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이선민-
dc.creator이선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8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3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on purpose, contents, methods and application of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lack of standards in the contents and on discussion about ability and range of various evaluators prior to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s below. 1. What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conformity of evaluation in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1-1. What do they think about conformity of teacher evaluation? 1-2. What do they think about evaluation contents appropriate to its domain? 2. What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appropriateness of evaluators in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2-1. What do they think about necessities and problems of multi-source assessment ? 2-2. What do they think about evaluators appropriate to its domai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188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SPSS Win 11.0 program. The study utilized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Chi-test. The following are the result. First, teachers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fessional evaluators for purpose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whether they agree to it or not. Second, teachers think that teacher evaluation system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profession by self-exa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y think that teacher evaluation system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ir profession by competition which is 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ird, teachers worry about being evaluated by conformity which is lack of objectivity and concrete concept. They also worry about result of evaluation because they don't trust ability of various evaluators. Fourth, teachers suggest that educational conviction, devotion and integrity should be more important matters than others in the evaluation domains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Fifth, teachers think that teachers themselves are most superior evaluators with the evaluation ability (fairness, objectivity). They, on the other hand, think that parents and students are most inferior evaluators. This shows that they don't rely on multi-source assessment: which is one of the noticeable characteristics of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Sixth, 85.1% of teachers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different evaluators for different evaluation domains in the multi-source assessment. Seventh, teachers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evaluation result should be open to the public and be utilized for self-introspection of teaching methods. But they anticipate that evaluation result will be utilized by means of personnel administration data for their promotion, transfer and dismissal. Prior to impetuous introduction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it is necessary for professional evaluators to develop the object and concrete conformity and to prepare evaluation system. Also,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ppraisal system which is acceptable to teachers is expected to be proposed by various studies.;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평가제의 평가영역별 평가 내용의 중요도와 평가주체의 적절성에 대한 다양한 쟁점을 현직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공교육에 대한 비판이 강화되면서 공교육의 책임자인 교사들을 바라보는 시각이 긍정적이지 않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교사의 변화를 통한 전문성 신장이야말로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핵심과제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3차례에 걸쳐 시범운영 되었고 2010년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는 교원평가제의 평가내용의 준거 부재와 다양한 평가주체의 평가능력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평가를 통하여 평가결과를 피드백 받아 반성을 유도해야 하는 교원들로부터 외면당하는 교원평가제는 궁극적으로 학교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원평가제에서 ‘중요하게 평가되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생각을 파악한 후 각 평가내용의 중요도를 분석하고, 다양한 평가주체들의 평가능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한 후 평가영역별로 적절한 평가주체를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별, 교육 경력, 보직유무, 소속교직단체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교원평가제에 관한 논의가 보다 건설적으로 전개되고 교원평가제가 학교 현장에 잘 정착될 수 있는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원평가제의 평가내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교원평가제를 위한 평가내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2. 평가영역별 중요한 평가내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원평가제의 평가주체의 적절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다면평가의 필요성과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무엇인가? 2-2. 평가영역별 적절한 평가주체에 대한 인식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교원평가제의 평가내용의 중요도 및 평가주체의 적절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교원평가제가 시범 운영 되고 있는 서울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 57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정·보완 후 시범 운영되지 않았던 학교에 재직 중인 3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수행하였다. 