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Global Food Crisis

Title
Global Food Crisis
Authors
SHIBUTSE, SARAH IDIEVA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Thomas Kalinowski
Abstract
Millennium Development Goal 1 is about Eradicating Extreme Poverty and Hunger and the targets that have been set are about halving the proportion of people whose income is less than $1 a day by 2015, and halving the proportion of people suffering from hunger by 2015. This goal may now seem unrealistic given the recent global crisis. In the year 2008 there was a major food crisis worldwide which led to citizens in many countries and more especially in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taking to the streets in riots to protest the lack of food and the extreme high prices of the little food that was available. Since this is not the first global food crisis, this paper seeks to find out exactly what are some of the major causes of food crisis. In line with this the key findings of this paper are that climate change, poverty and population increase are the major causes of food crisis more so in the Arid and Semi-Arid Land regions of Kenya. Climate change seems to be playing a very big role but it is strongly interlinked with population increase and poverty in a vicious cycle such that the people in this area have no way to cope with food insecurity. It is hoped that from this paper, countries can then be aware of these causes and seek ways to avert any major food shortages in the future. Most of these causes cited in the paper are preventable for instance high fertilizer prices, or the issue of speculation. Others can be worked around with; these include climate change and poverty, where lasting solutions can be found to prevent recurrence. In Kenya and more so in the Arid and Semi-Arid Land (ASAL) regions of the country, food crisis or food insecurity is a chronic problem which needs to be addressed more seriously. The three major causes of this problem in the ASALs are mainly climate change, poverty and population increase that bring about the problem of food shortages. This paper gives an analysis of how this comes about. It also analyzes how food insecurity affects the women more negatively than it does others. Women in most countries are the backbone of the society. They are also the ones who produce more than half the food in the world as they are the majority farmers and more so in Africa. Due to their traditional and culturally constructed roles as the providers of food for the family, when there is food shortage the extra burden falls on them to find ways and means to see what the family will eat. This is a gap that many researchers have not really concentrated on and this paper seeks to bring to light the gender issue in food insecurity. If Keny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to achieve MDG1, then this is one area that states need to focus on. They need to enhance the woman, because to enhance a woman is to enhance a society and the nation at wide. The recommendations given at the end of the paper are just some of the ways the Government of Kenya in collaboration with other agencies, can help in achieving food security not only in the ASALs but also in the whole country. The buck does not stop at the government only but also at the citizenry who should be willing and able to adopt any new changes that come along to enhance themselves especially in terms of agriculture. Without food security, the people and the country are failing in their duty to help in developing their nation and achiev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 1.;천년개발목표 (MDGs) 1은 극빈과 기아해소에 관한 것으로 2015년까지 하루 1불 이하로 생활하는 인구와 기아로 고통 받는 인구를 반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 목표는 최근에 일어난 글로벌 위기로 인해 실현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2008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친 식량위기가 발생하였는데, 이로 인해 최빈국에서는 식량부족과 가격폭동에 항의하는 거리 폭동이 일어났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글로벌 식량위기를 야기시키는 주요 원인이, 기후변화, 빈곤, 그리고 인구 증가라고 주장한다, 특히 케냐의 건조한 내륙지역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기후변화는 인구증가와 빈곤과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악순환을 일으키며 그 결과 이 지역의 주민들이 식량위기의 위험성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식량위기의 원인을 인식하고 향후의 식량부족 문제를 비켜갈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식량위기 원인의 대부분은 높은 비료 값, 투기 같이 예방이 가능한 것들이다. 다른 원인들도 해결이 불 가능한 것들이 아니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 빈곤 같이 영구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여 재 발생을 막을 수 있는 것들이다. 케냐에서, 특히 건조 (건지성) 지역에서, 식량위기 또는 식량 불안정 사태는 매우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고질적 문제이다. 건조지역이 갖고 있는 식량위기의 세가지 주요 원인은 주로 기후 변화, 빈곤, 인구 증가이다. 이 논문은 어떻게 이러한 결과가 발생하게 되었는지를 논의 하고, 식량 불안정이 왜 여성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한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여성은 사회의 근간을 이룬다. 개도국에서 특히 아프리카에서 여성의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전 세계 식량 생산의 절반을 담당한다. 하지만 전통적,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여성의 역할은 가족을 위한 식량 제공자로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식량부족이 발생할 경우 가족들을 부양할 음식을 구해야 하는 부담이 여성들에게 추가로 부과된다. 기존의 연구들은 이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식량위기의 문제를 여성의 시각을 통해 분석하고, 만일 케냐와 국제사회가 MDG를 달성하고자 한다면 이 문제를 심각히 고려하고 여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케냐 정부가 다른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건조 지역뿐 아니라 케냐 전 지역에서 식량안보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식량안보를 위해서는 정부뿐 아니라 케냐 국민들도 농업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변화를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식량 안보 없이는 케냐와 케냐국민은 자국의 발전을 도모하고 새천년개발목표 1을 달성해야 하는 책임을 다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