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장혜은-
dc.creator장혜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02-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는 IT산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터넷이 일상 생활의 한 부분이 되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인터넷의 사용은 일과 학습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이고 유용한 도구이다. 외국어 학습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원어민과 대화를 할 수 있고, 목표 언어와 문화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학습교재의 한계점을 보안해 줄 수 있다. 특히, 한국과 같은 EFL 상황에서는 외국어를 접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적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보다 많은 연습의 기회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의 영어학습자들은 표현능력인 말하기와 쓰기에 취약점을 드러내는데 이는 이해 중심의 읽기와 듣기의 입시위주수업에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그 결과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여전히 영어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고 있다. 언어를 습득하는 것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컴퓨터 매개의사소통(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이 실제 면대면 대화를 하는 것과 비슷한 환경을 제공하고, 채팅언어의 특징이 구두언어와 문자언어 모두 가지고 있다면 영어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언어습득의 또 다른 기능인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문자채팅을 통해서 가능하다면, 온라인 채팅이 외국어 학습의 보충활동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채팅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표현능력 및 채팅에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형성과 친밀도을 높이는 사회적 실재감(Social presenc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온라인 채팅이 학습자의 정의적인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6주 동안 한국 여대생 9명을 3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 채팅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통제집단을 제외한 두 집단만 일주일에 1회 채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은 채팅을 수행하고 쓰기 후행활동으로 채팅과 동일한 주제에 대해 에세이 쓰기를 하였다. 모든 집단은 채팅 후 원어민 교사의 교실수업에 참석하였다. 교실수업은 채팅이 실제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채팅과 동일한 주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사전 및 사후 말하기, 쓰기 평가와 채팅내용과 에세이를 질적 분석하고,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정의적인 측면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표현 능력인 말하기와 쓰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영어말하기 능력에 관해 살펴볼 때,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과 채팅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 말하기 능력의 평균점수가 향상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말하기 평가를 질적 분석한 결과에서도 두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은 발화량이 증가하였고, 사전 평가 때보다 자신의 말을 논리적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하였다. 한편, 영어 쓰기측면에서도 사전 및 사후평가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채팅에 참여한 두 실험집단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쓰기평가의 자유작문을 질적 분석한 결과에서는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과 채팅집단의 학습자들의 온라인 채팅의 영향으로 산출량이 증가하였고, 쓰기후행활동으로 에세이를 수행한 경우 글을 논리적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채팅 활동을 수행한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언어전환 현상이나 구두언어와 문자언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현상이 관찰됨으로써, 온라인 채팅이 영어쓰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채팅 담화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을 보여주는 정의적 반응, 상호작용적 반응 그리고 결합적 반응이 나타났다. 온라인 상의 채팅은 실제 대화에서처럼 상대방의 표정이나 몸짓과 같은 시각적 단서가 없는데.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은 이모티콘의 사용이나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는 등의 행동을 보이며 대화를 유지시켜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채팅 스크립트를 분석한 결과 정의적 반응과 상호작용적 반응의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학습자들이 채팅 후 교실수업에서 통제 집단의 학습자들보다 높은 친밀도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실제 교실수업의 관찰에서 온라인 채팅을 수행한 두 집단의 학습자들은 소그룹 토론에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 하고, 활발한 의견교환이 있었지만, 통제집단의 경우 토론 질문에 해당하는 대답만을 하여 토론이 다른 두 집단보다 일찍 끝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채팅이 학습자간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의 학습자들은 쓰기후행활동인 에세이 쓰기를 할 때, 온라인 채팅에서 자신들이 사용하였던 표현들을 어휘수준에서부터 문장수준에 이르기까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채팅이 영어쓰기활동의 사전 활동으로서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거나 브레인스토밍의 한 방법으로 서로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학습 활동으로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온라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은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제외한 두 실험집단, 즉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집단과 채팅집단은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에서 영어말하기 및 쓰기 학습과 영어채팅에 대한 흥미와 동기가 실험 후 증가하였다. 사후 심화 설문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온라인 채팅이 실제 영어로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것 보다 덜 부담스럽다고 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김연진, 2007; Kim, 2002; Chang, 2003; Lee & Chang, 2001)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한국의 EFL상황에서 온라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을 영어학습에 활용한 것으로 앞으로 온라인 채팅이 영어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인 언어학습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T) industry, the Internet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our lives. It is now possible to learn foreign languages by communicating with a native speaker through the Internet, as well as get information about that language and culture. Therefore the Internet fills in for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learning materials. Learning a language not only includes expressing opinions or