설문 내용은 평가영역별 평가내용의 중요도와 평가영역별 적절한 평가주체에 대한 문항 구성에서 인식의 정도를 묻는 문항의 평정으로 Likert식 5단계 척도(5-매우 중요, 4-중요, 3-보통, 2-중요하지 않음, 1-별로 전혀 중요하지 않음)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원평가제 실시의 합당한 목적에 대해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가장 합당한 목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승급, 성과급, 승진 등 인사 결정’과 ‘부적격 교사 퇴출’을 다소 부적절한 목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평가 시행을 찬성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이 추구하는 목적이 같으며 교사에게 가장 요구되고 필요한 능력은 전문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교원평가제 시행과 관련하여 예상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교사들은 '교사 개인의 반성적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사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는 계기가 된다'를 가장 긍정적인 효과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가 서로를 평가하기 때문에 학교는 협력·연구하는 분위기가 형성 된다’는 가장 덜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교사들은 평가의 형성적 기능을 통한 개인의 반성적 기회를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교육인적자원부, 학부모 단체, 시민단체가 지향하는 평가의 총괄적 기능인 경쟁적인 분위기에서 전문성이 신장되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교원평가제 시행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교사들은 ‘평가도구로 구체적인 지표가 제시되지 않기 때문에 평가 결과가 정확하지 않다’를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 전문가가 아닌 학부모, 학생 평가가 포함되기 때문에 결과가 객관적이지 않다’, ‘동료교사나 행정가의 평가는 인간관계적 요인이 더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않다’는 순으로 교원평가제 시행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평가내용 부재와 다양한 평가주체들의 평가능력에 대한 불신으로 인한 신뢰롭지 못한 평가 결과를 가장 우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교원평가제 평가영역별 평가내용의 ‘중요도’에 대해 교사들은 평가영역 중 ‘공직자로서의 자세’, ‘교육자로서의 자세’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인으로서의 책임감’, ‘학습 환경 조성’은 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공교육의 위기 대처방법으로 교육인적자원부, 학부모 단체는 교사들의 ‘교수’능력 신장을 통하여 학력을 높이려는데 반해 교사들은 학력신장과 관련된 ‘교수’ 영역보다 교사개인의 ‘교육적인 신념·헌신, 청렴한 태도’ 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교원평가제 시행을 찬성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의 목적은 모두 전문성 신장이지만 찬성하는 입장은 학력신장을 위한 전문성 신장을 추구하고 반대하는 입장은 교육자로서의 품성 형성을 위한 전문성 신장을 추구하고 있다. 이것은 새로운 교원평가제 시행에 앞서 평가방법적인 면에서 논쟁이 계속되는 이유일 것이다. 다섯째, 교원평가제에서 각 평가주체들의 평가능력(공정성·객관성)의 우수성에 대해 교사들은 평가주체들 중에 ‘교사 본인’의 평가능력이 가장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부모’와 ‘학생’의 평가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교원평가제의 큰 특징인 다면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불신을 보여준다. 여섯째, 다면평가에서 ‘평가영역별’로 ‘평가주체’가 다르게 선정될 필요성에 대해 ‘필요가 있다(85.1%)’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일곱째, 교원평가제에서 공개된 평가결과의 바람직한 활용방향은 ‘교수 방법 반성 자료’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승진, 전보, 해고 등 인사 행정 자료 제공’을 가장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개된 평가결과의 실제 활용방향은 ‘승진, 전보, 해고 등 인사 행정 자료 제공’으로 가장 많이 활용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교원평가제는 특히 평가내용 부재와 평가주체의 평가 능력에 대한 쟁점으로 시행을 찬성·반대하는 입장으로 나뉘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첫째, 교원평가제가 교사들에게 외면당하지 않고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평가결과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평가내용과 적절한 평가주체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학교 급별, 학교규모별 상황을 고려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평가모델이 제공되어 교사들이 객관적인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받을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이 수용할 수 있는 평가결과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피드백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평가자가 교사를 평가할 때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저해하는 요인들이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저해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 지를 검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현황 및 쟁점 = 6 1. 교사의 전문성과 평가의 필요성 = 6 2. 교원 평가의 기능 = 10 3. 교원능력개발평가제 도입에 관한 주요 쟁점 = 13 B.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서 평가내용의 적절성 = 17 1. 교원 평가내용 설정의 중요도 = 17 2. 교원 평가영역별 평가내용의 중요도 = 21 C.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서 평가주체의 적절성 = 25 1.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평가주체에 관한 쟁점 = 25 2.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평가주체에 관한 외국 사례 = 27 3. 다면평가의 필요성 및 쟁점 = 35 4. 다양한 평가주체의 적절성 = 44 Ⅲ. 연구 방법 = 46 A. 연구 대상 = 46 B. 연구 도구 = 48 C. 자료 분석 방법 = 50 Ⅳ. 연구 결과 = 51 A. 교원평가제의 목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51 B. 각 평가영역·평가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 54 C. 각 평가주체들의 평가능력 (공정성·객관성)의 우수성에 대한 인식 = 65 D. 교사의 ‘평가영역별’로 ‘평가주체’가 다르게 선정될 필요성에 대한 인식 = 67 E. 각 ‘평가영역’별로 각 ‘평가주체’들의 평가 적절성에 대한 인식 = 68 F. 공개된 평가결과의 바람직한 활용방향과 예상되는 실제 활용 방향에 대한 인식 = 87 Ⅴ. 요약 및 결론 = 88 A. 요약 = 88 B. 결론 및 제언 = 92 참고문헌 = 97 부록1 = 101 부록2 = 111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61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원평가제의 평가내용 및 평가주체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s' conception of the contents and subjects of teacher evaluation-
dc.creator.othernameLee, Sun Min-
dc.format.pagexiv,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