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박효진-
dc.creator박효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04-
dc.description.abstract영어의 네 기능이 모두 중요하게 여겨지고 통합되어 가르치도록 강조되지만 그 중에서도 외국어로 영어를 학습하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 수단인 읽기가 특히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읽기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는데 특히 성공적인 독자의 특징을 분석한 것에서 시작된 읽기 전략의 중요성이 읽기 수업 모형에도 큰 영향을 미쳐 읽기 전략 교수의 효과를 증명하는 연구들이 많이 있다. 더 나아가 여러 읽기 전략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하고 평가하는 상위 인지 전략도 강조되고 있다. 한편, 평가에서도 대안적 평가로서의 포트폴리오의 긍정적 효과를 증명하는 많은 연구가 있다. 학습 과정에 초점을 맞춘 포트폴리오가 읽기 전략 교수를 강화하고, 능동적이고 전략적 독자를 양성하는데 좋은 학습도구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활동 중심의 읽기 전략 교수와 읽기 전략 교수 후 포트폴리오의 활용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 206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17차시에 걸쳐 읽기 전략 교수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읽기 수업을 진행하였고, 읽기 전략교수 집단은 읽기 활동지를 활용하여 전략 교수를 실시하였으며 읽기 포트폴리오 집단은 읽기 전략 교수 후 추가로 제시된 지문에 대한 독해일지, 전략 사용 점검표, 자기 평가 등의 자료를 활용하고 포트폴리오에 수집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 사후 읽기 능력 평가 및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집단의 사후 읽기 능력 평가점수를 분석한 결과 읽기전략 교수 집단, 읽기 포트폴리오 집단, 통제 집단 순으로 점수가 높았으며, 통제집단과 읽기 전략 교수 집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읽기 전략 교수의 긍정적 효과를 시사하는 것으로 본 실험에서 읽기 전·중·후 활동으로 학습지를 이용하여 읽기 전략을 학습하고 활용한 것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생각된다. 전략에 대해 인지하고 직접 연습한 결과, 독해 속도가 빨라져 글의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된 점과 모르는 부분이 나왔을 때 대처하는 방법을 알게 된다는 점에서 전략교수가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설문지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읽기 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전략 교수를 강화시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읽기 포트폴리오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검증되지 못하였다. 포트폴리오의 특성상 과제 부담이 커서 중간에 제출하지 않은 학습자가 생겼고 이에 따라 그 효과를 제대로 얻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통제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았고, 학습자의 반응 분석을 통해 확인된 포트폴리오의 긍정적인 역할은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읽기 전략 교수는 상위 집단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외국어 읽기에서 언어적 부족 요인을 채워주는 전략보다는 읽기를 유창하게 하기 위한 읽기 전략들을 학습하고 활용해 본 결과, 상위 학습자들은 무작정 읽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으로 지문에 접근하여 읽게 되어 발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설문지 조사를 통해서도 상위 학습자들의 과반수가 자신의 읽기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대답한 결과로도 뒷받침 된다. 반면, 하위 학습자들에게는 이러한 읽기 전략이 언어적 한계 요인을 넘어서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학습자의 개별적인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하위수준의 학습자에게는 언어적 지식을 채워준다면 읽기전략 교수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읽기 전략 교수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읽기 교수 후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집단의 학습자들이 읽기 전략 교수만을 받은 집단보다 전략 교수에 대해 훨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두 실험집단 모두 읽기 전략 교수가 필요하다고 답한 것은 같았으나, 자신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도, 읽기에 대한 흥미, 전략 사용도 등에 대한 긍정적인 대답이 모두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집단이 과반수로 높았다. 또한 읽기에 대한 흥미도 포트폴리오 집단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포트폴리오 집단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화 설문 결과가 보여주듯이 읽기 포트폴리오의 가장 좋은 점은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읽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보아 이는 포트폴리오가 평가의 방법뿐 아니라 학습의 도구로 이용된다면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전략을 지도한 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던 것을 고려해 볼 때, 영어 읽기 수업에서 교사가 학습자에게 지문에 적합한 읽기 전략을 명시적으로 제시· 시연을 보이고, 학습자가 직접 활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전략교수가 필요하다.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EFL) 환경에서 영어로 이야기할 기회보다는 영어로 된 정보를 접하고 읽는 기회가 훨씬 많을뿐더러 읽기를 중시하는 한국의 영어교육 현장을 생각해 볼 때, 언어적 요소를 가르치고 의미를 전달해주는 읽기 수업보다는 학습자가 스스로 전략적인 읽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 지고 있다. 이에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과 지문에 맞는 목표 전략을 선택하여 학습자가 전략에 대해 인지할 수 있게 하고, 모델링을 통해 학습자도 스스로 전략을 활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이것은 단기간의 훈련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인내와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읽기 포트폴리오의 활용을 통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 및 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다. 교과서 지문 외에도 학습자의 수준에 적절한 지문을 다양하게 접하고 꾸준히 읽기 활동을 하며 발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성취감을 느낄 뿐 아니라 읽기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중시되는 적극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를 신장시키는데 포트폴리오가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고 꾸준한 사용을 통해 읽기 능력에 있어서의 성취도 이룰 수 있을 것이다.;Considering that strategic reading is one of the important constructs in defining successful reading, a lot of research has focused on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and its effects. Further, the us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that control the use of strategies is getting attention and proved to be effective in reading as well. The studies on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however, have been performed through a teacher's explicit explanation and modeling. Under the circumstance, portfolio, one of the alternative assessment tools, is supposed to be helpful in reinforcing the strategy instruction and control over one's own learning, building metacognitive abil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and the reading portfolio on the reading ability and the affective aspects of Korean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For this purpose, 206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taught according to the national 7th curriculum, the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group using worksheets, and the reading portfolio group using portfolio after the same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The experiment lasted for 12 weeks during 17 class periods with the English I text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group. This proves the positive effects of strategy instruction on students' reading proficiency through activities promoting students' use of read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students found the reading strategies helpful in that they could understand the text better with improved reading speed and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erms of unfamiliar words while reading. Second,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group of high proficiency students. The high proficiency students approached reading systematically and evaluated that their reading ability had improved after the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Third, as for the attitude toward English reading, the portfolio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the strategy instruction only group in terms of reading ability, interest in reading and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As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taken by students of the portfolio group show, the best part of the reading portfolio was enabling them to read actively and to control their reading process. The results presented above suggest tha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y. Teachers should select the appropriate target strategies for the students and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utilize and practice the learned strategies through activities. The other pedagogical implication from this study is that the reading portfolio helped the learner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ading. Completing the reading assignments on their own by 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reading process seems to have promo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is respec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along with the use of portfolio will make the learners be strategic and active readers in the long ru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읽기 전략과 상위인지 = 3 B. 포트폴리오 = 6 C. 선행연구 = 8 Ⅲ. 연구방법 = 14 A. 연구질문 = 14 B. 연구대상 = 14 C. 실험자료 = 15 D. 실험절차 = 23 E. 자료 분석 도구 = 28 F. 연구의 제한점 = 28 Ⅳ. 결과 및 논의 = 30 A. 읽기 전략교수 및 포트폴리오 활용이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30 B. 읽기 전략교수 및 포트폴리오 활용이 영어 읽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36 Ⅴ. 결론 = 49 참고문헌 = 52 부록 = 56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534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읽기 전략 교수 및 읽기 포트폴리오의 활용이 한국의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and the Reading Portfolio on the Reading Proficiency and the Attitude of Korean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dc.creator.othernamePark, Hyo Jin-
dc.format.pagex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