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유경-
dc.contributor.author유금연-
dc.creator유금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96-
dc.description.abstractMany countries emphasized the competitiveness of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 power in rapidly changing social · economic circumstances. As a part of this policy, the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eacher to rise the quality of education. This study begins with the fact that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is crucial to the school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success of school education depends on teachers who take part in education field and how well they work. Many researches, however, related to teacher commitment were achieved according to the foreign educational environment. Moreover they had no consideration of distinctiveness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y regarded the teaching profession as a general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I assume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concept of teacher commitment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n addition, I suppose that the researches about teacher commitment reflect distinctiveness and special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 major concern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in Korea and analyze out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according to teacher characteristics. To begin with, I redefined the concept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through the critical investigation of literatures related to commitment in order to reflect our educational reality. And then, I found the teacher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field. Hong Chang Nam's 'The Measurement of Teacher Commitment'(2005) was used for measuring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Other measurement (Shin Jung Cheol et al, 2007; Kim Ah Young et al, 2004; Ga Shin Hyeon, 1996; Chung Kwang Hee et al, 2007; Newby et al, 2001) was used to survey teaching profession traits. I sampled 15 middle schools and 300 teachers.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um which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I used T- inspection, One Way ANOVA for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according to teacher characteristic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male teachers, married teachers, positioned teachers, 21-year experienced teachers showed high level of the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to school commitment. In addition,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showe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to teaching commitment. Second, referring to teaching profession traits, there existed statistically various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to all three types of commitment. Intrinsic motivation of the motivations in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to teaching commitment, student commitment and school commitment. Altruistic motivations of the motivations in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to student commitment and school commitment. Also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varied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eaching to teaching commitment, student commitment and school commitment. Personal teaching efficacy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to student commitment and school commitment. In addition, teacher - student relationship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to student commitment. In conclusion I notice that all three types of commitment are different factors in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I found that teachers showed the different level of teacher commitment according to the targets of commitment even though it is desirable for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to all three types of commitment to coincide. In addition to this, I found that the attitude of teaching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altruistic motivation of the motivations in choosing teaching professions are important factors to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as they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to all three types of teacher commitment.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Teachers should promote the attitude of teaching through continuous in-service training and learning opportunities. 2. The teachers who have aptitude to teaching and can commit in school should be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The quality of education will be improved based on teachers' voluntary effort through sustained efforts.;급속히 변화하는 사회 · 경제적 환경속에서 세계 각국들은 자국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학교교육의 경쟁력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학교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중요성에 초점이 모아진다. 실제적으로 관료적 특성을 지닌 학교조직 내에서 전문가적 역량을 지니고 일부 영역에서 재량권을 지닌 교사의 자발적 헌신은 학교교육의 질을 확보하는 핵심적 관건이 되었다. 