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최윤정-
dc.creator최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벨리댄스 활동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신체 변화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 배경 변인 설문지와 신체변화 설문지, 신체적 자기효능감 설문지를 통해 학년, 벨리댄스 경험 기간, 경험 유무에 따른 변화 및 차이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10개교의 1~6학년 여학생 320명을 조사하였으나, 회수한 설문지 가운데 이중기입 및 무성의한 응답을 한 학생들을 제외하고 벨리댄스 활동 경험자 145명, 벨리댄스 활동 비 경험자 161명 총 306명이 최종 분석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아동의 기초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년, 벨리댄스 경험 기간, 경험 유무 총 3문항으로 기초항목을 구성하였고,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지는 Ryckman 등(1982)에 의해 개발 되어진 것으로 국내의 홍선욱(1996)이 번안하여 초등학교 독서 수준에 맞추기 위해 일부 용어가 수정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체 변화 설문지는 조화형(2007)이 발레 교육을 통한 신체 변화(신체기능, 체형, 자세)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 연구(최상진, 1991; 장덕선, 1995)와 발레전문가 2명을 바탕으로 제작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minitab 15를 통해 전산 처리 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 기법은 T-test와 일원 분산 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및 연구절차를 통해 분석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 문항과 부정 문항 분석에서 벨리댄스 활동 경험자의 학년에 따른 신체 기능, 체형, 자세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 문항 분석에서 벨리댄스 활동 경험자의 경험 기간에 따른 신체 기능, 체형, 자세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년 이상 경험자의 경우 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면, 부정 문항의 경우 앞의 긍정 문항과는 달리 벨리댄스 활동 경험자의 경험 기간에 따른 신체 기능, 체형, 자세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 문항과 부정 문항 분석에서 벨리댄스 활동 경험자의 학년에 따른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 문항과 부정 문항 분석에서 벨리댄스 활동 경험자의 경험 기간에 따른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 문항과 부정 문항 분석에서 벨리댄스 활동 경험 유무에 따른 인지된 신체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신체 변화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못한 이유는 어린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 판단되며, 아동들은 연령에 따라 성장 속도와 운동 수준이 다르므로 학년과 경력, 개인의 차이가 고려된 체계적인 벨리댄스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은 건강한 신체와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벨리댄스 활동의 지속적인 참여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The study aims at identify how belly dance performance is influential to physical change and physical self-efficacy in elementary female schoolers. Based on the objective, we adopted questionnaire survey being categorized into personal reference questionnaire, physical change questionnaire and physical self-efficacy questionnaire in an attempt to comprehe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ch factors as school grade, period of belly dance experience and existence of experience performing belly dance. The survey was made by randomly selecting a total of 320 female students at first to sixth grade out of 10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finally resulting in 306 students--145 experienced and 161 non-experienced for belly dance performance-- isolated excluding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responses. The first type of questionnaire used for the study was composed of three questions on grade, exposed period for belly dance performance and whether the interviewee has experience on belly dance performance. And the second one regarding test of physical self-efficacy was based on the form of questionnaire developed by Rychman(et. al. 1982) and partially modified in its some terms by Hong, Sun Ok(1996) to make applic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astly, the questionnaire relating to physical change was made by referring to the form which Cho, Hwa Young(2007) developed with help of two ballet experts together with preliminary studies(Choi, Sang Jin, 1991; Jang, Duck Sun, 1995) in the course of his study to verify ballet education influencing on physical changes(physical functionality, physical shape and posture). The data collected through a string of questionnaire was programmed by minitab 15, being applied to T-test and one-way ANOVA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1. It was proven there exis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questions and negative questions as to academic grade for students experienced in belly dance with regard to physical functionality, shape and posture change. 2. In an analysis of positive ques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erified as to physical functionality, shape and posture change depending on experience period for students experienced in belly dance performance. 3. The analysis for both positive and negative questions showed that ther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xperienced students, in physical ability, confidence of physical self-express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perceived by each graders. 4. Judged from the analysis of positive and negative quest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able in the aspects of physical ability, confidence of physical self-express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perceived by experiencing period for experienced students in belly dance activity. 5. Another result from the analysis of positive and negative questions demonstrated that there configur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se of experienced students for belly dance, in physical ability, confidence of physical self-express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In this regard, the reason why there exis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as for factors of physical change and physical self-efficacy is seemingly caused by no existence of systematic programs for children, which requires development of more deliberate programs individualized for children's age, growth speed and motor ability. The programs as such are also beneficial for improving physical strength and the sense of confidence, while making children to get closer to participation in belly dance perform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 연구 문제 = 4 C . 연구의 가설 = 5 D .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 벨리댄스 = 6 1 . 벨리댄스의 역사적 배경 = 6 2 . 벨리댄스의 특성 및 효과 = 8 3 . 벨리댄스의 기본자세 및 동작 = 10 B . 아동기 특성 및 신체활동의 가치 = 14 C . 체형의 개념 및 인식 = 16 D . 신체적 자기효능감 = 19 1 . 자기효능감 = 19 2 . 신체적 자기효능감 = 23 Ⅲ. 연구방법 = 26 A . 연구대상 = 26 B . 연구도구 = 26 C . 조사 방법 = 28 D . 자료처리 = 2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0 A . 연구결과 = 30 B . 논의 = 46 Ⅴ. 결론 및 제언 = 52 A . 결론 = 52 B . 제언 = 55 참고문헌 = 56 설문지 = 63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33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벨리댄스 활동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신체변화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fluence of Belly Dance Performance for Physical Change and Physical Self-Efficacy in Elementary Female Schoolers-
dc.creator.othernameChoi, Yoon Jung-
dc.format.pageⅸ,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