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연하-
dc.contributor.author김재희-
dc.creator김재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4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404-
dc.description.abstractToday people feel a great interest in health, which implies that news about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coverage can have impacts on many peopl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ubject, however, produced few result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articles about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and frame analysis. Thu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news frames of articles about medicine, investigate what kind of impacts they would have on the readers, and help to promote the quality enhancement of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coverage and the expansion of researches on health communication.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articles about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overage in terms of forms and contents and the features of delivery methods. I also investigated the form and content frames applicable to newspaper articles about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Differences in news frames between when there was a medical issue to affect the readers and when there was none were exam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rames from the period when there were articles about drugs containing asbestos talc and the period when there were no issue. As for the content characteristics, I divided newspaper articles into straight, planning/theme, commentary, interview-based, and others and examined the form characteristics. The "straight" articles accounted for the biggest percentage. In newspaper articles about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that's a highly specialized field, it's necessary to cut down straight coverage, whose goal is to report mere phenomena, and increase planning/theme coverage and commentaries for the sake of the readers whose access to related information is limited. As for form frames, event-oriented frames accounted for more than a half and were followed by subject-oriented ones and event/subject-oriented ones. But they should increase the percentage of event/subject-oriented and subject-oriented frames rather than event-oriented ones in order to make articles understandable to the readers who have no knowledge of specialized medicine information. As for content frames, "frames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frames of conflicting contents"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The former dealt with contents that the public found difficult to access and many people were in absolute need of. While they were definitely useful to the readers, they should offer detailed explanations to the readers with shortage of related background knowledge. I divided conflict frames into those of accusations and criticism and those of conflicts between the interested parties. The former are the frames to report, criticize, and assess issues about medicine and are essential in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coverage. It's important to discard dependence on one position or one-sided materials, to listen to many different interested parties, and understand each of their positions and opinions to prevent any confusion on the part of the readers. And the frames of conflicts between the interested parties should provide explanations about facts and future measures rather than listing the positions of extreme interest groups. Estimating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news frames between when there was a controversial issue and when there was non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frames from the "asbestos" issue period and those from the other period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 frames" bu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m frames." By studying frames of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reports, which are one of the areas of health communication that's not been dealt with in the nation much, I tri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health communication and frame research. I also analyzed the frames of medical news reports and discussed how to improve them in order to help the users of mass media accept med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ight. In future, they need to make constant efforts to change the news frames in the dimension of forms and contents when reporting medical news. It's also required to improve newspaper articles about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by adding more in-depth explanations, prospects and countermeasures by experts of diverse fields.;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 시점에서 의약 관련 뉴스보도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장되거나 부정확한 보도나 특정 이해집단의 입장에 편중 된 뉴스보도를 통해 환자가 약물을 선택하는 기준이 생기게 되면 약물의 오․남용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한 