그러나 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된 교사의 헌신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외국 중심적, 이론 중심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는 외국과 다른 교육환경을 지니고 있는 우리의 교육적 현실에서 교사의 헌신은 무엇이며, 교사들은 무엇에 헌신하는지, 그리고 무엇이 교사들로 하여금 교직에 헌신하도록 유도하는지에 대한 근원적 탐색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우리의 교육여건에서 교직헌신은 외국에서 발달된 교직헌신의 개념과 상이할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또한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은 무엇에 헌신하고, 무엇이 교사들로 하여금 교직에 헌신하도록 유도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현장 교사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 특성에 따른 교직헌신의 수준을 분석함에 목적을 두었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중학교 교사의 개인적 배경 특성(성, 학교설립형태, 결혼여부, 경력, 직위, 학력, 교원양성과정, 학습기회)에 따라 교직헌신 영역별로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발생 하는가? 가. 중학교 교사의 개인적 배경 특성에 따라 교과교육 활동에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발생하는가? 나. 중학교 교사의 개인적 배경 특성에 따라 학생지도 활동에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발생하는가? 다. 중학교 교사의 개인적 배경 특성에 따라 학교조직 활동에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발생하는가? 2. 중학교 교사의 교직특성(교직선택 동기, 교직관, 교사 효능감,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 따라 교직헌신 영역별로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발생하는가? 가. 중학교 교사의 교직특성에 따라 교과교육 활동에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발생하는가? 나. 중학교 교사의 교직특성에 따라 학생지도 활동에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발생하는가? 다. 중학교 교사의 교직특성에 따라 학교조직 활동에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발생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먼저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우리의 교육적 여건에 적합한 교직헌신의 개념과 교직헌신의 영역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교직헌신을 유도하기 위한 요인으로 교사의 특성이 중요하다고 보고, 교사의 특성을 교육현장과의 관련성하에 개인적 배경 특성과 교직특성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경기도 수원교육청 소속 15개 중학교 300명의 교사를 무선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직헌신의 측정은 2005년 홍창남이 제작한 교직헌신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교직특성 측정은 신정철 등(2007)의 교직선택 동기 측정도구, 교사 효능감은 김아영, 김미진(2004)의 교사 효능감 측정도구, 교직관은 가신현(1996)과 정광희 등(2007)의 교직관 조사도구를, 그리고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Newby, Rickard와 Fisher(2001)의 QT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개인적 배경 특성에 따라 교직헌신 영역별로 교사들은 교직헌신의 수준을 달리했다. 구체적으로 남교사, 기혼교사, 부장교사, 21년 이상의 경력 교사들은 학교조직 활동헌신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교직헌신 수준을 보여주었다. 한편 교사의 개인적 배경 특성에 따른 교과교육 활동 헌신이나 학생지도 활동 헌신에는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다만 교사의 개인적 배경 특성 변인 중 교사의 학습기회 여부에 따라 교사들은 교과교육 활동에 대해서 유의한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직특성에 따라서는 교직헌신 영역별로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좀 더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먼저 교직선택 동기와 관련해서 교직선택 동기 요인 중 내재적 동기의 고(高) · 저(低)에 따라 교과교육 활동, 학생지도 활동, 학교조직 활동의 모든 영역에서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직선택 동기 요인 중 이타적 동기의 고(高) · 저(低)에 따라 교사들은 학생지도 활동 및 학교조직 활동에서 유의한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를 보였다. 한편, 외재적 동기 요인의 고(高) · 저(低)에 따라서는 교직헌신의 세 영역에서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교직관의 고(高) · 저(低)에 따라서도 교사들은 교과교육 활동, 학생지도 활동, 학교조직 활동에 대해 교직헌신의 수준을 달리함을 알 수 있었다. 이 밖에 교수 효능감의 고(高) · 저(低)에 따라서는 학생지도 활동 및 학교조직 활동에 있어 교직헌신의 수준 차이가 나타났고, 교사 - 학생의 관계 고(高) · 저(低)에 따라서는 학생지도 활동 헌신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교사의 특성에 따른 교직헌신을 영역별로 분석하면, 규범적인 차원에서 교사의 교직헌신은 모든 영역에 대해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나야 하겠지만, 실제적으로 교사들은 헌신 영역에 따라 교직헌신 수준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직헌신에 관한 종래의 연구에서 교직헌신을 조직헌신의 단일 영역 차원에서 분석하고 있음에 대한 비판적 결과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직헌신이 교사가 가치 있다고 여기는 영역에 대하여 지니는 심리적 태도이며, 구체적으로 교과교육 활동, 학생지도 활동, 학교조직 활동의 영역에 대하여 교직헌신 수준을 달리할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한편 교사의 교직헌신과 관련하여 교직관과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 요인에 따라 교사들이 모든 교직헌신 영역에 대해 교직헌신 수준을 달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사의 교직관과 교직선택 동기 요인은 교직헌신과 관련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서 교사들의 교직관 함양을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며 이 때 지속적인 학습기회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교사의 내재적 교직선택 동기 요인은 교직 임용 후 변화되기 어려운 특성이기는 하지만, 이는 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육실습 연계를 통하여 교직 지원자의 적성 및 자질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교사 선발 과정에서 교직 지원자의 교사로서의 적성 및 자질을 판단하고, 교직에 헌신할 수 있는 예비 교사를 선발할 수 있는 체제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부단한 노력을 통하여 교사의 자발적 헌신이 바탕이 되는 가운데 학교 교육의 질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D. 연구의 제한점 = 6 II. 이론적 배경 = 7 A. 헌신의 의미 = 7 1. 헌신의 개념 = 7 2. 헌신에 대한 접근 방법 = 8 가. 행위적 접근 = 9 나. 태도적 접근 = 10 다. 다차원적 접근 = 12 B. 교직헌신의 의미 = 15 1. 교직헌신의 개념 = 15 2. 교직헌신에 대한 접근 방법 = 16 가. 교직헌신에 대한 일반적 접근 = 16 나. 교직헌신의 영역 분류에 따른 접근 = 18 다. 교직특성을 반영한 접근 = 20 C. 교직헌신과 교사특성 = 24 1. 교직헌신의 영향 요인 = 24 2. 교사의 특성 = 28 가. 개인적 배경 특성 = 28 나. 교직특성 = 33 Ⅲ. 연구방법 = 36 A. 연구문제와 연구모형 = 36 1.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 36 2. 연구모형 = 38 3. 연구절차 = 39 B. 조사대상 = 40 C. 자료의 처리 = 42 1. 교직헌신 조사도구 = 42 2. 교사특성 조사도구 = 43 가. 개인적 배경 특성 = 43 나. 교직특성 = 43 3. 자료 분석 = 4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6 A. 교사의 개인적 배경 특성별 교직헌신 수준 분석 = 46 B. 교사의 교직특성별 교직헌신 수준 분석 = 56 V. 결론 및 제언 = 63 A. 요약 및 결론 = 63 B. 논의 및 제언 = 67 참고문헌 = 71 부록 = 80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7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교사의 특성에 따른 교직헌신의 수준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기도 수원 교육청 소속 교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in School According to Teacher Characteristics-
dc.creator.othernameYoo, Kum Yeon-
dc.format.pagex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