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구한국·식민지시대 정치권력에 대한 개신교인들의 대응양태 (1884년 - 1945년)

Title
구한국·식민지시대 정치권력에 대한 개신교인들의 대응양태 (1884년 - 1945년)
Other Titles
Aspects of Reactionary movements Toward the Political Authority of the Protestants During the Greater Korean Empire and Colonial Era (from1884 to 1945)
Authors
이화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현혜
Abstract
1884년에서 1945년의 기간까지 개신교는 한국 근현대사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유입 초기에 의료 ․ 학교를 통한 간접선교로 한국의 근대화에 기여했고 다수의 민족 운동가들을 배출하여 구국운동의 중심에서 활동하게 했다. 개신교인들의 역사 참여 양태에 관한 연구가 거듭되고 있으나 선교의 과정에서 나타난 선교사중심주의와 교파주의, 그리고 교리중심주의에 관한 부정적인 보고도 적지 않다. 개신교 선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용한 정치 불간섭주의 원칙은 통치주체의 요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정책을 수용함으로써 한국 개신교는 민족의 문제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게 되었다. 이는 점진적으로 친권력적 양태로 발전하여 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파시즘체제하에서는 민중을 전장으로 내모는 역할도 감행하게 되었다. 60여년의 길지 않은 시간동안 전개된 개신교인들의 일련의 사회참여 행태는 기독교인으로서 역사현실에 참여한다는 것의 의미와 결과를 시사해 준다. 본 논문은 구한국시대부터 일제강점기에 개신교인들의 국가인식과 그에 따른 대응양태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문제에 대한 종래의 한국 개신교사 연구는 주로 사건과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초기 개신교의 전래와 선교사들 그리고 민족운동가들과 친일행위에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자료들을 기초로 구한국과 일제 강점기 전 기간에 걸친 개신교의 정치 ․ 사회적 대응양태를 시대별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즉 국가권력에 대해 개신교인들이 보인 행동유형을 파악함으로 기독교의 사회 참여 양태가 한국의 근현대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개신교가 유입된 구한국의 시대적 상황에 대해 연구했다. 19세기 말 조선 조정은 미국과의 수교를 통해 외교적 보호막과 서구물질문명에 대한 이식을 이루고자 했다. 그 일환으로 개신교를 수용하게 되었다. 개신교 선교사들은 의료와 학교라는 근대식 도구를 가지고 문명의 전수자로서 조선 민중에게 가깝게 접근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개신교는 조선을 부흥시킬 수 있는 사회사상으로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다수의 개신교 선각자들은 민족운동에 동참하여 구국운동에 앞장섰다. 그러나 선교자체에만 관심을 가진 선교사들의 보수적 신앙은 신자들이 민족문제에 참여하는 것에 우려를 표명하였고 이것은 곧 한국통감부가 원하는 바이기도 했다. 이후의 한국개신교의 국가에 대한 대응 양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선교사들의 신학사상과 그것이 한국교회 확산에 전기가 된 1907년 대부흥운동도 함께 고찰했다. Ⅲ장에서는‘무단통치’라는 조선총독부의 통치 행태와 그들의 기독교 정책을 살펴보았다. 즉 일제가 강점 초기에 시행한 각종 법규와 기독교 규제 정책을 고찰했다. 더불어 항일운동세력의 말살의 일환으로 기독교계 민족운동에 대한 탄압인 ‘105인 사건’을 응시했다. 이는 이후에 전개된 3․1운동에서 개신교인들의 거족적이며 범종교적 연합의 성격으로까지 확산되었다. 그들의 활발한 사회참여의 배경과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전개 양상의 경위를 민족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총독부가 문화 통치를 표방하면서 다양한 문화 사회운동을 전개한 이유와 형태를 고찰해 보았다. 기독교운동 역시 종교운동으로 전개되도록 유도했다. 한편 치안유지법을 제정하여 통치기반을 확고히 한 총독부의 방침도 함께 고찰했다. 당시 사회주의운동의 영향으로 기독교에서도 사회주의에 대한 논의와 접목이 시도된 점에 주목하면서 이와 관련된 움직임들도 분석했다. 특히 YMCA와 ‘기독교농촌연구회’의 농촌운동에 주목했다. 대부분의 현실참여주의자들은 개조의 관점에서 실력양성을 중심으로 농촌운동을 전개했다. 한편에서는 총독부의 선교사 회유책을 통한 기독교 유화정책에 조응하여 민족운동에서 탈락한 채 종교적 팽창운동으로 전개된 기독교 신비주의운동을 살펴본다. 또한 강력한 민족의식과 결합되어 민족적 의식에서 변절하지 않은 농촌운동의 그룹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일제가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으로 전쟁을 확대시킨 파시즘체제와 황민화 정책을 고찰했다. 즉 신사정책을 중심으로 하는 황민화 정책과 그에 대응하는 기독교 정책을 고찰해 본다. 동시에 기독교 민족 운동가들의 변절 및 부일 협력과정과 그 논리도 살펴보았다. 한편 일제의 신사정책에 대한 선교사들의 대응양태도 함께 고찰했다. 결론적으로 Ⅵ장에서는 국가권력에 대한 한국개신교인들의 대응양태가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고, 그것이 담당한 사회적 기능이 무엇인가를 다시 한 번 정리했다. 종교적․정치적인 일체의 권력을 상대화 시킬 수 있는 기독교적 사회 참여의 근거는 인간존재를 수단화 시키지 말라는 우상숭배 금지령에 근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개신교는 보수적 근본주의에 입각한 정치 불간섭주의를 견지함으로 사회 참여에 미온적인 자세를 취했다. 뿐만 아니라 국가폭력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의 천부인권에 대한 성서적 인식의 성찰도 찾아보기 힘들다. 현재까지도 한국교회는 정교분리원칙을 내세워 국가권력에 대한 성서적 해석과 대응의 과제를 외면해온 경향이 적지 않다. 그 결과 사회 윤리성이 없는 종교라는 적지 않은 지탄을 받았다. 한국기독교의 건강한 역사인식과 사회적 책임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국가권력에 대한 성서적 생활과 실천이 회복되어야 하겠다.;The Protestant church had the substantial influence on Korean modern history between 1884 and 1945. Missionaries had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immediately after coming to Korea by implementing the Western education system and medical technology to Korean society, and later by training nationalist activists so that they could play pivotal roles ate the national salvation front. While a number of researches regarding various forms of social participations of Korean Protestant have been proceeded, there was few negative analysis on the missionary-centrism, sectarianism, and dogmatism during the missionary process which have been consistently reported. In part to critically analyze such negative research results, the primarily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various perceptions and distinct aspects of coping strategies of Protestants during the entire colonial era toward the ruling group. In other words, by analyzing socio-political aspects of the Protestant movement in coping with a political authority throughout the entire colonial era, the essay aims to measure on influences that Protestant social participations had made on Korean modern history based on the set of data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Protestantism in Korea, the nationalist and the pro-Japanese movements of missionaries. As a result, in Korea Protestants had initially adopted an innovative alternative to resolve social stagnation caused by anachronistic customs of the Confucian society. Subsequently, nationalists sought to acquire an