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래-
dc.contributor.author이림경-
dc.creator이림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06-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위축된 상악골에 장골 또는 하악지의 자가골편을 골괴(block bone)의 형태로 이식하고 뒤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을 때 임플란트 변연골의 변화가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떻게, 얼마나 일어나는가를 구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02년에서 2009년까지 이화여대 목동병원에 내원하여 위축된 상악골에 자가골편을 이식하고 임플란트를 식립한 환자들 중 2년간 추적 관찰된 37명의 환자, 125개의 임플란트 주변골의 변화를 술 후 6개월, 12개월, 24개월에 걸쳐 임플란트 근, 원심 변연골의 높이를 계측하고 평균을 내어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온레이 이식골편에 심어진 125개의 임플란트 중 4개의 임플란트(2명)가 실패하여 97%의 생존율을 보였다. 2. 성별, 나이, 임플란트의 종류, 공여부 부위별, 무치악 상태에 따른 생존율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임플란트 변연골은 식립 6개월 후 1.6mm, 식립 1년 후 2.25mm, 식립 2년 후 2.29mm의 흡수를 보였다. 4. 하악지 이식골은 소구치부>대구치부>전치부 순으로, 장골 이식골은 전치부>대구치부>소구치부 순으로 변연골 흡수량이 많았다.(P=0.017) 5. 임플란트 식립 2년 후 하악지 이식골은 1.8±0.8mm의 골흡수를 보여 장골에서의 2.9±0.6mm 보다 작았다. (P=0.024) 결론적으로 상악구치부에 자가골편을 이식한 후 식립된 임플란트 변연골은 술후 6 개월에 1.6mm 골흡수를 보였고, 이는 전체 골흡수의 69%였으며, 하악지 공여 이식골편에서 장골에서보다 골흡수가 적었다.;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linical survival rate of implants placed in the severely atrophied maxilla following autogenous block bone onlay graft that was harvested from the ramus and ilium and to analyze the radiologic bone resorption in the marginal bone. Patients and Methods: A Consecutive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who had onlay bone grafts for augmentations of the severely atrophied maxilla followed by placement of dental implants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2002 to 2009. Thirty-seven patients (27 male, 10 female) who had 125 implants in augmented sites were reviewed. Implant survival and, radiologic implant success (marginal bone loss) were evaluated immediately , 6 months, 12 months and 24 months after the surgery. Result: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implants placed in the grafted onlay bone was 97% (four out of 125 implants were removed). Survival rate was not correlated with sex, age, ,type of implants ,donor site, recipient site and edentulous status.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s was 1.6 mm at 6 month, 2.25 mm at 1 year and 2.29mm at 2 years after surgery. The loss of peri-implant marginal bone harvested from mandibular ramus subsequently increased in premolar site, molar site and anterior teeth, while the iliac bone grafted in anterior maxilla resulted in higher resorption than in molar region (P=0.017). The marginal bone resorption of the iliac onlay graft 2.9±0.6mm in 2 years after surgery, and it’s significantly more than that of ramus(1.8±0.8mm). Conclusion: Therefore, autogenous onlay block graft can be a predictable surgical option to augment the alveolar ridge of the resorbed maxill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3 A. 연구 대상 = 3 B. 연구 방법 = 4 Ⅲ. 연 구 결 과 = 7 A. 임플란트 생존율 = 7 B. 변연골 변화 = 9 Ⅳ. 총괄 및 고찰 = 12 Ⅴ. 결론 = 16 Reference = 17 Abstract(영문) = 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71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title위축된 상악골에서 자가골편 이식술 후 식립한 임플란트 변연골의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eri-implant Marginal Bone Changes of the Autogenous Block Bone Grafted in Severely Atrophied Posterior Maxilla-
dc.creator.othernameLee, Lim Kyoung-
dc.format.pageⅴ, 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플란트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플란트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