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전자미디어 및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태

Title
전자미디어 및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태
Other Titles
A Research on Investigate Teacher’s Understating and Operating Status of Electronic Media and Electronic Media Education
Authors
주효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understating and operating status of electronic media and electronic media education, and find the way to promote electronic media education in a proper way. This study targeted the teacher of kindergarten, child care center. For this purpose, following questions were developed 1. What is teachers’ understanding for electronic media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1-1. What is teachers’ overall understanding for electronic media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1-2. Background variables can affect teachers’ understanding for electronic media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2. What is operating status of electronic media education? 2-1. What is overall operating status of electronic media education? 2-2. Background variables can affect operating status of electronic media education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349 teachers working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 in Seoul. Research tool wa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9 questions based on young children’s’ electronic media education related literature and study to investigate operating status of young children electronic media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it. This questionnaire were delivered and collected after feasibility test by young children education professional. Frequency, percentage or average, standard deviations were obtained by SPSS program for analyzing data. X2-test, T-test or F test were conducted for background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eachers’understanding of electronic media and electronicmedia education was that TV could affect the young childrenas an electronic media and they generally understood that electronic media had positive effect on them. They were highly interested in electronic media education, especially for teachers’in the kindergarten or electronic media experienced teachers. The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the need of electronic media education; they insisted that electronic media education should begin from 4 year old children. The goal of the education was that they could choose electronic media, establish of proactive attitude, and be available of using the right function of media and protect them from the reverse function of media.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this education should be executed through conversation, but there were not the differences of background variables. Second, the result of the operating status of young children electronic media education was that most of the teachers misunderstood the electronic media education as a using information education through electronic media. Specially, the teachers not experienced of electronic media education misunderstood the concept of electronic media education. The teachers using electronic media education were fewer than the teacher using electronic media education. In addition, the teachers of childcare center or the teachers not experienced of electronic media education turned out not to execute electronic media education. As to operatingstatus of electronic media education for the teachers executing electronic media education, education program planner was the teachers themselves, education material for education program planning was Kindergarten Activity Guidance Material. Education methods of electronic media education were used for related subject matter. It included information use, function, role and instruction through electronic media. This electronic media education took place in conversation time among the daily routines but due to the lack of teaching plan material, resources, opportunity of training and teachers’ understating and skills, they could not execute the electronic media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appeared to be proactive for electronic media education training and mutually agreed with enough supplement of related material to promote electronic media, especially the teachers in kindergarten thought that in-service training need to be required, the principals and teachers thought that commitment and efforts need to be required.;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전자미디어 및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의 실태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전자미디어 교육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 로서의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유아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2. 유아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 전자미디어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2-1. 유아 전자미디어 교육의 전반적인 실태는 어떠한가? 2-2. 유아 전자미디어 교육의 실태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49명이었다. 연구도구로 교육 현장에서의 유아 전자미디어 교육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유아 전자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문헌 및 관련 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는 총 1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질문지를 배부·회수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 또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 또는 t검증,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미디어 및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해본 결과, 교사들은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전자미디어가 TV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자미디어가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유치원 교사일수록, 전자미디어 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전자미디어 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교사들은 전자미디어 교육의 필요성 또한 높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만4세부터 전자미디어 교육을 시작해야 하며, 교육 목표로는 전자미디어를 선택하고 능동적으로 이끌 수 있는 태도 형성, 미디어의 순기능을 적극 활용하는 능력 신장, 전자미디어의 역기능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는 것 등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러한 교육은 주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각 내용에 따른 변인별 차이는 없었다. 둘째, 유아 전자미디어 교육의 실태를 분석해본 결과, 전자미디어 교육의 개념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전자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활용하도록 하는 교육’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자미디어 교육 경험이 없는 교사일수록 전자미디어 교육의 개념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 유아를 위한 전자미디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는 실시하지 않고 있는 교사보다 적었으며, 어린이집 교사일수록, 전자미디어 교육 경험이 없는 교사일수록 전자미디어 교육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미디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전자미디어 교육 과정 운영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교육 계획자는 교사, 교육 계획 시 활용 자료는 「유치원 활동 지도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자미디어 교육 방법은 주로 관련 주제를 전개할 때 실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전자미디어를 통한 정보활용 및 기능·역할·사용법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전자미디어 교육은 하루 일과 중 ‘이야기 나누기’시간에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교수학습 자료 및 자원 부족, 연수기회 부족, 교사의 이해·기술 부족 등을 이유로 전자미디어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한편, 교사들은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연수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교사들은 모두 전자미디어의 활성화를 위해 자료의 확충이 시급하다고 동의하였으나, 유치원 교사는 그 외의 요인으로 교사 연수가, 어린이집 교사는 원장․교사의 적극적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