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유아와 정서지능관련 기록 작업의 공유가 정서지능과 교사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아와 정서지능관련 기록 작업의 공유가 정서지능과 교사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Child and Sharing of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Recording Work that Affec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itude of Teacher
Authors
오수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sharing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records with a child could influence a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hange of the attitude of a teacher. 1. How does sharing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records with a child impact on a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2. How does sharing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records with a child impact on a change of the teacher's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ork are 11 five-year-old children(10 boys and 1 girl) of doragiggot class of D kindergarten and a teacher who is a investigator of this study. This research was done from March 3rd to May 19th, 2009, and for this period, conduct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pre and post inspection, sharing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records, and teacher's writing of a reflective journal were put into practice. As for the research tools, emotional intelligence inspection, record works, activities of sharing with a child, and teacher's reflective journal were used.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spection tool, Mayer and Salovey(1997)'s emotional intelligence 4 fields and 「emotional intelligence evaluation tool for a child by teacher's composer」developed by younja lee, jongsook lee, and eunsu shin(2000) were used, on the basis of 16 elements of the subordinate level of each field. To select children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I conducted a series of emotional intelligence measurement inspection and selected 11 children out of it. For the standard of it, first, 8 children who are under the average score in the class, secondly, 1 child who is having a big variation of each field, and his subordinate level's score does not reach the average score of each field, thirdly, two children whose emotional intelligence measurement score belongs in the high level and are relatively having a vigorous conversation with their friends. Investigator recorded the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scenes through a picture, video, and recorder to capture the situations which are related to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from their attendance at the kindergarten to their returning home time; and I analyzed the relation with the emotional intelligence by looking back at the records. Also, I utilized the checklist for the children of the object of this study to form a relatively equal participated rate.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record works were utilized for the material for sharing with children who are the objects of this study. Separated spaces away from the classroom were used for sharing activities to be done at the better atmosphere of calm and restfulness and to exclude any obstructive components in the process of the children's conversation. The time required was about 20 to 25 minutes, and it was practiced 25 times in total. While the time investigator was going on process of sharing activities with the children, a fellow teacher had a time for the free choice activity with the rest of the children. For the first research problem, I compared the transitions of change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measurement scores by carrying out the pre and post inspection, and for the second research problem, I scoped on the journal describing the feeling for shar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record works and the change of thoughts.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har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record works with the childre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For the reason of it, the activity of sharing made children get to recognize the problem situation regarding children's facial expression and appearance, communication process, behavior, and so on. And they got to compare each other's perspective through a vigorous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peers; the recognition about each other's opinion and the process of solving the conflict situations are seen as a basic leading figu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o that, the record works having their story made them to be interested in each other more, and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by promoting the motivation about desirable behaviors. Secondly, shar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record works with childre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hange of investigator's attitude. By looking at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activity, investigator's recognition regarding sharing has been changed. I, as a investigator, experienced a change of perspective that social individualism, which individual's experience becomes just a collective experience, can be studied, and I also got to see a participating child more competent. Also, investigator's reflective thinking and teaching-instruction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have been improved through the record works and sharing activities.;본 연구는 정서지능 관련 기록 작업을 유아와 공유하는 것이 유아의 정서지능발달과 교사의 태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정서지능과 관련된 기록 작업을 유아와 공유하는 것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정서지능과 관련된 기록 작업을 유아와 공유하는 것이 교사의 태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분당구에 위치하고 있는 D유치원의 도라지꽃반에 재학 중인 만 5세 유아 11명(남아 10명, 여아 1명)과 연구자인 담임교사 1명이다. 연구기간은 2009년 3월 3일부터 5월 19일까지로 이 기간 동안 정서지능 사전, 사후 검사 실시, 정서지능 관련 기록 작업을 공유하기, 교사의 반성적 저널 쓰기를 실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정서지능검사, 기록 작업 및 유아와의 공유하기 활동, 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사용하였다. 정서지능 검사 도구로는 Mayer와 Salovey(1997)의 정서지능의 4영역과 각 영역의 하위 수준의 16개 요소에 기초하여 이영자ㆍ이종숙ㆍ신은수(2000)가 개발한 「교사 평정에 의한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 유아를 선별하기 위하여 반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정서지능 측정검사를 실시하였고 11명의 유아를 선별하였다, 그 기준으로는 첫째, 반 전체 유아들의 총 점수에 대한 평균보다 하위 점수에 분포된 유아 8명, 둘째, 영역 간 편차가 크고, 하위 영역의 점수가 영역별 평균 점수에 미치지 못하는 유아 1명, 셋째, 정서지능 측정 점수가 반에서 상위수준에 속하고, 비교적 유아들과 활발한 의사소통을 이루는 유아 2명으로 총 11명의 유아이다. 연구자는 유아들의 정서지능과 관련된 상황을 포착하기 위하여 등원부터 귀가 시 까지 정서지능과 관련된 장면을 사진, 동영상, 녹음기를 이용하여 기록하였고, 이를 통해 정서지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의 유아가 기록 작업의 내용에 비교적 균등한 참여율을 이룰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였다. 정서지능과 관련된 기록 작업은 연구대상 유아들과 함께 공유하기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자가 연구대상 유아들과 함께 공유하기 활동을 진행하는 동안 다른 한명의 동료교사는 나머지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을 관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공유하기 활동은 교실과 원거리에 있는 분리된 공간에서 실시하였다. 소요 시간은 약 20분~25분이었으며 총 25회 실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를 위해 정서지능 측정 점수를 사전, 사후로 나누어 검사하여 그 변화 추이를 비교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를 위해 정서지능과 관련된 기록 작업 공유에 대한 생각과 그 변화를 저널로 기술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과 관련된 기록 작업을 유아와 공유하는 것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 이유는 공유하기 활동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표정과 모습, 의사소통과정, 행동 등에 대한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또래 간 활발한 의사소통 과정으로 서로의 관점을 비교하게 되면서 타인의 의견에 대한 인정과, 갈등상황을 해결하는 과정이 정서지능 발달의 기본주축을 이루기 때문이다. 또한 자신들의 이야기가 담긴 기록 작업이 서로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갖게 하고,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동기화를 촉진시키게 되어 정서지능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둘째, 정서지능과 관련된 기록 작업을 유아와 공유하는 것은 연구자의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자는 공유하기 활동을 통해 공유하기에 대한 인식이 다음과 같이 변화되었다. 개인의 경험이 곧 집단의 경험이 되는 사회적 개인주의로의 학습 가능성과, 토론에 대한 유아들의 자발적 참여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연구자는 기록 작업과 공유하기 활동을 통해 반성적 사고가 증진되었고 이로 인하여 정서지능 발달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 개선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