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협동적 영어 글쓰기 학습에서 집단 구성 방법이 한국 중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과 과정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협동적 영어 글쓰기 학습에서 집단 구성 방법이 한국 중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과 과정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Grouping Method in the Collaborative Writing Task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Writing Process, and Learning Attitude
Authors
강연경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The ultimate goal of English education is to develop learners’ four language skills which consist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A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in the Seventh National Korean Curriculum, the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have received more attention than ever before. Nevertheless, less attention is still paid to the writing ability in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classrooms due to the large size of classes and the difficulty of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writing skill. However,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in English has become crucial in the modern society with the widespread use of Internet and e-mails, which causes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English writing in school. Particularly in middle school, when students begin to study writing in earnest, writing education needs to be done in a way that increases students’ motivation and confidence in English writ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a collaborative writing task based on picture strips to promote interaction among learners as well as provide learners with mor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and seeks to find which is more effective between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groupings, the two most common grouping methods in collaborative learn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wo methods on Korean learners’ English writing ability, writing process, and learning attitud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one month with 68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form either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groups and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narrative writing; To complete a task, all the members of each group had to discuss the story in the given picture strips and collaboratively compose a narrative text in Englis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students’ proficiency levels. In order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the writ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the higher and the lower levels. For the writing process, only students in the homogeneous group were divided into the highest, high, average, low, and lowest levels.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collaborative writing task did improve all the learners’ English writing abilit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riting ability of the two groups was found. This could be due to the short period of the experiment. However, higher level learners in the homogeneous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ir writing ability than those in heterogeneous group. Thus, it is inferred that homogeneous grouping may work more positively for the advanced learners’ writing ability than the heterogeneous grouping.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learners’ compositions was influenced by the types of picture material indicates the importance of various supplementary materials in a writing task. Second, the analysis of the collaborative writing process revealed a slight impact of the grouping method on the learners’ writing process. The learners in the heterogeneous group verbalized more for task management than those in the homogeneous group. However, the differences of the writing process were more obvious between the highest level learners and the lowest level learners in the homogeneous group. The highest level learners in the homogeneous group and the learners in the heterogeneous group had a similar writing process; they spent more time on writing than planning. This means that the higher level learners were at the center of each group’s task performance. However, the lowest level learners in the homogeneous group spent more time on planning than writing. None of the groups spent much time on revising. On the other hand, the writing behavior of the highest and lowest levels of learners in the homogeneous group and the heterogeneous group was relatively similar. All the students verbalized dominantly for task examination and idea generation at the planning stage and for language searching and idea generation at the writing and revising stages. This result reflects the learners’ lack of recognition of discourse organization in writing. Third, the survey finding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ttitud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also seems due to the short period of the experiment. However, in the case of lower-level learners, homogeneous grouping wa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learners’ interest in collaborative work in general and a collaborative writing task. Besides, the lower level learners in the homogeneous group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icture material, which implies that the material was more helpful for their writing when they could not get any assistance from higher level learners. In addition, the in-depth survey found that most of the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 collaborative writing task since they were able to develop their writing skills, complement their weaknesses, and improve their confidence in English writing. Regarding the grouping method, the learners tended to prefer the one they had experienced throughout the study. Despite the absence of assistance from higher level learners, learners mentioned that the homogeneous grouping was preferable because of smoother communication and a more comfortable atmosphere. On the other hand, they felt that the heterogeneous grouping enabled them to learn directly from higher level learners and become more motivated to learn English. However, the disadvantages, such as the inefficiency of task completion, of the heterogeneous grouping were also noted. A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picture-based collaborative writing task can be useful for Korean middle school learners to improve their English writ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However, for a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task, the picture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considering the target learners’ interests and language proficiency. Also, the aspect of discourse organization should be explicitly taught in a writing class. Finally,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homogenous grouping method since it seemed more effective for collaborative writing in the study.;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의 균형 있는 개발을 통한 의사 소통 능력의 함양에 있다. 