부작용은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의 결과를 보면, 의약 관련 신문보도의 특징 및 프레임 분석에 대한 연구 결과가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약 관련 기사의 주요 뉴스프레임 분석을 통해 의약관련 보도가 수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의약관련 보도의 질적 개선을 촉진하고, 동시에 전체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영역을 넓히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약 관련 신문보도의 특성을 알기 위해 보도의 형식적 특성과 내용적 특성, 그리고 전달 방식의 특성을 조사하였고 의약 관련 신문보도에서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형식적 프레임과 내용상의 프레임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는 특별히 수용자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의약 관련 이슈가 존재하였던 시기와 존재하지 않았던 시기 간의 뉴스 프레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최근 이슈가 되었던 석면 탈크가 함유된 의약품과 관련된 기사가 있었던 시기와 이슈가 존재하지 않았던 시기 간의 프레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신문보도의 내용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신문보도의 유형을 스트레이트, 기획/테마, 해설기사, 인터뷰 중심, 기타 등으로 분류하여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스트레이트’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국민의 건강을 다루는 의약관련 보도의 경우, 비교적 준비 기간이 길고 전문적인 내용을 알기 쉽게 충분한 설명을 통해 기사를 작성하는 기획/테마 보도나 해설 기사가 바람직한 보도유형이라고 본다. 따라서 고도의 전문성을 띈 분야인 의약 관련 신문보도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거나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수용자들을 위해서라도 단순히 현상 보도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스트레이트 보도의 비율을 줄이고 기획/테마 보도나 해설기사를 좀 더 늘릴 필요가 있다. 형식적프레임에서는‘사건중심적프레임이과반수이상이었으며, 주제중심적프레임이, 사건/주제중심적프레임이그다음순이었다. 그러나전문적인의학정보에대한지식이 없는 수용자들이 이해할 수있는기사를 보도하기 위해서는사건중심적프레임보다는 사 건/주제 중심적 프레임이나 주제중심적 프레임의 비율을 증대해야 할 것이다. 내용적 프레임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보 제공 프레임’과 ‘갈등적 내용 프레임’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보 제공 프레임은 일반대중들이 접근하기 어려우면서도 실제로 많은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지식이 되는 내용을 다루어 수용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보도라고 볼 수 있으나, 관련 배경 지식이 부족한 수용자들에게 알기 쉬운 용어로 상세한 설명이 요구된다. 또한 제약업계의 동향을 보여주는 기사가 아닌 홍보의 목적 이 드러난 기사를 보도하는 것은 신문보도의 사실성과 객관성을 믿고 기사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자하는 매스미디어 수용자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물론 전문의약품인 경우에는 광고를 통해 의약품 광고를 할 수 없어 홍보에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으나 이러한 약물의 경우, 의약관련 전문지나 의료정보인터넷사이트를 통해 광고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제품이나 제약회사를 홍보하는 프레임의 보도는 지양되 어야 할 것이다. 한편 갈등 프레임은 고발·비판 프레임과 이해당사자 간 갈등 프레임으로 재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고발·비판 프레임은 고발성 기사 및 논란이 되거나 이슈가 되는 의약 관련 사건을 중심으로 비판하거나 평가하는 프레임으로서, 의약 관련 보도에서 필요한 프레임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에서는 어느 한 곳의 입장이나 입수 자료에 의존한 보도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설명을 들어보고 그들의 입장이나 견해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보도하여 수용자들을 혼란스럽게 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해당사자 간 갈등 프레임을 다루는 보도의 경우, 지나치게 극단적인 이익집단의 입장을 열거하기보다는 사실에 대한 설명과 향후 대책방안에 대한 설명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한편, 특별히 논란이 되는 이슈가 있었던 시기와 그렇지 않은 시기 간에는 뉴스프레임 의 차이가 있을 것임을 예상하여 ‘석면’ 이슈가 있었던 시기에 대해서는 전체 분석 기간 중 이슈가 존재하였던 기간으로 재분류하여 이슈 기간을 제외한 기간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슈 발생 시기에 대한 분석 결과, ‘내용적 프레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형식적 프레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 많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한 영역인 의약관련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 헬스 커뮤니케이션과 프레임 연구의 영역을 넓히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의약 관련 뉴스가 어떠한 프레임으로 보도가 되는 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매스미디어 수용자들이 의약관련 지식과 정보를 제대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현재 의약관련 뉴스 프레임을 어떻게 개선하면 좋을 것인가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향후 의약 관련 뉴스보도에서는 형식적, 내용적 차원의 보도의 틀을 바꾸려는 지속적 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관련 전문가들의 심층적인 해설과 전망 및 대 응 방안의 내용을 증대하는 등의 의약 관련 신문보도의 양적, 질적 향상이 요구되는 바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문헌연구 = 4 A. 헬스 커뮤니케이션 (Health Communication) = 4 1.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개념적 논의 = 4 2.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영역 = 6 B. 헬스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경향 = 7 1. 커뮤니케이션학에서의 선행 연구 = 8 2. 의료학에서의 선행 연구 = 10 C. 뉴스보도의 프레임 연구 = 14 Ⅲ. 연구방법 = 19 A. 분석대상 = 19 B. 분석틀 = 20 C. 분석 방법 = 24 Ⅳ. 연구결과 = 25 A. 의약관련 신문보도의 내용 분석 = 25 1. 형태적 특성 = 25 2. 내용적 특성 = 27 3. 전달방식의 특성 = 32 B. 의약관련 신문보도의 프레임 분석 = 35 1. 형식적 프레임 = 35 2. 내용적 프레임 = 36 (1) 정보 제공 프레임 = 36 ㈎ 전문정보 제공 프레임 = 36 ㈏ 경제 효과 프레임 = 38 (2) 갈등적 내용 프레임 = 39 ㈎ 고발·비판 프레임 = 39 ㈏ 이해당사자 간 갈등 프레임 = 40 (3) 휴먼인터레스트 프레임 = 41 3. 특정 이슈 발생 시기의 사례 연구 = 42 Ⅴ. 결론 및 제언 = 48 A. 요약 및 논의 = 48 B.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53 참고문헌 = 55 부록 1. 코딩지 = 62 부록 2. 신문보도 목록 = 70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57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의약 관련 신문보도의 프레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Kim, Jae Hee-
dc.format.pageⅷ,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언론홍보학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언론홍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