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조명애-
dc.creator조명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45-
dc.description.abstract사람들은 누구나 다른 사람의 간섭이나 영향 없이 자신의 의지에 따라 행동을 하고자 한다. 아주 어린 아이들이 자신의 고집대로 행동하려고 하는 것, 성인들이 자신의 삶을 위하여 중대한 결정을 하는 것 등과 같이 사람들은 스스로의 의지로 원인 주체가 되어 행동하고자 한다. 이러한 자기결정행동은 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기회만 주어진다면 모두가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행동이며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자주 요구되는 행동이다. 또한 자기결정행동은 독립적인 삶을 영위하고 여가를 즐기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꼭 성취해야 할 교육성과 중 하나이고, 졸업 후의 전환을 준비하는 장애청소년에게는 최상의 교육 실제로 강조되고 있다. 장애에 대한 사람들의 잘못된 인식과 판단에 의해 장애아동들은 자기결정행동을 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이 부족한 편이다. 그러나 자기결정행동은 교육을 통해 충분히 습득할 수 있는 행동이고, 생애 주기 동안 지속적으로 발달하므로 실제 생활 경험에서 장애아동들에게 자기결정행동의 기회를 자주 제공한다면 장애아동들의 성공적인 교육성과와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장애아동이 입을 옷이나 장난감을 선택하는 단순한 선택하기부터 무엇을 어떻게 배울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의사결정의 참여에 이르기까지 가정과 학교, 사회적 맥락에서 원인 주체로 행동할 수 있는 경험을 많이 가진다면, 장애아동들은 자기결정행동을 일반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학교에서 교수 학습 과정에 장애아동에게 자기결정행동을 할 수 있는 상황과 기회를 제공하는 교수 방법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현재 특수교육 현장에서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성과에 대한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교육성과로 강조되고 있는 자기결정행동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에서 자기결정행동의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 수업을 고안하여 장애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자기결정행동의 향상을 이루고자 하였다. 자기결정행동의 구성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많은 연구에서 조기에 가르쳐야 할 중요한 구성요소로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강조하고 있다. 목표설정은 학습에 대한 목표를 스스로 세우는 것으로 다른 전략과 함께 사용하였을 때 높은 학습 효과를 나타내고, 능동적인 과제 참여를 이끌어 낸다. 선택하기는 선호도에 기초해서 여러 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의 한 방법으로 나타나며, 자주 요구되는 기술이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자기결정행동을 교과와 상관없이 특별한 시간에 가르침으로 인해 일반화와 시간의 제약 등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과와 접목하여 자기결정행동을 가르치고자 하였다. 여러 교과 중에서 국어는 모든 학습의 바탕이 되고, 현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가르치는 과목이며, 장애아동의 경우 주로 특수학급에서 수업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국어 시간에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가르친다면 장애아동은 자기결정행동을 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많이 갖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4개 공립 초등학교 특수학급 장애아동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여, 실험집단에는 특수학급의 국어 시간에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동일한 수업 주제로 전통적인 국어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중재는 장애아동이 소속된 특수학급에서 국어 시간에 개별적으로 1주일에 4회기씩 총 20회기가 실시되었다.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 수업이 장애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종속변인 측정도구로 연구자가 개발한 학업성취도검사와 김윤경(2005)의 자기결정행동검사를 사용하였다. 결과의 검정을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점수와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점수에 대하여 비모수검정(Mann-Whitney U Test)과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 점수와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결정행동 점수와 통제집단의 자기결정행동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 수업이 장애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자기결정행동의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행동이 특별한 시간, 특별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행동이 아니고 언제 어디서나 일어나는 행동이므로 교과 시간에 그 행동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이 장애아동의 자기결정행동의 향상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의 향상도 함께 꾀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는 교육 현장에서 자기결정행동을 분리해서 가르치던 예전의 방법에서 벗어나 교과 시간에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가르치는 교수법이 시간의 확보와 일반화, 자기결정행동 교수 실행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Self-determined behavior can be fully used by everyone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It is a prerequisite for academic achievement, transfer, and quality of life. It is emphasized as the best educational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 that is programmed to encoura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set academic goals, to choose activities task, and finally to be able to choose their determination on their own. Goal-sett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enabl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learning with motivation. Choice-making is one of the required skills used on daily basis. It helps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duce problem behavior and enhance active participation. These two skills, goal-setting and choice-making are applied for enhancing students' capability to grow as self-determined individual. In public elementary school, mo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resource room, and the class is the basic stepping stone for other academic areas such as sociology and many more. In the study, twenty students with disabilities(from 2^(nd) to 4^(th) grade) participated: the students were included in special classes from four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y were divided evenly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Each group had 10 students.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was total of twenty sessions during the five weeks: four times a week and forty minutes per session.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compar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the interven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ble to set academic goals of the nursery rhyme chapter prepared by their teachers. Then, the students analyzed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with the help of their teachers. Finally, they chose activities (e.g., reciting, dictating, and drawing contents of nursery rhyme, etc.) and made plans according to their goals. Once the goal-setting and choice-making of each session were complete, they chose the nursery rhyme for learning and performed the activities planned beforehand to achieve their goals. After the scheduled session, the students evaluated goal-attainment with their teacher's support. If the students attained the goal, they repeated the first session (goal-setting, assess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planning). If the students failed to achieve the goal, they modified their goals and activities.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self-determined. From the results above, the intervention using component elements of self-determined behavior was ver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ed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imply that intervention using component elements of self-determined behavior could be a useful teaching strateg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ed behavior. In the future study, teaching methods should be investigated using not only component elements mentioned in this study but also other component elements of self-determined behavio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정의 = 6 1. 자기결정행동 = 6 2.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수업 = 6 3. 학업성취도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자기결정 = 7 1. 자기결정의 개념 및 특성 = 7 2. 자기결정행동의 구성요소 = 11 B. 자기결정행동과 학업성취도 = 19 1. 학업성취도 = 19 2. 자기결정 교수 학습 모델 = 20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실험장소 = 25 C. 실험기간 = 25 D. 독립변인 = 26 1. 목표설정 적용 = 26 2. 선택하기 적용 = 28 E. 실험 설계 및 절차 = 31 1. 실험설계 = 31 2. 실험절차 = 31 F. 종속변인 측정도구 = 36 1. 학업성취도 = 36 2. 자기결정행동 = 36 G. 자료 처리 방법 = 37 Ⅳ. 연구결과 = 38 A. 목표설정과 선택하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38 B. 목표설정과 선택하기가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 39 Ⅴ. 논의 및 제언 = 41 A. 논의 = 41 1.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 = 41 2. 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적용한 국어 수업이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 = 44 B. 연구의 제한점 = 47 C. 제언 = 48 참고문헌 = 50 부록 = 58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512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를 적용한 국어 수업이 장애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목표설정과 선택하기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Korean Language Class using Component Elements of Self-Determined Behavior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ed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Focused on Goal-setting and Choice-making-
dc.creator.othernameJo, Myeongae-
dc.format.pageⅶ,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