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시한부 어머니와 자녀의 분리에 대한 연구

Title
시한부 어머니와 자녀의 분리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paration for the Mother in a Terminal Illness and Children : through Pastoral Counseling and Ritual
Authors
김혜선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손운산
Abstract
We have time to meet unexpected death while living. At this time, a person at the deathbed and the family get to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steps until they understand and accept the death, and we get to often see what children experience crisis due to it after the death of their mother among those things. Here, recognition and response about death getting to meet like this were investigated. The present thesis viewed it into analysis that shock and response in a process which the person at the deathbed and the family accepts death. At this time, the shock of the person at the deathbed is based on the theory of Kubler-Ross and the response is based on the explanation of Alfons Deeken, and the shock and the response being experienced by the family were viewed it by dividing it into a part of a step before death, which the family experiences a similar process as well as a part about loss, which the family experiences after death. When the family experienced threat of loss or the loss occurred really in a life, they get to feel fear, anxiety, sadness and anger while trying to maintain the strength of attachment. Especially, as the family-oriented values of a Korean family put more priority to a linkage than individual independence, the degree of attachment can be said to be larger. When their mother passed away due to the attachment relationship, grief and loss feeling became to share of the remained family, so it can be seen that they experience difficulty. When the main reason is viewed,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due to unpreparedness of separation before death. When proper separation of attachment relationship is not carried out, the anxiety of separation appear as natural and unavoidable response about nonexistence of an attachment object, so an attachment and separation theory and a counseling theory and a ritual theor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it were examined to verify these phenomena. It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attachment and separation theory of Bowlby explaining attachment behavior as a normal and health component of human instinct mechanism and separation anxiety as an avoidable response due to loss of an attachment object , the theory of Margaret Mahler establishing a concept named 'symbiosis' through the study of symbiosis individuation relationship and the theory of Bowen emphasizing that the differentiation of an individual is directly connected to mental health and has deep relations with ego of a total family. And there are various narratives in each life as applied counseling approach, and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new interpretation and practice re-authored as new narratives. Narrative counseling for helping to their own power without focusing on 'the pathology, incurable scar', and solution-oriented counseling for searching for desirable solutions by utilizing potential of human beings on the basis of respect about human beings maximally were investigated. The ritual was arranged by focusing on death as a passage ritual on the basis of a death ritual of an individual in a usual life. Especially, it can be seen that as the ritual becomes embodiment formed with a body, it is stored in memory and causes change of the mutual causation. The arduous life of a client fallen into loss feeling and danger due to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the passed-away mother in the counseling site is being observed. The present study allows to expect that the person at the deathbed could be comfortably guided to a haven of God and the sending family also expects to see him or her again after the person went to the heaven and can accept a grief process more comfortably by progressing separation from the family when the person at the deathbed lives, rather than looking after difficulty of the family feeling arduous after the person at the deathbed passed away already. What is introduced for this is the ritual that the family in a communal point of view gets together, and it was progressed in