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백해정-
dc.creator백해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8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2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2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듣기&#8228;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리 내어 읽어주기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아동의 듣기&#8228;말하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듣기&#8228;말하기 능력을 살펴보고 소리 내어 읽어주기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아동의 듣기&#8228;말하기 능력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검사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검증을 하였다. 일반적인 소리 내어 읽어주기 활동에서 교사는 화자의 역할을, 아동은 청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본 프로그램에서는 교사와 아동이 상호 관계를 맺으며 화자와 청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듣기&#8228;말하기 교수-학습 모형 중, 듣기와 말하기 모두 균형 있게 비중 두어 소리 내어 읽어주기 활동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상호 관계적 듣기&#8228;말하기 교수-학습 모형을 소리 내어 읽어주기 모형과 접목 시켰다. 본 연구에서 말하는 아동의 듣기&#8228;말하기 능력은 각각의 하위 요소로 그 범위를 한정하여 듣기&#8228;말하기의 여러 하위 요소 중, 교육될 수 있고 교육될 가치가 있는 부분을 지도 내용과 평가 요소로 설정하고 본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듣기 능력의 하위 요소로는 식별적 듣기, 분석적 듣기, 감상적 듣기를 선정하였고, 말하기 능력의 하위 요소로는 발음, 내용 생성, 내용 분석, 내용 표현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교사와 아동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듣기&#8228;말하기 능력과 교수-학습 활동, 교사의 책 읽어주기 활동 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3학년 아동 33명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I초등학교 3학년 1개 학급, 아동 33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총 18차시에 걸쳐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8228;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실험결과 아동의 듣기&#8228;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소리 내어 읽어주기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듣기&#8228;말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듣기 능력에서는 하위 요소인 식별적 듣기, 분석적 듣기, 감상적 듣기 모두 연구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분석적 듣기에서 가장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말하기 능력에서는 발음을 제외한 내용 생성, 내용 조직, 내용 표현이 연구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내용 표현에서 가장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기존 소리 내어 읽어주기 활동에 대한 선행 연구는 언어 이해력 즉, 듣기와 읽기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듣기&#8228;말하기의 상호 작용을 통해 언어 이해력뿐만 아니라 언어 표현력의 하위 요소인 말하기와도 관련이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에 소리 내어 읽어주기가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 모형을 통해 별도의 시간을 내지 않고, 국어 교과 수업 시간이나 타 교과 시간에도 활용해 볼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의 틀을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이는 아침 활동 시간, 재량 활동 시간, 특별 활동 시간 등 탄력적이고 자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시간에 학년 간 연계활동을 실시하여 깊이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시기가 비교적 짧은 8주, 18차시였고, 초등학교 중학년, 3학년 아동 3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 있어 한계가 있다. 좀 더 장기적인 연구와 연구 대상의 폭을 넓힌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the reading aloud approach program for improving children′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The meanings of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were defined as their subcategories in this research. There are Literal listening, analytic listening and appreciational listening in Listening ability. And Speaking ability is consisted of pronunciation, contents formation, contents organization and contents expression. This program was based on the interactional teaching-learning model of listening and speaking. Process and strategy of reading aloud approach was referred to this, also.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teachers and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demands about advancement of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 listening & speaking teaching-learning method and process of reading aloud approach. And a following step was analytical study of the contemporary public education curriculum. As a result, the primary purpose of program and the established the supplementary goals were suggested. This program was applied to 33 children, 3rd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loud approach was provid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oncrete, this program was applied to 1 classes of 3rd graders in I elementary school, Go-yang city, Gyeonggi province. Reading Aloud approach was provid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rom the 6th of March, 2009 to the 5th of May(8weeks) over, 18 periods. To verify the achievement of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was executed and the data from this was treated on SPSS/WIN 15.0 with T-test. As it was shown in the results, Reading Aloud Approach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of elementary middle students(especially 3rd elementary students). In listening ability, the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significant difference(p< .01). Literal listening, analytic listening and appreciational listening ware subcategories of listening ability. Among them,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nalytic listening. In speaking ability, the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significant difference(p< .01). Pronunciation, contents formation, contents organization and contents expression ware subcategories of speaking ability. Among them,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ontents expression. In the preliminary and afterward estim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reading aloud approach, the results showed quite meaningful dif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is program improved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after the treatment. It means that the program was primarily effective for development of children′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However, there are some limits to this research. This was fulfilled for 8 weeks, 18 periods. It needs longitudinal study. And it was not to apply the result to older students. So, following research is more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듣기ㆍ말하기 능력 = 4 B. 소리 내어 읽어주기 = 15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연구 설계 = 27 C. 연구 절차 = 28 D. 연구 도구 = 31 E. 자료 분석 = 47 Ⅳ. 프로그램의 실제 및 결과 = 48 A. 프로그램의 실제 = 48 B. 프로그램의 결과 = 62 Ⅴ. 결론 및 제언 = 69 A. 결론 = 69 B. 제언 = 72 참고문헌 = 73 부록목차 = 78 ABSTRACT =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462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아동의 듣기·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소리 내어 읽어주기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the Reading Aloud Approach Program for the Children′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dc.creator.othernameBaek, Hae Jung-
dc.format.pageⅸ, 1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