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미희-
dc.contributor.author김보인-
dc.creator김보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3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306-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우리들 삶을 형성한 직접적인 토대가 된 근현대사는 학생들에게 현실감 있게 다가가 역사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교육 성패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러나 근현대사 교육이 중학교 때부터 시작됨에도 불구하고, 근현대사 교육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고등학교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것은 심화 선택 과목이기는 하지만 한국 근현대사 과목이 별도로 마련된다는 이유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근현대사 교육은 세계사와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큰 문제를 안고 있다. 전근대사가 동아시아의 역사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면, 근현대에서는 전 세계적 상황이 한국사의 전개에 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근현대사 교육이 제대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일국사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세계사의 흐름과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교육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세계사와의 연계성에 초점을 맞추어, 현행 중학교『국사』근현대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나아가 개선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게 세 단계로 전개하였다. 우선, 교과서 분석과 개선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세 분야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광복 직후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에 관한 학계 연구 성과, 현행 교과서가 구성된 배경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과정상의 단원 목표와 내용 체계, 중 • 고등학교 간 계열화 등이 그것이다. 검토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교과서 해당 단원을 분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국이 승리함으로써 광복을 맞을 수 있었던 만큼, 광복 직후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는 세계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교과서 분석 결과, 일국사적인 좁은 관점에서 서술되어 미국과 소련의 영향력이 국내 역사 전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명히 드러나지 않았다. 또한 역사적 자료 제시가 부족하여, 교수 • 학습 활동이 사실 주입 및 암기에 편중될 우려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선안을 모색하였다. 세계사와 유기적으로 관련시키며 내용을 전개하고자 했으며, 읽기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 스스로의 역사적 탐구 활동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개선안은 중학생 수준에 적절한지 검증하기 위해 현직 역사 교사의 검수를 거친 후 완성하였다.;In provoking interest and affection toward history by drawing near to students with a sense of reality,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ch became the direct foundation for building our lives today comes to hold great influence on the success of History education. However, even though educ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starts from middle school, studies regarding the educ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ve been dealt with centered on high schools so far. It is thought that the reason is, although it is an elective centered-cours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ourses are provided separately. Additionally, educ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s a big problem in that it lacks a connection with World History. If pre-modern history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East Asian history, then overall world conditions had big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refore, in order for the educ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o be properly established, it must escape the one-nation view of history and connect organically with the flow of world history. Hereupon, this research is plann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n History』 in current middle schools, and further, to seek improvement methods by focusing on connecting with world history. This research was largely developed over three phases. First, to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searching out text book analyses and improvements, reviews on three areas were processed: academic study result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from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chapter goal and content system on the curriculum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current textbooks composed, and sequ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the reviewed contents, concerned text book chapters were analyzed. As much as Liberation came with the winning of World War II by U.N. forces, from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could not help bu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world circumstances. However, as the result of text book analysis, it was described from a narrow, one-nation historical perspective and did not clearly reveal what influences America and the Soviet Union powers had on domestic historical development. There were concerns that teaching and studying activities are biased toward memorizing and inputting facts since there was an insufficient presentation of historical data. Lastly, improvement plans for overcoming the above such problems were studied. Contents were intended to be developed by organically connecting with world history while self-done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were planned to be induced by adding reading materials. To verify whether it is suitable to middle school student levels, improvement plan was completed after going through an evaluation by current history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C. 연구 내용 및 방법 = 5 Ⅱ. 분석을 위한 기본적 검토 = 7 A. 학계 연구 성과 = 7 1. 38선 획정과 분할 점령 = 7 2.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와 신탁 통치 = 8 3. 미소 공동 위원회 = 13 4.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 15 B.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 과목의 단원 목표와 내용 체계 = 18 C. 중ㆍ고등학교의 계열화 = 23 Ⅲ. 중학교 『국사』의 소단원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과정은?’ 분석 = 29 A. 남북 분단 = 29 B. 신탁 통치 문제 = 31 C. 미소 공동 위원회 = 33 D.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 35 Ⅳ. 중학교『국사』의 소단원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과정은?’ 내용 개선안 = 38 A. 남북 분단 = 41 B. 신탁 통치 문제 = 46 Ⅴ. 결론 = 50 참고 문헌 = 52 부록. 현직 교사의 개선안 평가 결과 = 54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96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의 근현대사 내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소단원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과정은?'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ontent Analysi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Middle School 『Korean History』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Centered on the Subchapter,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dc.creator.othernameKim, Bo In-
dc.format.pageⅴ,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