a way that allows the person at the deathbed and the family together to originate the ritual, apply the newly developed ritual model in a clinic and analyze and evaluate the result. Namely, it was tried to connect narrative counseling treatment oriented to the person at the deathbed to a Solution Focused Approach Brief Family Therapy by focusing on good separation of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 at the deathbed and the family, at this time, a wa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ritual model was chosen as a method that enables expectation of short-term effects and that the person at the deathbed and children can participate together. All 5 cases were set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and progress of counseling and the ritual proper according to each case were originated and applied. Especially, the space where counseling and the ritual meet each other as pastoral care is performed in a luminal state, and it becomes the third domain and the space becomes a place where God performs as a transcendental domain. In conclusion, it suggests about the necessity of following works such as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effect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result of counseling and also summarizes the ritual with positive effects confirmed through clinic cases and the limitation due to physical restriction in the case research.;우리는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은 죽음을 대면할 때가 있다. 이때 죽음의 당사자나 그 가족들이 죽음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때까지는 여러 가지 심리적 단계를 겪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어머니의 임종 후 자녀들이 위기를 겪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임종자와 그 가족이 죽음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의 충격과 반응을 살펴보았다. 임종자의 충격은 퀴블러로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반응은 알폰스 디켄의 설명을 위주로 하였고, 가족이 겪는 충격과 반응은 임종자와 유사한 과정을 겪게 되는 임종 전 단계 부분과 임종 이후에 경험하게 되는 상실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삶 가운데서 상실의 위협을 당하거나 실제로 상실이 일어났을 때, 애착의 강도를 유지하려고 하면서 공포와 불안, 슬픔과 분노를 느끼게 된다. 특히 한국가족의 가족 중심적 가치는 개인의 독립성보다는 연결성에 더 우위를 두기에 애착의 정도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애착으로 인하여, 가족 구성원, 특히 어머니가 임종했을 때, 남은 가족은 애도와 상실감 때문에 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주된 원인을 살펴보면 임종 전 분리의 미비로 인한 것임을 알 수가 있다. 애착관계의 적절한 분리가 되지 않았을 경우 이러한 분리 불안은 애착하는 대상이 부재하는 데 대한 본성적이면서도 피할 수 없는 반응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으로서 애착과 분리이론, 상담이론, 의례이론을 살펴보았다. 애착과 분리에 대하여는 인간 본능기제의 정상적이고 건강한 구성 요소로서의 애착 행동과 애착 대상물의 상실에 따르는 피할 수 없이 갖게 되는 반응으로서의 분리 불안을 설명한 볼비의 이론, 공생 개별화 관계 연구를 통해서 공생이라는 개념을 수립한 마가렛 말러의 이론, 개인의 분화 수준이 바로 정신 건강과 연결되며 가족 전체의 자아와도 깊은 관계가 있음을 역설한 보웬의 이론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적용한 상담적 접근으로서 각자의 삶에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새로운 이야기로 재저작된 새로운 해석과 실행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내담자의 ‘병리, 치료될 수 없는 상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힘을 되찾을 수 있게끔 돕는 이야기 상담과 가장 짧은 단기치료의 형태로서 인간에 대한 존중감을 바탕으로 인간이 지닌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해결책을 찾아가도록 하는 해결중심 상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의례에 대하여는 일상적 생활에서 개인의 죽음 의례를 논거로 삼아 통과 의례로서의 죽음에 초점을 맞추어 정리하였다. 특히 의례는 몸으로 이루는 신체화가 되기에 기억 속에 저장되며 상호적인 인과관계의 변화를 일으킴을 볼 수 있다. 상담현장에서 이미 고인이 된 어머니와의 애착관계로 인하여 상실감과 위기에 빠져있는 내담자의 힘든 삶을 보게 된다. 본 연구에서 이미 고인이 되어 떠나간 후에 힘들어하는 가족의 어려움을 돌보기보다는 임종자가 살아있을 때 가족과의 분리를 진행함으로서 임종자는 편안하게 하나님 품으로 인도될 수가 있고, 보내는 가족 또한 임종자가 하늘나라로 간 후에도 다시 볼 것을 기대하며 좀 더 편안하게 애도 과정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입한 것이 공동체적 시각의 가족이 함께하는 의례인데, 임종자와 가족이 함께 의례를 창안하도록 하는 한편 이렇게 새롭게 개발된 의례 모델을 임상에서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 · 평가해 보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즉 임종자와 그 가족과의 애착관계의 분리를 잘 이루어내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임종자 위주의 이야기 상담 치료와 해결 중심적 단기 가족 치료를 접목시키고자 하였는데, 이때 환자인 임종자의 건강이나 시간적 제약을 감안하여 단기적으로 효과의 기대가 가능하며 임종자와 자녀가 함께 참여하는 방안으로써 의례 모델을 개발 · 적용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모두 5건의 사례를 자녀들의 연령대 별로 설정을 하고, 각 사례별로 적합한 상담의 진행과 의례를 창안 · 적용하였다. 특히 목회적 돌봄으로서 상담과 의례가 만나는 공간은 리미널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3의 영역이 되며 이 공간은 초월적 영역으로서 하나님이 행하시는 자리가 된다. 결론에서는 임상 사례를 통하여 확인된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사례 연구의 물리적 제약으로 인한 한계와 상담과 의례의 적용 결과에 따른 효과의 분석 및 검증 등 후속 작업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