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6 Download: 0

경제이해 정도가 경제적 세계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Title
경제이해 정도가 경제적 세계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Other Titles
Does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economy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 economic globalization?: The case of the Korea-USA Free Trade Agreement
Authors
공정윤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민식
Abstract
The economic slowdown in Korea has always involved a global concern with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and the world financial crisis since 2008. In the midst of these, the Republic of Korea is pushing forward with its conclusion of the Korea-USA Free Trade Agreement, a part of economic globalization but this involves many conflicts in the country. Some point out that these conflicts have originated from the lack of knowledge in economy. This study is to prove this argument and to explore criticism against practicality of economy education arising from the very area and effects of economy education. Concretely speaking, this study has considered that it will be meaningful to positively study how knowledge education in economy education influences formation of the attitude toward actual affairs. This study has explored impacts of knowledge education in economy education on formation of the attitude in actual economic issu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o what degree knowledge on international economy that works as a main element especially in judging issues related to economic globalization is understood and whether a proper attitude is being formed based on application of this through tests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economy an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attitude related to economic globalization such as the Korea-USA FTA, etc.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economic phenomena relates to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economic effects in the Korea-USA Free Trade Agreement. The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economic effects of the Korea-USA Free Trade relates to a higher level of inclination to the Agreement.;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와 2008년 이후의 세계경제위기 이후 국내외의 경제가 어려움에 봉착한 가운데 경제 위기가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은 경제적 세계화의 한 일환으로 볼 수 있는 한미자유무역협정의 체결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내의 많은 갈등을 빚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갈등이 경제적 지식의 부족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지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을 논증함과 더불어 경제교육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경제교육의 실용성 비판 및 경제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경제교육에서의 지식 교육이 실제 사안에 대한 태도 형성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경제교육에서의 지식 교육이 실제 경제적 사안에 있어서의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특히 경제적 세계화와 관련된 사안을 판단함에 있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국제경제에 대한 지식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실제 사안에 대한 적절한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경제이해도 테스트와 한미자유무역협정 등 경제적 세계화와 관련된 태도에 관한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경제 현상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한미자유무역협정에서 경제적 효과에 대한 이해가 높다. <가설2> 한미자유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이해가 높을수록 찬성 의견을 갖게 된다. 자료 수집은 서울, 경기 지역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각 449명, 430명에게 실시되었다. 측정 도구는 두 가지이다. 첫째, KDI에서 실시한 경제이해도 테스트를 본 연구에 적절하게 문항을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둘째, 개인의 경제적 세계화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의 국제경제연구소(IIE)에서 발간된 Globalization and the Perceptions of American workers(Kenneth F. Scheve and Matthew J. Slaughter, 2001)에서 미국인들의 경제적 세계화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사용된 설문들을 한국의 상황에 적절하게 수정하여 선다형 응답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선택법으로 18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집단 평균 비교를 위해 일원 분산분석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TATA 프로그램으로 이해도에 따른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로짓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이해도 테스트 결과는 평균 66.13점으로 KDI(2003)가 전국 고등학생 대상으로 실시한 경제이해도 테스트의 평균 점수 55.7점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접적인 경제적 세계화의 지식을 담고 있는 국제경제이해도의 평균은 55.27점으로 KDI(2003)에서 조사된 46.8점보다 국제경제이해도의 평균 점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과 교육 목표의 지적 영역의 목표 수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전히 국제경제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경제이해도 테스트의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국제경제에 대한 교육이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11학년 과정과 심화선택과정인 ‘경제’에서 더 확충・보완되어야 함이 강조된다. 둘째, 고등학교 선택 ‘경제’ 교육 여부, 사회과 성적과 경제학 강의 수강 정도가 경제이해도와 국제경제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제이해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태도 형성과 관련하여 경제이해도 및 특히 국제경제이해도와 태도에 관한 문항의 회귀분석결과 국제경제이해도가 전반적인 경제적 세계화 문항에서의 태도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무역의 경제적 이익2’, ‘한미자유무역협정에 대한 관점2’, ‘전반적인 무역형태에 대한 관점’,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1‘과 국제무역 정책을 결정하는 정부 공무원들의 관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요인 중 한국노동자2’의 문항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국제 경제 지식이 일정하게 이와 관련한 현실의 태도 형성에 반영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했다. 넷째, 현실 경제 관련 사안에 대한 태도 형성과 경제이해도 및 특히 국제경제이해도의 영향 분석에서 자유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FTA에 대한 관점1’)와 협정 체결에 대한 찬반 태도(‘FTA 찬반 태도’)에 국제경제이해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가 많을수록, 가구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자유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FTA에 대한 관점1’)에 긍정하였고, 여자보다 남자가, 아버지의 학력이 낮을수록 ‘협정 체결에 대한 찬반 태도(‘FTA 찬반 태도’)’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본 연구의 가설인 경제 지식이 많을수록 현실의 경제적 태도 형성이나 의사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고등학교 선택 ‘경제’ 이수의 경우 유의미하지 않거나 오히려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나 선택 ‘경제’이수 여부가 경제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데 반해 실제적인 태도나 의사결정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경제 교육의 구조 및 내용 변화는 국제경제 이해 및 이에 대한 가치・태도의 변화의 모색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