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연희-
dc.contributor.author최윤선-
dc.creator최윤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8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820-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국제화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겸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2000년 3월 교육부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영어수업을 영어로 진행할 것을 강조했다. 그 후 지금까지 이뤄진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이 정책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보다 교사들의 인식이 점차 긍정적으로 바뀌어가고 있었으며, 이제 많은 교사들은 현실적인 제약이나 개인적인 어려움 보다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있는 모습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었다. 또한, 영어 기능에 따라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이 달랐는데, 일반적으로 듣기와 말하기 수업은 영어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의견에는 많은 교사들이 일치했지만 읽기 수업의 경우 우리말로 수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영어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의견으로 매우 대조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차 영어 교육과정에서 중요시하는 의사소통 기능 중 시간적 제약 등으로 인해 교실 수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은 쓰기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듣기, 말하기, 그리고 읽기 기능 중심으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의 효과적인 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 114명을 세 집단으로 구성한 후 상·하위 수준 별로 나누었고, 6주 동안 실험집단 I은 듣기, 말하기는 영어로 읽기는 우리말로 수업하였고, 실험집단 II는 듣기, 말하기, 읽기 모두 영어로 수업하였으며, 실험집단 III은 듣기, 말하기, 읽기 모두 영어로 수업하면서 읽기 시간에는 형성평가를 사용하여 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듣기 수업이 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영어 듣기, 말하기, 그리고 읽기 수업 모두 영어로 진행하면서 읽기 수업에서 형성평가를 사용하여 수업의 이해도를 점검한 실험집단 III의 사후 듣기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상·하위 수준별로 살펴보면, 상위 집단의 경우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하위 집단에서는 실험집단 III의 듣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영어를 많이 듣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하위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말하기 수업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의견차 메우기 과제와 정보차 메우기 과제에서 실험집단 I의 사후 말하기 평균 점수는 사전 말하기 평균 점수에 비해 오히려 떨어진 반면, 실험집단 II와 실험집단 III의 사후 말하기 점수는 사전 말하기 점수에 비해 향상되었고, 특히 실험집단 II는 비교적 많은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상·하위 집단에서도 일치했다. 세 집단 모두 동일하게 말하기 수업을 영어로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험집단 II의 말하기 능력만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는데 이는 영어 말하기에 대한 실험집단 II의 높은 학습동기와 영어를 듣고 사용하는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점이 함께 어우러져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수업 언어와 방식을 달리하여 진행한 영어 읽기 수업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세 실험집단 모두 영어 읽기 능력 평가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지 못하였고 상·하위 수준별 읽기 능력 향상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 진행 기간이나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지의 난이도 등과 같은 문제에서 기인할 수 있었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영어 읽기 퀴즈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읽기 학습 성취도를 살펴본 결과, 읽기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면서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도를 점검한 실험집단 III이 수업을 우리말로 진행한 실험집단 I과 수업을 영어로만 진행한 실험집단 II에 비해 읽기 학습 성취도가 더 높았고, 또, 실험집단 III의 하위 집단의 퀴즈 평균 점수가 실험집단 I의 상위 집단의 퀴즈 평균 점수 보다 더 높았다. 이는 읽기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면서 형성평가를 통해 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점검하는 것이 하위 집단의 읽기 학습 능력 신장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넷째,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듣기, 말하기 및 읽기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을 알아본 결과 먼저 듣기의 경우 영어 듣기 수업을 영어로 진행한 세 집단 모두 영어 듣기의 필요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듣기 수업이 계속해서 영어로 진행될수록 듣기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자신감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말하기의 경우 말하기 수업을 영어로 진행한 세 집단 모두 말하기의 흥미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더 나아가 읽기 영역에서도 학습자의 긍정적인 반응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 실험집단 II와 실험집단 III의 많은 학습자들이 공통적으로 영어로 진행하는 읽기 수업을 통해 수업시간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고, 또, 전체적인 글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했다. 우리나라의 교실 현장에서 영어 듣기, 말하기 및 읽기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고자 할 때 학생들이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해 불안해하거나 흥미를 잃지 않도록 교사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잘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알맞은 활동을 제공하고, 수시로 학습자가 수업을 이해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6주의 짧은 기간에 걸쳐 진행되었으나 보다 장기간 지속적으로 활용된다면 학습자들의 듣기, 말하기 및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며 궁극적으로는 영어 교육의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in develop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As a result, since 2000,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repeatedly asked English teachers to use English more frequently in class and move gradually toward using it exclusively or almost exclusively. From that time man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eachers’ opinions on TE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he previous research showed that at the beginning, some teachers were very reluctant in TEE because they thought it would be time-consuming and inefficient to teach English in English to a class with students who have a homogeneous L1. However, as time goes by, there seems to be a gradual change in teachers' views towards TEE and now most of them are advocating exclusive or maximal use of English. Yet, compared to survey research,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to implement TEE effectively to the classroom. There is a high consensus in teaching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in English whereas reading is still a point of dispute.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an effective classroom model for teaching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skills in English. The subjects were 114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within higher and lower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For six weeks, group 1 has been taught listening, speaking skills in English and reading skills in Korean, group 2 has been taught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skills all in English, and group 3 has been taught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skills in English and formative assessments were given to check students’ understandings in reading class. After the experiment, students’ test score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listening abilities among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could well be expl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ery short period of experimen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rise in post-test score in group 3 lower level students. This could be the result of ample amount of input they had received throughout reading class. This showed that in order for lower level students to improve their listening skills, they should be exposed to the language