ideological ground of nationalist movements in Protestantism. On the other hand, conservative Protestants often admitted colonization as their fate, and had pro-government inclination underpinned by the principle of non-interventionism in politics which gradually distanced Protestants themselves from national problems. The set of Protestant behaviors dealing with social problems over the last 60 years demonstrate what it means to be participating in the history-formation as a Christian. In order to reach such a conclusion, I made a separate analysis on the nature of a state systems, the notion of missionary policies, problems of religious ideologies, a set of colonial policies managing Protestants, and finally recognition and behaviors of Protestants toward the colonial governing system. In chapter II, I focus on contextual backgrounds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the era in which Protestantism flew into the Korean society rapidly. In the late-nineteenth century, the governing authority of Chosun dynasty tried to achieve transformation to the modern society and protection of its sovereignty by reinforc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The adoption of Protestantism was a part of the process. Protestant missionaries with modern and advanced medical technology and education were able to easily penetrate into indigenous societies. Accordingly, Protestantism served the role of a social idea with which people believed Chosun dynasty could revive. With such a belief a number of Protestant social precursors joined the nationalist front. However, conservative missionaries who were solely concerned with the missionary work showed a great anxiety toward an active participation of Protestants to the nationalist movement, and such a concern was also shared by the Viceroy of Chosun, the colonial ruling authority. In the meantime, religious ideologies which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shaping countermeasures against the government, and particularly the Great Revival Movement of 1907 which manifested those ideologies to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also further examined. In Chapter III, I discuss the features of the governing of the Viceroy of Chosun, the so called ‘Iron ruling’, and the set of colonial Protestant policies. To be specific, various laws and anti-Protestant policies during the early period of colonial era are introduced. With such policies Japanese government had acquired legitimacy on systematic repression on Protestant churches, and also manifested its power of regulating churches in general. In the meantime I place special emphasis on the ‘105 People Incident,’ the oppression of the Protestant nationalist campaign as part of the project to exterminate the anti-Japanese group. In Chapter IV, I concentrated on the rationale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campaigning diverse socio-cultural movements as it adopted the “cultural governing.” On one hand, the ruling authority attempted to eliminate nationalistic features from the Protestant movement, and to transform it to the religious one. On the other hand, the Viceroy of Chosun enhanced its ruling foundation by enacting a public safety law. It also initiated an appeasement policy to persuade Protestants from abandoning nationalism. Meanwhile by the influence of socialist movements, Protestants tried to incorporate socialism into their projects, which resulted in suburban campaigns led by YMCA and the ‘Protestant Rural Research Institute,’ and some groups which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had successfully instilled national identity, and continuing nationalist activities. In Chapter V, the fascist system by which imperialistic Japan expanded the Sino-Japanese War to the Pacific War, the colonial policy, and subsequently the counterpart Protestant policy, is introduced At the same time, I examine the process of which Protestant nationalists became cooperative to Japan and the logic of apostasy. Meanwhile I analyze countermeasures of missionaries against the shrine worshiping policy. Consequently, in Chapter VI, I conclude the essay with rearticulating the changing countermeasures of Korean Protestant toward the ruling authority, and their societal functions in chronological order. The logical basis of Protestant social participation which could relativize the religious and political authority lies in a prohibition of idolatry which in turn proscribes an instrumentalization of a human being. Nevertheless, the Korean Protestant, by maintaining the non-interventionism of politics based on the conservative religious fundamentalism, has neither had a vigorous attitude toward a social participation, nor fully appreciated a biblical recognition regarding natural rights of human beings. Until today,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tended to respond to the governing authority on the principle of state-church separatism. As a result, they have been severely criticized of being a religion lacking social ethicality. In order for the Korean Protestant to recover social responsibility and insight on history, it is indispensable to develop biblical practices toward the state autho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