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효현-
dc.contributor.author공다영-
dc.creator공다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9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global climate change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 constructed climate chang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which, the contents regarding climate change in social and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study includes the result of a survey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global climate change. Moreover, the study tried to find the relations between contents regarding climate change in social and science textbooks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global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o reorganize educational system about climate change, I’ve researched many studies about climate change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With this reorganized educational content system about climate change, I’ve also researched what contents about climate change were in social and science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 based on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According to reorganized educational content system regarding climate change, the survey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scientific basis principles of climate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human life, and the attitude(adaptation&mitigation) of students towards climate change.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three secondary classes from two middle schools, and three upper secondary classes form two high schools, all located in Nowon Gu, Seoul. This survey took 6 days, starting from April 17, 2009. The survey papers were added up to 401, recollected, and analyzed by SPSS win 14.0 descriptive statistic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of all, middle & high school social and science textbooks do include contents for climate change. But the textbooks should supplement scientific knowledge about climate change, and provide various causes of climate change deeply and widely. Second of all,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formation showed that the 8th graders and the 11th graders had similar level of knowledge on the climate change. In a question regarding greenhouse gas, all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knew three kinds out of six kinds of greenhouse gases, CO₂, CH₄ and N₂O. However, when selecting an answer about greenhouse effect, 8th graders chose the correct answer more than 11th graders. Third of all,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between climate change and human life showed that both the groups had similar knowledge on the causes of global warming. Also, both the groups had similar understanding of global warming. However, when asked to select the signs of climate change in the surroundings, the 11th graders chose the correct answer more than 8th graders. Fourth of all,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attitude(adaptation & mitigation) of students towards climate change showed that both the groups are not even familiar with the Climatic Change Convention. Also, most students thought individu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way to prevent climate change. Moreover, the students thought that changing habits in a way that could prevent climate change, saving energy would help climate change to be reduced. In a question asking which country is responsible the most of climate change in greenhouse gas emission, 8th graders chose every country regardless of its greenhouse gas emission, and 11th graders chose the countries which emit greenhouse gas at present. More than a half of the students chose TV/radio, and the Internet useful when getting information about climate change rather than their school’s curriculum.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basic information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 수준의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중등학생의 기후변화 인식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 교육 내용체계를 구성하고 이를 기본틀로 하여 사회 교과서 및 과학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기후변화 관련 내용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교육내용체계를 기반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기후변화 인식실태를 파악하였다. 더불어 사회 교과서와 과학 교과서에서 다뤄지고 있는 기후변화 관련 내용과 중학교 2학년 학생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간의 기후변화 인식실태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NWF(2007); NOAA(2007); ACE 프로그램(2002); 권주연(2009); 홍철희(2005))를 토대로 지역적으로 매우 상이하게 끼치는 기후변화(IPCC, 2007)의 영향을 고려하여 기후변화 교육내용체계를 재구성하였다. 기후변화 교육내용체계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관련 내용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사회, 중학교 3학년 사회, 고등학교 사회, 중학교 3학년 과학,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기후변화 교육내용체계의 대영역인 ‘기후변화의 과학적 기초원리, 기후변화와 인간생활과의 관계,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자세’에 해당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시 노원구에 소재한 중학교 2곳 3학급, 고등학교 2곳 3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2009년 4월 17일 당일 배부하여, 4월 18일부터 23일까지 회수하였다. 총 423부를 배포하여 그 중 401부의 설문지를 수거, 설문결과를 도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적용하였고, 문항 특성에 따라 χ²검정,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교육내용체계를 기반으로 중등학교 사회 교과서 및 과학 교과서에서 다뤄지고 있는 기후변화관련 내용들을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와 관련한 내용이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었다. 특히 기후변화의 과학적 기초원리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의 비중이 적었고, 기후변화의 원인 및 영향,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내용은 교과서마다 다루는 비중이 달랐다. 둘째, 기후변화의 과학적 기초원리에 대한 인식실태 및 분석결과 기후변화에 대한 중학교 2학년 학생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지식수준은 비슷하였다. 또한 중학교 2학년 학생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알고 있는 온실가스는 비슷하였다. 그러나 온실효과에 대한 지식수준은 중학교 2학년 학생이 고등학교 2학년 학생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중학교 2학년 학생보다 기후변화, 온실가스, 온실효과에 대해 알고 있는 수준의 차이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기후변화와 인간생활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실태 분석결과 중학교 2학년 학생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 모두 지구온난화의 원인을 정확히 알고 있는 지식수준은 비슷하였다. 또한 지구온난화에 대한 종합적 이해 수준은 중학교 2학년 학생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 모두 비슷하였다. 그러나 기후변화 신호를 고르는 문항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중학교 2학년 학생보다 기후변화 신호를 더 잘 인지하고 있었다. 넷째,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자세에 대한 인식실태 및 분석결과 대다수의 중학교 2학년 학생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은 기후변화협약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 또한 중학교 2학년 학생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 모두 개인/가족을 기후변화방지의 주체로 여기고 있었다.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노력으로는 상당수의 중학교 2학년 학생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에너지절약과 생활습관의 변화를 선택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와 관련하여 기후변화의 책임국가로는 중학교 2학년 학생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계없이 모든 국가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은 현재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고 있는 국가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지구온난화 또는 기후변화 관련 정보는 텔레비전/라디오, 인터넷을 통해 얻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교육을 위해 중등학교 사회 교과서 및 과학 교과서에 기후변화 관련 내용요소를 파악하고 중등학생의 기후변화 인식실태를 파악, 추후 중등학생 수준에 맞는 기후변화 교육의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방법 = 3 C. 선행연구 = 8 Ⅱ. 기후변화 교육내용체계 = 10 A. 기후변화의 개념과 기후변화 교육내용체계 = 10 B. 중등 사회과 및 과학과 교과서의 기후변화 관련 내용 = 19 Ⅲ. 중등학생의 기후변화인식 = 32 A. 기후변화의 과학적 기초원리 영역에 대한 인식 실태 분석 = 33 B. 기후변화와 인간생활과의 관계 영역에 대한 인식 실태 분석 = 38 C.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자세 영역에 대한 인식 실태 분석 = 47 Ⅳ. 결론 = 55 참고문헌 = 59 부록 = 64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453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기후변화교육을 위한 중등학생의 기후변화 인식 실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Global Climate Change-
dc.creator.othernameKong, Da Yeong-
dc.format.pageⅶ,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