as much as possible. Second, compared to group 1, group 2 and 3 students have improved their speaking skills and group 2 even showed some significant increase in almost all areas of speaking. Even though these three groups were all taught speaking skills in English, there was a difference in students'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which possibly could have led groups 2 to improve their speaking in such a short time. In addition, unlike group 1, groups 2 continued to receive a lot of input throughout the reading class so a rich amount of input might have caused them to improve their speaking skills as well. Third, the result of reading comprehension test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us, the effect of teaching English reading in English has not been proved. Also,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by the higher and lower level of th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s. However, the result of reading quiz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To be more specific, it turned out that group 1 and 2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tells us that teaching reading in English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an be as effective as teaching reading in Korean. Moreover, group 3 students who were taught reading in English with formative assessment outperformed the other two. This treatment was even effective for lower level students since the quiz score for group 3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higher level students of group 1. This implies that teaching reading in English does not hinder students' understandings as a lot of English teachers expected. On top of that, when students are given some kind of device to check their understandings like formative evaluation, they are more likely to outperform than those taught in Korean or just in English. Lastly, the result from the survey and students’ learning journals showed more-in-depth effect of the study. Most students were highly in favor of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taught in English. At first, they seemed to have some kind of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teacher talk, but gradually they said that they felt comfortable and built some confidence. Not only that, they also started realizing the importance of gaining competence in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Therefore, many students wanted to have more time spent on practicing these two skills in cla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glish should be the medium in listening and speaking class. There was also a similar opinion on reading as well. Students who received reading in English were highly satisfied and high percentage of them were willing to take the course again because it helped them to concentrate more, understand the gist of the reading passage, and improve their reading skills. In addition, group 3 students said that receiving feedback from formative assessment was really effective and helpful because they could easily find out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Group 2 students liked reading taught in English but more of them were willing to take it if they are given some feedback just to make sure that they are doing a good job. This suggests that teaching reading in English can be effective but a device to check students’ understandings is necessary. To sum up,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ontext where students lack opportunities to build their English skills outside the classroom, classroom must be the source of input for the language. Teachers, therefore, should start making the maximal use of English in listening and speaking class so that students can have a lot of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the target language. In that way, students will gradually gain their language competence as well as confidence. Once teachers and students are getting used to this classroom model, then they should move on to reading with a help of formative assessment. Teaching all three skills in English may be tough and even though it is not successful at first, one should take time and try again. Make sure that real and effective change in practice can only occur through a change in one's belief. The classroom model of the present study is just the beginning.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on how to implement TEE more effectively in class. In that way, learners will be able to promote their learning more effectively and foster their interests on the language as wel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 3 1.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의 정의 = 3 2.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의 주요 이론 = 4 3.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의 필요성 = 5 4.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서 교사가 유의해야할 점 = 6 B. 선행 연구 = 8 1.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 8 2.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의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 1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6 A. 연구 문제 = 16 B. 연구 대상 = 17 C. 연구 자료 = 18 1. 사전·사후의 듣기 능력 평가지 = 18 2. 사전·사후의 말하기 능력 평가지 = 18 3. 사전·사후의 읽기 능력 평가지 = 21 4. 형성평가지 = 21 5. 퀴즈 = 22 6. 설문지 = 23 7. 학습자 일지 및 교사 관찰 일지 = 24 D. 연구 절차 = 25 1. 실험 이전 절차 = 25 2. 실험의 주요 활동 = 29 3. 실험 이후 절차 = 31 E. 연구의 제한점 = 33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35 A. 영어 듣기 능력의 비교 = 35 1. 실험집단 간 영어 듣기 능력 향상도 비교 = 35 2. 실험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영어 듣기 능력 향상도 비교 = 37 B. 영어 말하기 능력의 비교 = 39 1. 실험집단 간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도 비교 = 39 2. 실험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도 비교 = 44 C. 영어 읽기 능력의 비교 = 50 1. 실험집단 간 영어 읽기 능력 향상도 비교 = 50 2. 실험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영어 읽기 능력 향상도 비교 = 52 3. 실험집단 간 영어 읽기 학습 성취도 비교 = 54 D. 전반적인 영어 학습과 영어 듣기, 말하기 및 읽기 학습 태도 비교 = 59 1. 실험집단의 영어 학습과 영어 듣기, 말하기 및 읽기 학습 태도 비교 = 59 2. 실험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영어 학습과 영어 듣기, 말하기 및 읽기 학습 태도 비교 = 62 E. 영어 듣기, 말하기 및 읽기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분석 = 68 1.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듣기 및 말하기 수업에 관한 사후 공통 심화 설문 분석 = 68 2.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읽기 수업에 관한 심화 설문 분석 = 72 F.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 분석 = 75 1.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듣기와 말하기 수업에 관한 학습자 일지 분석 = 75 2.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읽기 수업에 관한 학습자 일지 분석 = 76 3.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관한 교사 관찰 일지 = 78 V. 결론 및 제언 = 82 참고문헌 = 87 부록 = 93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443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의 효과적인 모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듣기, 말하기 및 읽기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 Classroom Model for Teaching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Skills Effectively in English for Korean High School Learners-
dc.creator.othernameChoi, Yoon Sun-
dc.format.pagexiv,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