachers.;오늘날의 생태적 위기를 만들어낸 근대적 교육 패러다임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인간과 자연의 상생관계를 회복하고 생태윤리의 실천을 강조하는 생태주의 교육의 논의가 활발하다. 이에 대한 교육의 방법으로서 직접적으로 자연을 접하며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고 생태계 구성요소의 개별적 특성과 구조 및 상호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는 생태체험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이며 그것이 생태체험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질적으로 탐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생태 체험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 반응을 통해 생태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강하구교사모임에 소속되어 있는 교사 7명과 K지역의 방과후 공부방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이고, 연구기간은 2007년 5월부터 2008년 11월까지로 총 8회 생태체험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생태체험수업진행활동을 매 회 녹화하고, 사전 사후 교사평가회의 및 학생설문지를 분석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 체험 교육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개인적인 삶의 경험에서 체득한 가치, 교수 실천 중의 반성적 사고에 근거한 전문성 개발, 교사 공동체에서의 상호작용과 협력을 통해 형성된 신념과 생태적 전문적 지식이 근거가 되어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는 생태체험교육에 대한 인지적 이해를 넘어서는 실천적 이해가 필요하며, 그것은 자신의 수업활동을 실천하며 반성하고, 다시 실천에 옮기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자아에 대한 지식으로 참여 교사들은 생태적 가치를 알리는 교육 활동이 결국 생태계 보호로 이어 질 수 있다는 실천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은 인간과 자연의 상생관계를 신념으로 가지고 있었다. 생태적 지식과 생물들 간의 상호 연관성, 지리와 지역 문제, 인간과 자연의 상생관계에 대한 내용이었다.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으로 학년별 교육과정과 연계하고, 통합하며 수준별로 제시할 수 있게 하는 지식을 갖고 있었고,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으로 상황 적합성을 고려하여 융통성과 순발력을 발휘하고,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경험하는 환경을 제시하고 모둠 교사들 간에 개별성과 유사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었다. 둘째,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구체적인 생태 체험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교수 내용 선정 및 조직,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에서 다양성, 순환성, 공생성, 관계성을 존중하는 생태적 교육관에 바탕을 두었다. 교수 내용 선정 및 조직에 있어서 주변 환경과 생물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지역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키울 수 있도록 활동장소를 정하고, 장기적인 변화와 순환의 과정을 느끼고 이해하기 위해 지속적인 운영을 하였다. 그리고 상호작용하는 방식에서 상생의 원리가 교수활동 과정에서도 나타나 자연을 탐구하는 행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학습자는 일방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간에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다. 셋째, 프로그램 실행 후 학생의 변화를 분석하여 교사가 실천적 지식을 가지고 생태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얻을 수 있는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면 학습자에게 참된 경험과 감동을 주며, 자연 안에서 학습자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하고, 유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생명체와 더불어 사는 조화와 질서감을 경험하여 주변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생태계를 보호하려는 태도를 형성하게 해준다. 진정한 생태체험교육은 단지 교훈적이거나 생태적 감수성을 갖게 하는 것이 아니라 체험을 통한 참여의 방식으로 이어져야 한다. 지역의 상황이나 사안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고려하여 유연하고 점진적이면서도 근본적인 변화를 유도해내는 교육적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한 단체의 생태체험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좀 더 다양하고 공통적인 교사의 실천지식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 단체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생태 체험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태친화적인 인간을 기르는 것이므로 교사의 생태적 실천지식에 따른 교수 행동과 학습자의 성취를 연결하는 심도 있는 연구가 행하여지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교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실천적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생태적 신념을 형성하고 실천하기 위한 생태 체험 지도교사 협력체계를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진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연구 내용 = 3 C.연구의 제한점 = 4 Ⅱ.이론적 배경 = 5 A. 생태주의 교육 = 5 1.생태적 교육관 = 5 2. 생태 교육학의 구성요소 = 8 3. 생태 체험 교육 = 9 B. 실천적 지식 = 14 1. 교사 실천적 지식의 정의 = 15 2. 교사 실천적 지식의 내용 = 17 3. 실천 공동체 = 19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 방법과 절차 = 21 B. 연구 대상 = 23 1. 교사 = 23 2. 학생 = 24 3. 한강하구 생태 체험 프로그램 = 25 C. 자료 수집과 분석 = 27 1. 자료수집 = 27 2. 자료 분석 = 2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1 A. 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 = 31 1. 실천적 지식 형성의 원천 = 31 2. 교사 실천적 지식의 구성요소 = 37 B.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생태체험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 44 1.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에 미치는 영향 = 45 2. 교수내용 선정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 = 47 3.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미치는 영향 = 61 C. 생태체험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 = 65 1. 참 경험과 감동을 준다 = 66 2. 자연 안에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 = 67 3. 유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이해하도록 한다 = 69 4. 생태윤리 의식을 심어준다 = 70 Ⅵ. 결론 및 제언 = 73 참고문헌 = 75 부록 = 79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48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생태체험교육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case study on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in ec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dc.creator.othernamePark, Eun Kyoung-
dc.format.pageⅶ,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