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9 Download: 0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활동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와 요구 조사

Title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활동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와 요구 조사
Other Titles
Level of satisfaction and demand by different social classes for elementary After-School Education
Authors
이언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계층이 아동의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가정 하에 방과후학교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가 사회계층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방과후학교의 효과적인 운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방과후학교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방과후학교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방과후학교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사회계층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와 학부모의 만족도 및 요구를 확인하기 위한 척도로 나누어진다. 사회계층 척도로는 아버지의 학력, 아버지의 직업, 가정의 평균 월수입 등이 활용되었다. 사회계층에 따른 방과후학교의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운영, 수업내용, 지도교사, 시설 및 교육환경, 평가 및 효과에 대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사회계층에 따른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서 특기·적성 프로그램과 보육 프로그램의 수업내용에 대한 영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는 방과후학교에서 취미·소질을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설을 원하고 있다. 취미·소질을 발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중 가장 대표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예체능 및 컴퓨터 관련 프로그램을 보면 학부모들이 매우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학부모가 요구하는 프로그램 분야에 대한 순위는 각 학교와 지역의 실정에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순위와 다소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방과후학교의 추진 계획 단계에서 단위 학교의 학생과 학부모의 계층적 특성을 파악하고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요구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학부모들의 예체능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매우 고르게 분포하고 있어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설의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학교 간 부분 공동 운영, 학교급간 부분 공동 운영, 학교 간 전체 공동 운영 등 운영 주체 다양화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하위계층은 중위·상위계층보다 기초적인 영어 학습과 교과 보충학습에 대한 요구가 높다. 상위계층은 ‘영어 책 읽기’나 ‘영어회화 심화반’ 같은 높은 수준의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으나 하위계층은 ‘영어회화 기초반’이나 ‘교과 보충학습’과 같은 기초적인 수준의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다. 따라서 방과후학교는 구성원의 사회계층에 따라 프로그램 내용의 수준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위계층은 중위·하위계층보다 교과 교육 중 수학 및 영어 관련 프로그램의 요구가 낮고, 국어·문학 및 사회, 과학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다. 예전부터 우리나라 교육에서는 수학과 영어 학습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해 왔으며, 그만큼 학부모와 학생도 수학, 영어 학습과 이에 대한 평과 결과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교과 교육의 사교육 시장에서도 여러 과목 중 수학과 영어 과목 강좌에 대한 수요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위계층은 수학과 영어 학습을 사교육에 의지하고 있으며, 덜 중요하게 느껴지는 과목의 학습을 방과후학교를 통해 지도받고 싶어 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에 하위계층에서는 중요도가 큰 학습에 대해 방과후학교를 통해 지도받고 싶어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하위계층의 교육기회 불평등 해소 측면에서 방과후학교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보여진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는 상위계층의 사교육비 감소 효과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음을 설명해 주는 부분이다. 따라서 방과후학교의 개선을 위해서는 장기적으로는 질적인 향상과 높은 수준의 교육을 통해 방과후학교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며, 단기적으로는 교과 교육 관련 프로그램 종류의 다양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방과후학교 평가 방법에 대해서 상위계층의 경우 아동·학부모 개별상담을 가장 원하고 있으며, 하위계층은 가정통신문의 형태를 선호하고 있다. 하위계층 특히, 저소득 맞벌이 가정의 경우에는 자녀 교육에 시간을 투자할 여력이 적다고 볼 수 있으며, 자녀의 학교 혹은 지도교사의 관계 형성에 있어서 익숙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위계층이나 맞벌이 가정의 학부모를 위해 지도교사가 방과후학교의 프로그램이나 자녀의 활동 결과에 대한 안내를 학부모에게 적극적으로 해주는 노력이 요구되며, 가정통신문 서비스의 방법 활용 혹은 발표회 및 공개수업, 개별 상담 시각의 탄력적 조절이 필요하다. 그러나 단위학교의 사정에 따라 본 연구와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의 개설 및 운영의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앞으로 방과후학교의 질적 향상을 통한 활성화를 기대하여 볼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has assess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demand for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 of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subsequently proposed a method to effectively operate the after-schoo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are as follows. Firstly, parents have the desire to introduce various programs which will improve their children’s ability.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res as part of systematic research in order to form various operating bodies to run the programs. Secondly, those that are in the lower class have the greatest demand for supplementary learning on top of the basics of English.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triking a balance between variations in the levels of demand for after-school education. Thirdly, those that were in the upper class had a lower demand for mathematics and English related after-school education as opposed to a higher demand for Korean, literature and society and science related programs. This may be translated into the dependence of their children’s English and mathematics learning upon private education, and their desire to take advantage of after-school education when it comes to miscellaneous learning. By contrast, the lower class had a tendency to make use of after-school education for the learning of major subjects. Therefore, in order for such programs to improve in quality, its recognition by different social classes should undergo transition, which could be done by diversifying education programs as the first measure. Lastly, the upper class strongly favors private consultations as a means of evaluating after-school education while the lower income bracket was in favor of the form of home communication. For this reason, teachers have the need to promptly notify what is going on with the programs in the interest of the lower class and working parents and the use of private consultation, presentations and open lessons must also be well balanced. As the outcomes may differ between schools, further studies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s the demands made by parents are required. With further studies to be done in the near future, we can expect to see improvements in post-school programs in terms of quality and thus active participation by different social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