thoughts, but also 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If online chatting can be used to learn a language and develop a social presence in order to have relationships with others, it will supplant the lack of opportunity of using the target language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et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act of synchronous text-based chatting on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skills, social presence, and students' attitud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nline chatting, the researcher carried out experiments on nine university students for six week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 online chatting and essay writing group, an online chatting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The two experimental groups had chatted on the given topics once a week. All three groups of students took part in classroom lessons held by a native English teacher. Since the classroom lessons were related to the given topics, the students also had an opportunity to practice their speaking skills on the subjec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earcher tested all of the students' proficiencies in speaking and writing, and conducted survey questionnaires.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First, online chatting and essay writ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ers'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There was an improvement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s in speaking and writing for both of the experimental group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peaking test showed groups who completed chatting activities had increased utterance and elaboration of their thought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writing test showed learners in the online chatting and essay writing group were more logical in writing their essays. Both experimental groups showed more spoken language in their writing. Second, there were affective responses, interactive responses, and cohesive responses of social presence in the online chats. Students interacted with others using emoticons or were able to express agreement even though there were no visual factors that showed their facial expressions or gestur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chatting scripts was that affective responses and interactive responses were present in high frequency, and increased intimacy in the classroom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hatting as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Third, after performing online chatting, students started to incorporate ideas developed while chatting into their essays. They utilized the chatting activities to form background knowledge and ideas about the topic and applied them to their essays. Fourth, online chatting and writing essay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English. Both experimental groups, the online chatting and writing essay group and the online chatting group, increased their interests and motivations. However, learners of the online chatting and writing essay group slightly increased their confidence in English while the online chatting group displayed no difference in confidence between the pre and post-surveys. In conclusion, online chatting and writing essays positively influenced the students'writing and speaking skills, social presence, and affective attitudes. However chatting has the limitation of allowing imperfect sentences and grammatically incorrect expressions. Therefore, the use of a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 tool should be properly considered for the lesson. Further studies should explore online chatting and perform follow up tasks providing various task activities and feedback to develop different interactive skil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A. 영어의 표현 능력 = 3 1. 구두언어와 문자언어 = 3 2. 표현능력 습득 = 6 B. 사회적 실재감 이론 = 7 C. 상호작용 가설 = 10 D.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 11 1. 언어교육에서의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 11 2.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의 동시적 도구 = 13 E. 선행연구 = 14 III. 연구방법 = 19 A. 연구질문 = 19 B. 연구대상 = 19 C. 실험 도구 = 20 1. 학습 사이트 = 20 2. 채팅 주제 및 학습 자료 = 21 3. 원어민 교사의 교실 수업 = 22 4. 말하기 능력 평가 도구 및 채점 기준표 = 23 5. 쓰기 평가지 및 채점 기준표 = 24 6. 설문지 = 25 D. 실험 절차 = 27 1. 실험 이전 절차 = 28 2. 실험 활동 절차 = 28 3. 실험 이후 절차 = 29 E. 자료 분석 = 30 F. 연구의 제한점 = 31 IV. 연구결과 및 논의 = 32 A. 온라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이 영어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32 1. 온라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이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 = 32 2. 온라인 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이 쓰기에 미치는 영향 = 45 B. 온라인 채팅의 사회적 실재감 분석 = 62 1. 정의적 반응 = 62 2. 상호작용적 반응 = 64 3. 결합적 반응 = 65 C. 영어 채팅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67 1. 사전 및 사후 설문 조사분석 = 67 2. 개방형 설문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 분석 = 68 V. 결론 및 제언 = 71 참고문헌 = 74 부록 = 79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578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온라인채팅 및 쓰기후행 활동이 한국대학생의 영어표현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Online Chatting and essay writing o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English Production Skills and Social Presence-
dc.creator.othernameChang, Hye-eun-
dc.format.pageⅸ,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