과거에는 이 네 가지 기능들 중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어 교육이 중심을 이루었으나, 최근 영어를 통한 실제적 의사 전달 능력이 중요시되면서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어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영어 교육에 있어서 쓰기 기능은 교수와 학습이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이유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전자 우편이 생활화된 현대 사회에서 영어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므로 영어 쓰기 교육은 학교에서 더욱 강조되고 실천될 필요가 있다. 특히 본격적인 쓰기 학습이 시작되는 중학교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영어 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 간의 상호 의사 소통 기회를 증대시키고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그림 자료를 이용한 협동 영어 쓰기 활동을 제안하고 이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 중 어느 집단 구성 방법이 더 바람직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 영어 글쓰기 학습에서 집단 구성 방법이 한국 중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과 과정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 68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그림 자료를 이용한 협동 영어 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으로 나누어진 학생들은 각 소집단 내에서 스트립 스토리(strip story) 형식의 그림 자료를 함께 의논하여 한 단락 분량의 이야기체 글을 완성하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영어 능력 수준에 따라 살펴 보았다. 쓰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집단을 상·하위 수준별로 나누었으며, 협동 영어 쓰기 과정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동질 집단을 최상위, 상위, 중위, 하위, 최하위의 5개 수준으로 나누었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구성 방법이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 모두 영어 쓰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 영어 쓰기 능력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위 집단의 경우 동질 집단이 이질 집단에 비하여 쓰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나 동질 집단의 방식이 이질 집단보다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협동 쓰기 활동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이 그림 자료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그림을 이용한 영어 쓰기 활동에서 그림 자료의 유형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둘째, 집단 구성 방법이 학습자의 영어 쓰기 과정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이질 집단이 동질 집단보다 협동 영어 쓰기 활동을 수행할 때 과제 관리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협동 영어 쓰기 과정은 집단의 유형보다 학습자 수준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질 집단의 최상위 수준 집단과 이질 집단의 쓰기 과정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글쓰기 과제를 수행할 때 최상위 수준 집단과 이질 집단이 계획하기 단계보다 글쓰기 단계에서 더 많이 발화하는 반면, 최하위 수준 집단은 글쓰기 단계보다 계획하기 단계에서 더 많이 발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의 쓰기 과제 수행이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 집단 모두 수정하기 단계는 거의 거치지 않았다. 한편, 모든 집단의 단계별 쓰기 과정 양상이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계획하기 단계에서는 과제 분석하기와 아이디어 창출하기에 관한 발화가 가장 많았고, 글쓰기와 수정하기 단계에서는 언어와 아이디어 창출하기에 관한 발화가 많았다. 이는 학습자들이 글을 쓸 때 글의 내용과 언어적 측면에만 중점을 둔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글의 구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집단 구성 방법이 학습자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후 정의적 태도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 집단의 경우 협동 학습, 협동 영어 쓰기, 그림 자료에 대한 선호도에서 동질 집단이 이질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태도 점수의 향상을 보였다. 이는 하위 수준 학습자의 경우 동질 집단의 방식이 정의적 태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또한, 실험 활동이 끝난 후에 사후 심화 설문을 통해 학습자들의 본 활동 및 집단 구성 방법에 대한 반응을 알아본 결과, 폐쇄형 문항에 대한 정의적 태도 점수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협동 영어 쓰기 활동과 그림 자료 및 집단 구성 방법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본 활동이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위 수준별로 집단 간의 사후 정의적 태도를 비교한 결과, 상위 집단의 경우 전체 집단과 마찬가지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하위 집단의 경우에는 그림 자료에 대한 만족도 영역에서만 유일하게 동질 집단의 점수가 이질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동질 집단의 하위 수준 학습자들이 이질 집단의 하위 수준 학습자들보다 그림 자료에 대해 더 만족한 현상은 아마도 영어 실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학습자들이 상위 수준 학습자들의 도움 없이 글을 써야 하는 동질 집단의 상황에서 그림 자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사후 심화 설문의 개방형 문항에 대한 학습자들의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4차시 동안 이루어진 협동 영어 쓰기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본 활동을 통해 자신의 쓰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느낄 수 있다고 응답했다. 몇몇 학습자들은 본 활동의 부정적 측면으로 지나치게 자유분방한 분위기와 집단 구성원들 간의 의견 불일치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집단 구성 방법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각자 자신이 실험 활동 중에 경험한 집단의 구성 방법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동질 집단의 장점으로 집단 구성원들 간의 원활한 의사 소통, 실력 차이로 인한 손해와 소외감 감소, 참여하기에 편안한 분위기와 자신감 향상 등을 들었으며, 이질 집단의 장점으로는 잘 하는 사람의 도움을 받아 영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 영어 공부에 자극과 동기 부여가 된다는 점 등을 들었다. 그러나 동질 집단은 자신보다 높은 수준의 학습자로부터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없었음을 아쉬워했고, 이질 집단은 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수준 차이로 인하여 과제 수행의 효율성이 떨어졌다고 아쉬워했다. 협동 영어 쓰기 활동에서 수정하거나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서는 그림 자료가 불명확했다는 의견, 과제 수행에 시간이 부족했다는 의견, 보충 자료나 참고 자료가 제공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 등이 있었다. 이처럼 그림 자료를 활용한 협동 영어 쓰기 활동이 중학교 1학년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 자료를 활용한 협동 영어 쓰기 활동이 현재 영어 교육 현장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영어 쓰기 학습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그림 자료를 이용한 협동 영어 쓰기 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림 자료를 학습자의 흥미와 수준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영어 쓰기를 지도할 때 글의 내용과 언어적 측면뿐만 아니라 구성적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의 향상에 이질 집단의 방식보다 동질 집단의 방식이 더 효과적인 경향을 보였으므로, 앞으로 협동 학습에 있어서 동질 집단의 집단 구성 방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